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옛일
과거사
기왕지사
jinan
d라이브러리
"
지난
"(으)로 총 9,141건 검색되었습니다.
21세기초 착륙대비 화성지도를 완성하라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타이탄3 로켓에 의해 발사된 마르스옵서버의 주요 목적은 화성의 지도를 작성하는 것.
지난
89년에 쏘아올린 마젤란이 금성 주위를 돌면서 금성의 지형에 대한 3차원 영상자료를 계속 보내오듯, 순조롭게 계획이 추진된다면 마르스옵서버도 내년 10월부터는 상세한 화성 지도를 우리에게 공개할 ... ...
별은 죽어 무엇을 남기나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이루어진 별의 표피는 팽창을 하게 돼 적색거성이 된다. 적색거성 이후의 진화 과정은
지난
호에서 소개한 전자의 축퇴압력에 전적으로 의존하게 된다.축퇴압력은 만원인 지하철 안에서 우리가 받는 압력과 비슷하다고 말할 수 있다. 지하철 안에서 우리가 받는 압력은 오로지 열차 한량에 몇 명의 ... ...
'92 노벨상 수상자들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입자를 생성하는 가속기와 이 입자들을 볼 수 있게 하는 검출기의 두부분으로 이뤄진다.
지난
수십년간 입자가속기의 발전은 실로 괄목할만 하다. 그러나 이와 더불어 검출기의 발전이 없었다면 입자물리학의 오늘날과 같은 성공은 기대할 수 없었을 것이다.검출기의 기술에는 크게 두번의 획기적인 ... ...
1. 고집적 어디까지 가능한가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장벽이 나타날 것이다. 인류는 과연 이 장벽을 새로운 기술로 극복할 수 있을 것인가
지난
20여년간 반도체기술 및 산업은 그야말로 눈부시게 발전해왔다. 그 효과는 특히 컴퓨터기술과 정보산업의 발전에 직접적으로 나타나, 지금 우리는 산업구조 자체가 변혁되고 이에 따라 사회구조가 전반적으로 ... ...
당신의 충실한 조수 마이크로프로세서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디스크를 중심으로 한 파일 관리에 초점을 맞추어지기 때문에 도스가 나왔다는 사실은
지난
호에 자세히 설명한 바 있다.자기진단이 성공적으로 끝난 후 롬바이오스가 마지막으로 하는 일은 CPU가 컴퓨터를 제대로 운영할 수 있도록 운영체제인 도스 파일을 CPU가 참조할 수 있게 책상(메모리) 위에 ... ...
(4) 공룡 연구의 시작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많은 연구가 있었으나 아직도 어느 가설에 관해서 뚜렷한 확신이 있는 것은 아니다.
지난
날 우리는 화석을 해석하는 데 많은 잘못을 저질렀다.1670년경 최초로 발견된 공룡의 뼈는 오랜 옛날 살던 거인의 뼈로 오해됐을 정도다. 화석 골격을 복원하는 데도 많은 오류가 있었다. 이구아노돈의 큰 ... ...
"우리 꽃을 우리 땅에"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다반사였다. 그 결과 80년대초 창립 당시 동호회의 주축 멤버가 30대 후반 였는데 10년이
지난
지금도 그 멤버가 그대로 40대 후반의 '고인물'이 돼버렸다. '제비꽃 박사'를 목표로자생식물연구회의 정회원수는 39명이며 준회원이 60여명. 이 숫자는 10년 전이나 지금이나 크게 차이가 없다. 준회원으로 ... ...
3. 64메가 D램 개발 공방 내막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거의 완성하고 생산기술을 연구하는 단계에 있다고 전문가들은 분석한다. 이러한 사실은
지난
90년에 이미 히타치가 64메가D램의 핵심기술을 공개한 사실에서도 짐작할 수 있다.그런데 왜 이들이 64메가D램을 개발해놓고도 발표를 미루고 있는가. 그것은 현재 시장에서 유통되는 메모리제품의 수명을 ... ...
과학캠프 교사로 맹활약하는 이화여대 아마추어 천문회 폴라리스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그 과거의 모습까지그리고 그 안 우리들의 어렴풋한 위치를 느껴보지 않으시렵니까?"
지난
10월1일 이화여자대학교 아마추어 천문서클인 '폴라리스'에서 일반인을 대상으로 개최한 열한번째 공개관측회의 '모시는 글' 중 일부다.연 이틀밤 대학 캠퍼스에서 계속된 공개관측회에는 지역 주민들, 이웃 ... ...
오존층 파괴 현상 날로 심각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마젤란대학의 펠릭스 사모라노교수는 10월부터 칠레 남단 지역에서 자외선 측 정치가
지난
8월에 비해 2백%나 증가했다고 발표했다. 푼타아레나스시 같은 경우 매우 위험한 수준까지 접근했다고 한다. 이러한 보도는 올들어 성층권 하단(10-20㎞ 상공)에서 오존양이 현저하게 줄어들고 있다는 일본 ... ...
이전
769
770
771
772
773
774
775
776
77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