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글"(으)로 총 20,712건 검색되었습니다.
- [통합과학 교과서] 새빨간 동굴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3호
- 많기 때문이에요. 피가 움직이지 못하고 한 곳에 오랫동안 고이면, 적혈구의 헤모글로빈이라는 단백질이 파괴되어 담록소가 생겨요. 멍이 들었을 때 초록색으로 보이는 이유도 담록소 때문이지요. 담록소가 인간의 몸에 지나치게 많이 쌓이면 눈 흰자와 얼굴이 노랗게 변하는 황달을 일으켜요. 녹색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창경궁에서 만난 원앙과 꿀벌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째액, 째액’, ‘구, 구, 쿠-’, 우리 주변엔 어떤 새가 살까?“쉿! 먼저 우리 주변에 어떤 새가 울고 있는지 들어 볼까요?”올해 조류 탐사가 정규 탐사로 시작되며, 창경궁에서 처음으로 조류 현장교육이 열렸어요. 이날 현장교육을 진행한 이화여자대학교 에코과학부 김윤전 연구원의 말에 지 ... ...
- [팩트체크 2] 한반도에서 핵무기가 사라진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우와~, 남한과 북한의 정상이 만나 올해 안에 종전 선언을 하기로 했다니…. 정말 남북관계가 한 걸음 나아간 건 확실해 보이네. 그런데 판문점 선언문을 보니 ‘완전한 비핵화를 통해 핵 없는 한반도를 실현한다’고 해. 이게 무슨 말일까? 북한 풍계리 핵실험장, 사라지다!“셋, 둘, 하나, 쾅!” ... ...
- [과학뉴스] 강력한 레이저를 내뿜는 개미 성운 포착!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사진 속에서 친숙한 곤충의 모습이 보이나요? 이 성운은 개미를 닮아서 ‘개미 성운’이라고 불려요. 지구에서 8000광년 떨어져 있는 개미 성운은 ‘행성상 성운’이에요. 행성상 성운은 태양과 비슷한 질량을 가진 별의 마지막 단계에서 나타나요. 별이 연료인 수소를 다 쓰고 나면, 점점 수축하 ... ...
- [과학뉴스] 달팽이에게 기억 이식 성공?!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있는 유전정보를 단백질로 합성할 수 있도록 전달해 주는 물질.연구를 이끈 데이비드 글랜즈먼 교수는 “이 연구 결과는 기억이 RNA에 저장된다는 것을 보여준다”며, “군소갯민숭달팽이와 인간의 중추 신경계에서 기억이 전달되는 과정은 비슷하기 때문에 기억이 전달되는 데 사용된 RNA의 종류를 ... ...
- [엉뚱발랄 생각 실험실] 빛의 속도로 달리면서 거울을 볼 수 있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2호
- 16살 아인슈타인은 빛의 속도로 움직이는 기차를 타는 상상을 했어요. 그러다 그 기차 안에서 손거울로 자신의 얼굴을 비춰보면 어떻게 될까 생각했지요. 여기서‘ 아인슈타인의 거울’이라 불리는 사고 실험이 탄생했답니다. 빛의 속도로 달리는 동안에도 빛이 얼굴에서 반사돼 거울로 갔다가 다 ... ...
- 최초의 ‘행성 사냥꾼’ 케플러과학동아 l2018년 12호
- 10월 30일 미국항공주우주국(NASA)은 케플러(Kepler) 우주망원경이 연료를 모두 소진했다는 신호를 수신했다며 케플러의 ‘은퇴’를 공식 발표했다. 2009년 3월 미국 플로리다주 케네디우주센터에서 ‘델타II’ 로켓에 실려 발사된 지 9년 7개월 23일 만이다. 케플러라는 이름은 광학망원경 연구와 천체 ... ...
- [Infographic] 비늘에서 깃털까지과학동아 l2018년 12호
- 깃털의 진화는 생명체의 진화와 맞닿아 있다. 양막류는 양서류와 달리 육상에 완벽하게 적응해 껍질이 있는 알을 낳는 네발 동물을 일컫는다. 양막류는 이후 포유류와 파충류로 진화하고, 파충류 중 일부는 조류로 진화한다. 마찬가지로 케라틴의 구조에 따라 양막류의 외피는 포유류의 털(알파 케 ... ...
- Part 3. 패딩은 왜 깃털을 사랑하나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셔틀콕이나 소파 등에 주로 사용된다”고 말했다. 인공 충전재 보온력은 OK, 충전성은 글쎄 천연 우모 가격은 최근 급등하고 있다. 이는 우모 최대 생산국인 중국 내 상황과 관련이 있다. 김 대표는 “우모 가공 과정에서 상당한 오폐수가 나오는데, 최근 들어 중국 정부가 환경 규제를 강하게 ... ...
- 세계 13위, 韓 슈퍼컴퓨터 누리온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암세포는 생체 내 환경에서 어떻게 전이될까. 138억 년 전 빅뱅 이후 우주가 진화하면서 형성된 거대구조는 은하에 어떤 영향을 미쳤을까. 정부가 9년 만에 국가 연구용 슈퍼컴퓨터를 5호기로 새롭게 교체하면서 이런 질문들에 대한 답을 찾으려는 국내 과학자들의 기대감도 한껏 높아졌다. 기존 슈 ... ...
이전77177277377477577677777877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