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조사
공부
탐구
학습
학업
탐사
면학
d라이브러리
"
연구
"(으)로 총 16,159건 검색되었습니다.
산호초로 기후변화 감지한다
과학동아
l
200803
우리나라에 산호는 있지만 산호초는 없다?산호는 열대해역은 물론 북극해와 수심 3000m의 심해까지 분포하지만 산호초가 만들어지는 지역은 남·북위 20도 주변의 열대해 ... 해양
연구
센터를 수시로 찾는 과학자들의 열정 덕분에 산호초가 없는 한국이 산호초
연구
강국으로 거듭나고 있다 ... ...
태안의 자연을 찾아서
어린이과학동아
l
200803
지형이 잘 발달돼 있어. 원형이 잘 보존되어 있어 사구의 형성과정이나 과거의 환경을
연구
하는 데에도 큰 도움이 돼지. 그래서 천연기념물 제431호로 지정돼 있어.”조간대밀물 때는 바닷물에 잠기고 썰물 때는 물 밖으로 드러나는 곳.해빈강물에 의해 바다로 실려 온 모래가 파도에 의해 이 곳에 ... ...
떡 속의 쫄깃쫄깃한 과학
어린이과학동아
l
200803
모든 것을 해결하기 위해‘어린이과학동아’명예기자가 숙명여자대학교 한국음식
연구
원의 진소연 박사님을 만났답니다. 먼저 떡을 만들어 볼까요? 떡에 대한 궁금증 다섯하나, 떡은 언제부터 먹었나요?떡은 밥보다 더 오래 전부터 만들어 먹은 것으로 알려져 있어요. 삼국시대의 떡 찌는 시루가 ... ...
뚱뚱한 사람은 잠이 부족해~♪
어린이과학동아
l
200802
상관없이 잠자는 시간이 부족하면 비만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관심을 끌고 있어요.
연구
팀을 이끈 에드 미첼 교수에 따르면 취학 전 어린이는 하루에 11~13시간, 학교를 다니는 어린이는 10~11시간을 푹 자야 비만을 예방할 수 있다고 합니다 ... ...
“파란색을 못 봐요~!” 딱정벌레의 진화
어린이과학동아
l
200802
오랜 시간 동안 어두운 곳에서 살아가는 딱정벌레는 파란색을 구별하지 못한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되었습니다. 미국 웨인주립대학교
연구
팀은 어두운 곳에서 살아가는 ... 곤충이나 해충의 발달과 진화에 대한
연구
뿐만 아니라 어두운 곳에서 살아가는 동물
연구
에도 도움이 될 거래요 ... ...
양성자 있어야 변비 안 걸린다
과학동아
l
200802
관찰했더니 정상 기생충과 달리 장 세포에서 양성자를 방출하지 못하고 있었다. 이에
연구
팀은 돌연변이 기생충의 장 세포와 근육 세포 사이에 직접 양성자를 주입해봤다. 그 결과 양성자는 근육 세포의 ‘수용체’ 부위로 이동하기 시작했고 장 근육의 수축이 일어나면서 배설을 못하던 돌연변이 ... ...
주사바늘의 고통이여, 안녕~!
과학동아
l
200802
파장이 아주 짧은 레이저를 쏘면 빛을 흡수해 재료가 굳어지는 성질을 이용했다.
연구
팀은 “이번에 만든 주사바늘은 길이 0.8mm에 지름이 0.15~0.3mm지만 이 기술로 다양한 크기의 주사바늘을 만들 수 있다”고 밝혔다 ... ...
블루 다이아몬드, 붉은빛의 비밀 풀렸다
과학동아
l
200802
일종의 ‘지문’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지올로지’ 1월호에 발표했다.
연구
팀은 블루 다이아몬드 67개에 자외선을 쪼인 뒤 나오는 인광을 분석했는데, 인광은 파장이 660nm(나노미터, 1nm=${10}^{-9}$m)인 붉은빛과 파장이 500nm인 청록빛이 합쳐진 결과로 드러났다.호프 다이아몬드의 인광이 ... ...
해충 바퀴가 해충 제거에 유용
과학동아
l
200802
섬뜩한 외모에 세균까지 옮긴다는 이유로 사람들이 혐오하는 해충 바퀴가 해충을 제거하는 데 유용한 익충으로 사랑받게 될지도 모른다.지난 1월 7일 미국 ... 도입하는 것은 한계가 있다”며 “앞으로 농약 대신 해충을 없애는 데 바퀴를 이용하려면 다양한
연구
가 더 필요하다”고 말했다 ... ...
근육이 내는 소리로 질병 진단
과학동아
l
200802
일정한 비율로 늘려 가면서 근육에서 발생하는 미세한 소리를 기록했다.실험 결과
연구
팀은 근육의 상태에 따라 각 센서에 포착되는 소리의 높이와 크기, 전파 속도가 각기 다르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소리는 근육이 단단하게 수축할수록 빠르게 전파됐고 근육의 크기가 작을수록 높은 소리가 났다. ... ...
이전
773
774
775
776
777
778
779
780
78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