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다
다양
각종
몇몇
d라이브러리
"
여러
"(으)로 총 12,601건 검색되었습니다.
유전자와 환경이라는 닭과 달걀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다윈, 정신분석학자 프로이트, 인지발달론자 피아제 등 인류학, 사회학, 심리학을 비롯한
여러
분야의 학자들이 관심을 기울여온 주제다.또 본성과 양육이 서로 영향을 미친다는 주장이 전에 없었던 리들리만의 독창적인 아이디어는 아니다. 이미 이 둘의 상호작용에 대해 상당한 논의가 진척돼 ... ...
오명 장관, 과기 부총리 승격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크게 개편했다. 먼저 과학기술부와 새로 신설되는 과학기술혁신본부에서
여러
부처의 과학기술정책을 기획·조정·평가하기로 했다. 과학기술혁신본부장에는 임상규 과학기술부 차관이 임명됐다. 과학기술위원회의 심의·조정 기능도 강화되고, 과학기술관계장관회의가 운영된다. 대신 기존 ... ...
사이언스와 미 과학재단 선정 올해 최고의 과학기술 이미지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과연 뭘까? 건드리면 움직일 것 같지만 사실 이것은 식물이다. 단세포식물인 규조류
여러
개가 줄다리기를 하려는 듯 한줄로 늘어서 있는 것이다. 이 사진은 남극바다 깊은 곳에서 끌어올린 미세 플랑크톤을 주사전자현미경으로 찍은 다음 색을 입힌 것이다. 여기에 쓰인 미세 플랑크톤은 2002년 ... ...
1. 분자로 나노기계 만든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많다. 초분자를 사용하는 이유는 화학자들이 상상해낸 구조를 만들기에는 1개보다는
여러
개의 분자를 갖고 만드는 것이 훨씬 쉽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올림픽 오륜기 구조를 분자 하나로 만들 수 있을까? 당연히 고리형태의 분자 5개가 필요하다.기계적 성질을 가지는 초분자의 대표적인 예로 ... ...
숨 못 쉬는 조산아 살릴 수 있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태자의 몸무게도 사람 조산아와 비슷하다. 같은 포유류라도 돼지나 개는 한번에 새끼를
여러
마리 낳고 크기도 사람에 비해 매우 작아 실험이 어렵다.염소 같은 초식동물이 다른 동물에 비해 태반과 탯줄이 튼튼한 것도 한 이유다. 육식동물이 나타나면 새끼를 밴 상태에서도 뛰어 도망쳐야 하기 ... ...
장에 사는 인체의 수호천사 비피더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감염돼 심한 설사를 일으킨다. 대변이나 입을 통해 감염되는 경우가 많다. 어린아이들이
여러
명 모여있는 곳에서 발생할 확률이 높다. 감염되면 감기 증상이 나타나고 구토가 계속되며 노란색이나 녹색을 띠는 설사를 한다. 심하면 탈수 증세를 보이다 사망한다 ... ...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책임연구원 문대원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자리에서 미국과 호주 과학자들이 문 박사가 부럽다고 했다.영문을 몰랐던 문 박사는 “
여러
분야 과학자가 함께 모여 한가지 연구를 할 수 있고, 서로의 연구에 대해 다양한 칭찬과 질타가 오가는 한국의 연구여건이 좋다”고 평가하는 그들의 설명을 듣고 고개를 끄덕였다. 지금도 문 박사는 ... ...
경쟁자 나타나자 '종의 기원' 서둘러 발표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1859년 11월 24일 영국의 머레이 출판사는 뜻밖의 행운을 잡았다. 찰스 다윈의 저서 ‘종의 기원’ 1천2백50권이 발간 하루 만에 모조리 팔려 나갔기 때문이었다. 이후 7년 만에 ... 근거로 해석되기도 했다. 이처럼 다윈의 진화론은 과학계뿐만 아니라 사회 전반에
여러
형태로 영향을 미쳤다 ... ...
02. '죽음의 입맞춤' 유비퀴틴 발견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밝혀냈다. 분해될 단백질에는 ‘유비퀴틴’ (Ubiquitin)이라는 단백질이 가지를 치듯
여러
개가 붙는다. 유비퀴틴이 붙은 단백질은 세포 내 쓰레기처리장인 ‘프로테아좀’ (Proteasome)이라는 소기관으로 들어가 아미노산 9-11개 크기의 펩티드 조각으로 잘게 잘린다. 결국 유비퀴틴이 단백질에 ‘죽음의 ... ...
4. DNA로 나노벽돌 찍어낸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싸고 화학적인 변형이 쉽다”며 “도체와 반도체 나노결정을 만들 때 틀로 이용하는 등
여러
응용분야가 있다”고 설명했다.이스라엘 텔아비브대 에후드 가지트 교수팀은 펩티드 나노튜브를 거푸집으로 써서 지름 20㎚의 은나노선을 만드는데 성공했다고 2003년 4월 25일자 ‘사이언스’ 에 보고했다 ... ...
이전
772
773
774
775
776
777
778
779
78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