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문
도덕과학
도덕
문화과학
문화
보존과학
보존
뉴스
"
과학
"(으)로 총 29,528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
게시판] KIST, 사업화 유망기술 교류회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2.11.02
최초의 달 탐사선 다누리 등 국가 우주개발 성과와 계획을 소개한다. 또 학생들에게 우주
과학
관련분야 진로와 앞으로 도전 가능한 우주 개발 영역을 보여줘 진로 탐색 기회를 제공한다 ... ...
"폐암‧갑상선암‧대장암 등 근거없는 과잉 건강검진 많다"
동아사이언스
l
2022.11.02
경우에만 선별검사를 계속하고 86세부터는 검진을 시행하지 않도록 권고한다. 미국 외
과학
회는 기대여명이 10년 미만이고 가족력이나 과거력이 없는 경우 대장암 검진을 하지 않도록 권고한다. 최 교수는 “일반적으로 70대 중반이 넘는 고령의 경우 암 진행 속도가 더디며 또 암 발견 후 치료 ... ...
오래된 바이올린에서 더 풍부한 소리가 나는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22.11.02
발생하는 것이 아닌, 머릿속에서 존재하는 음이었다는 분석이다. 그런데 이탈리아
과학
자가 결합음이 실제 바이올린에서 발생하며 오래된 악기일수록 결합음이 강력하다는 연구결과를 내놨다. 지오반니 세치 이탈리아 피렌체대 교수 연구팀은 이 같은 연구를 국제학술지 ‘미국음향학회저널’에 ... ...
단백질 구조 예측 AI 구글·페이스북 경쟁...'알파폴드' 대항마 'ESM폴드' 등장
동아사이언스
l
2022.11.02
가능성은 열어두겠다는 입장이다. 알파폴드 개발에 참여한 마틴 스타이네거 서울대 생명
과학
부 교수는 "(ESM폴드가) 어두웠던 영역을 해결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 ...
버려지는 나무로 수소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22.11.02
나무로 수소를 만드는 기술이 개발됐다. 포스텍은 김동표 화학공학과 교수와 류정기 울산
과학
기술원(UNIST) 에너지화학공학과 교수 연구팀이 폐목을 수소와 바닐린으로 전환하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2일 밝혔다. 바닐린은 식품이나 의약품 원료로 쓰이는 고부가가치 화합물이다. 수소는 친환경 ... ...
"장기모사칩 한계 극복"...이달의
과학
기술인상에 고승환 서울대 교수
동아사이언스
l
2022.11.02
기존의 제작방식으로 만들기 어려웠던 장기모사칩을 생산할 수 있어 추후 다양한 생명
과학
장비에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 연구 결과는 지난해 1월 국제학술지 '네이처 머티리얼스'에 게재됐다. 고 교수는 "이번 수상으로 연구 결과를 인정받아 연구자로서 자부심을 느끼며 앞으로 ... ...
[
과학
게시판]
과학
기술한림원, '2022 스웨덴-대한민국 노벨 메모리얼 프로그램'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2.11.02
수상한 분야인 '인간의 진화' '양자역학' '클릭화학'에 대해 각각 정충원 서울대 생명
과학
부 교수, 채은미 고려대 물리학과 교수, 이동환 서울대 화학과 교수가 설명한다. 또 노벨경제학상의 주제였던 '금융 위기 때 은행의 역할'과 노벨문학상의 수상 공로였던 '개인적 기억을 드러낸 용기'에 대한 ... ...
[과기원은 지금] 신기정 KAIST 교수, 정보검색 분야 학술대회 튜토리얼 강연 外
동아사이언스
l
2022.11.02
에 더 높은 해상도 화면을 구현해 몰입감을 높이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광주
과학
기술원(GIST)은 김호범 신소재공학부 교수팀이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제작에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정공수송층'에 사용될 수 있는 새로운 소재를 개발했다고 1일 밝혔다. 정공수송층은 페로브스카이트 ... ...
KIST 펠로우 제2호 연구자에 김인산 책임연구원
동아사이언스
l
2022.11.01
했다. 이러한 공적을 바탕으로 지난해 제1회 임성기 연구자상 대상을 수상하고 올해
과학
기술정보통신부 훈장 혁신장을 받았다. 김 책임연구원의 주요 연구 분야인 '엑소좀 기반 신약기술'은 초고령화에 따른 암 및 난치성 질환치료 연구에 대한 요구가 커지면서 향후 발전 가능성이 높은 분야다. ... ...
바늘보다 얇게, 머리카락만큼 가늘게…초미세 내시경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2.11.01
목표”라고 덧붙였다. 미세 내시경 개발 연구는 국내에서도 활발하다. 최원식 기초
과학
연구원(IBS) 분자분광학 및 동력학 연구단 부연구단장 연구팀은 앞서 지난 9월 350μm(마이크로미터=100만분의 1m) 두께의 초미세내시경을 개발할 수 있는 기술을 발표했다. 주사 바늘(약 500μm)보다도 가는 ... ...
이전
774
775
776
777
778
779
780
781
78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