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장소
위치
소재지
공간
자리
현장
집
뉴스
"
곳
"(으)로 총 8,732건 검색되었습니다.
습한
곳
에 가면 저절로 분리막 만들어져
2015.03.11
잘 통하되 열은 전도되지 않는 소자를 만든 것이다. 김 교수는 “합성 고분자를 습한
곳
에 두는 것만으로 대면적의 고분자분리막을 제작할 수 있다”며 “컴퓨터 냉각장치처럼 웨어러블 전자기기 등에서 전기를 넣으면 열을 떨어뜨리는 소자로 응용가능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성과는 ... ...
영화 ‘인셉션’처럼, 쥐에 인공 기억 이식
2015.03.10
중 보상자극을 받은 뒤와 비교했다. 그 결과 보상자극을 받은 쥐는 머뭇거리거나 다른
곳
을 가는 대신 곧바로 보상자극을 받은 방으로 찾아갔다. 벤체넨 박사는 “쥐의 보상회로를 자극하는 것만으로도 쥐의 행동변화를 이끌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며 “이런 기억 조작이 인간에게도 ... ...
구글 글래스 뛰어넘는 ‘케이-글래스2’
2015.03.10
“케이-글래스2는 두 손이 모두 바쁘거나 주변이 시끄러워 구글 글래스를 사용할 수 없는
곳
에서도 눈동자만으로 작동이 가능하다”며 “초저전력 설계로 24시간 이용할 수 있는 것 또한 강점”이라고 설명했다. 오른쪽 눈 옆에 달린 시선추적이미지센서 덕분에 시선만으로 마우스 커서를 조작하고, ... ...
달팽이관은 고음과 저음을 어떻게 구분하나
2015.03.10
사실을 새로 찾아냈다. 반대로 Shh 단백질이 적게 발현돼 이 단백질의 농도가 낮은
곳
에서는 고주파를 인지하는 청각세포가 형성됐다. 지난해 미국 국립보건원(NIH)과 버지니아대 연구팀이 닭에서 ‘레티노인산’과 ‘Bmp7’ 단백질이 트노토피 구조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네이처 ... ...
[초대석] “세계 10大대학의 꿈, 8년 만에 달성 가능한 목표가 됐죠”
2015.03.09
목표는 보통 국립대였다. 그러나 내 비전은 달랐다. 울산은 한국의 산업수도다. 이런
곳
에서 세계적인 연구중심대학이 필요하다는 것이 나의 지론이었다. 그때 내 나이가 환갑을 넘었는데 마지막 할 일이라고 생각하고 소신 있게 일을 추진했다.” - 개교 첫 해부터 우수 학생을 많이 유치해 화제가 ... ...
교실에 과학동아 선물하세요~
2015.03.06
경우 캠페인 홈페이지에 과학 잡지를 선물 받고 싶은 학급과 사연을 올리면 총 100
곳
을 선정해 잡지 정기구독권을 보내준다. 신청은 이달 31일까지다. 문의 02-6749-2002 ... ...
탄자니아 국립공원 야생동물연구센터에 가다
2015.03.06
직선거리만 1만 km가 넘고, 카타르를 경유해 비행기만 꼬박 15시간을 타야 도착할 수 있는
곳
. 케냐와 국경을 맞대고 있는 아프리카 동부의 탄자니아에 한국인 과학자가 ‘대기’ 하고 있었던 건 타위리에 있는 ‘연구소재은행(TWRRU)’ 덕분이다. 연구소재중앙센터는 매년 두세 차례 탄자니아에 ... ...
갤럭시s6 탁자에서 충전?… 앞으론 자동충전 세상온다
2015.03.05
말했다. ● 우주태양광발전에 전자기파방식 활용 수 십~수 백 km 이상 멀리 떨어진
곳
까지 무선으로 전기를 보낼 순 없을까. 이를 위해서는 전자기파를 사용하는 게 가장 유리하다. 전자기파방식은 에너지를 가진 전파를 빔처럼 쏘아 보내 수 십 km 이상 무선으로 전력을 전송할 수 있다는 게 ... ...
약하지만 센 힘 중력상수 G
과학동아
l
2015.03.05
씨앗이 뿌려진 것이다. 더 나아가 사람들은 천상에도 없는 위아래의 구분이 이
곳
엔 왜 아직 존재하냐는 의문을 던지기 시작했다. 모든 사람은 평등하고 자유롭다는 생각이 밀물처럼 퍼져 나갔다. 만약 뉴턴이 보편중력을 발견하지 못했다면, 우리는 어떤 세상을 살고 있을까? ● CLUE, 중력 상수를 ... ...
‘아이 콘택트’하며 화상통화 가능해졌다
2015.03.04
바라봐야만 정면을 바라보고 있는 모습이 나온다. 상대방의 얼굴을 보면 딴
곳
을 보는 모습이 비춰지는 것이다. 연구진은 모니터 좌우에 카메라를 달고, 입술이나 눈과 코 같은 얼굴 각 부위의 거리정보를 측정할 수 있는 적외선 센서를 모니터 아래쪽에 추가로 연결해 이 문제를 해결했다. 이렇게 ... ...
이전
769
770
771
772
773
774
775
776
77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