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의료
요법
처치
진료
방법
치료법
구제법
뉴스
"
치료
"(으)로 총 9,940건 검색되었습니다.
DNA로 만든 ‘팝업북’? DNA 블록으로 항암제 나르는 나노 전달체 완성!
동아사이언스
l
2018.06.10
기술을 이용해 세포 침투 능력이 뛰어난 나노구조체 제작이 가능함을 확인했다”며 “암
치료
제 등의 전달체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나노 분야 국제학술지 ‘나노레터스’ 5월 14일자에 발표됐다. 독일 뮌헨공대 연구팀이 만든 DNA 조립 나노구조. 톱니바퀴 모양을 하고 ... ...
‘새 나라의 엄마’가 건강한 아이 키운다
과학동아
l
2018.06.07
생체리듬이 자녀 건강에 영향을 미친다는 증거”라며 “비만 등 생활습관에 의한 질병을
치료
하는 데 실마리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doi:10.1113/JP27558 ... ...
유방암
치료
에 희소식...면역항암제 가능성 확인
동아사이언스
l
2018.06.05
수 없을 정도로 사라졌다. 연구팀은 자하라키스 연구원은 논문에서 “유방암 환자들을
치료
할 새로운 면역항암요법이 등장했다”며 “좀 더 대규모 임상시험을 통해 확인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 ...
달걀로 개인 맞춤형 암
치료
제 개발 길 열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6.04
시험하고 이를 정확히 인지시키는 생분해성 나노입자의 효과까지 확인함으로써 항암제
치료
를 위한 필수 요소들의 최적화에 성공했다. 타마노이 교수는 “3일만에 암세포가 형성돼 놀랐다”며 “기존 모델보다 기간이 단축됐을 뿐 아니라 값이 싼 달걀로 면역겹핍쥐보다 훨씬 적은 ... ...
각막 3D 프린팅 세계 최초 성공, 시각장애인에 ‘빛’
동아사이언스
l
2018.06.04
D)으로 프린팅하는 데 성공했다. 각막 손상으로 앞을 보지 못하는 시각장애인들의 새로운
치료
대안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체 코논 영국 뉴캐슬대 교수팀은 건강한 사람의 각막에서 유래한 각막 줄기세포로 인공 각막을 대량생산할 수 있는 3D 프린팅 기술을 개발했다고 국제학술지 익스페리멘털 ... ...
머리가 다 빠진 여자 모델?
팝뉴스
l
2018.06.03
위 이미지는 해외 소셜 미디어 화제의 사진으로 떠올랐다. 다행히(?) 여성은 탈모
치료
가 필요한 대머리가 아니다. 머리에 타월을 두르고 있을 뿐이다. 그렇게 생각하면서 사진을 보면 이 여성이 활짝 웃는 게 하나도 어색하지 않다. 그런데 사진을 보고 있으면 곧 원래의 느낌으로 돌아간다. ... ...
치과 의사의 유머 감각
팝뉴스
l
2018.06.02
치아 상태가 인상을 크게 좌우한다는 사실을 깨닫게 만든다. 이 재미 있는 그림은 치과
치료
를 긍정적으로 생각하게 만든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흥미로운 일이 많이 일어납니다. 보는 이의 눈살을 찌푸리게도 만들고, 감탄을 내뱉게 만들기도 하지요. 스마트폰이 일상 생활에 ... ...
[과학사진관] BEAAMMMMM !
동아사이언스
l
2018.05.30
모여든다. 그 결과 정중앙으로 양성자들이 가속하는데, 이러한 양성자들은 암
치료
에 쓰일 수 있다. 방사형으로 퍼져나가는 원형의 파동과 간섭무늬들이 만든 굴곡진 이미지에서 옵아트가 연상된다. 작가의 TIP 파장의 길이란? 빛의 파장의 길이를 물리학에서는 람다(λ)로 말한다. ... ...
日 후생노동성, 심장 질환에 유도만능줄기세포
치료
세계 최초 승인
동아사이언스
l
2018.05.30
일본 후생노동성이 심장칠환에 유도만능줄기세포
치료
를 세계최초로 승인했다 - 사진 GIB 제공 일본 후생노동성이 심장 질환 환자 3명에 대한 유도만능 ... 적합하다고 판단했기 때문에 승인한 것”이라며 “우리의 연구가 효과가 있는지는 이번
치료
를 통해 알아내야만 한다”고 반박했다 ... ...
조로증
치료
길, 드디어 열리나
과학동아
l
2018.05.30
리모델린을 투여한 결과, 체중이 줄어드는 정도가 25% 개선됐다. 연구진은 유전자
치료
가능성도 확인했다. 실험쥐의 NAT10 유전자 발현을 억제하자 체중감소 속도가 21%가량 늦춰졌고, 심박수 감소도 완화됐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4월 27일자에 게재됐다. doi:10.1038/s41 ... ...
이전
772
773
774
775
776
777
778
779
78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