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부
전문학부
d라이브러리
"
대학원
"(으)로 총 1,213건 검색되었습니다.
누가 다윈의 진정한 후예인가?
과학동아
l
200402
다윈의 식탁을 여기까지 이끌어오신 것 아닙니까?그런데 해밀턴 박사님이
대학원
시절을 이곳 런던정경대학에서 보내면서 현대 진화생물학의 기념비적인 논문인 ‘사회적 행동의 유전적 진화’(1964년)를 집필했다는 사실을 아시는 분은 그리 많지 않을 겁니다. 사실 더 큰 규모의 강당도 있었지만 ... ...
유인화성탐사
과학동아
l
200402
여기서 유기물 분자가 합성되고, 무기물로 산화되는 것이 방지됐다고 생각했다 시카고대
대학원
생 밀러가 유레이 교수의 지도로 환원성대기를 이용한 실험장치를 개발했다몬순이란 말은 원래 아라비아어로 계절을 의미하는 머심(mausim)에서 유래했다 아라비아해에서는 여름 반년에 부는 남서풍과 ... ...
로봇 과학자 탄생
과학동아
l
200402
빨리 답을 얻을 수 있는 가설과 실험을 선택하도록 했기 때문이다. 로봇의 실험 경비는
대학원
생들의 3분의 2에 불과했다.유전자 기능을 규명하는 실험은 과학자들이 늘 고역으로 여기던 아주 단조로운 반복작업이다. 연구팀은 “이같은 단조로운 연구를 로봇 과학자에게 맡기면 연구자들이 좀 더 ... ...
05. [시간과 생체] 우리몸은 어떻게 시간을 알까?
과학동아
l
200401
시기는 1970년대 초. 초파리의 변태가 일주기성을 갖는다는 사실에 미 캘리포니아공대
대학원
생 론 코놉카는 획기적인 가정을 세웠다. 일주기리듬을 다스리는 유전자가 존재한다는 것이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 그는 2천마리의 초파리에 약물을 먹여 돌연변이를 유도했다. 그리고 일주기리듬에 문제가 ... ...
'생물의 다살이' 낸 강원대 권오길 교수
과학동아
l
200312
단다.그의 홈페이지에는 새로 발견한 달팽이의 이름을 묻는 초등학생의 질문에서부터
대학원
진학과 졸업 후의 진로를 상담하는 재학생의 글까지 하루에도 수십개의 글들이 시간을 가리지 않고 올라온다. 그렇게 주고받은 게시판의 글만도 1만여개에 이른다.사실 생물학은 많은 학생들이 망설이는 ... ...
한국 태양광 기술 몽골 사막 밝힌다
과학동아
l
200311
다시 만났다. 알고 보니 한국의 태양광·풍력 발전기술을 배우기 위해 사업팀에 합류한
대학원
생인 투야 씨였다. 몽골인들의 코리안 드림에 한국의 기술력이 보탬이 되리라 믿는다.서로 돕는 두레 풍습에서 힌트 얻어 명명한 ‘DURE-Gobi Project’2003년 6월 유목민들에게 전기를 안정적으로 공급하고자 ... ...
1 인간의 사고가 오류투성이인 이유
과학동아
l
200310
연구들이 시작됐으며, 1995년부터 연세대, 성균관대, 서울대, 부산대 등의 순서로
대학원
과정의 인지과정 프로그램이 운영중에 있다.인류의 생물학적 진화는 현재 거의 정지됐다고 볼 수 있다. 이런 시점에서 컴퓨터와 마음, 두뇌와 문화를 연결해 인간의 한계를 창의적으로 극복하려는 인지과학의 ... ...
케이블 벗어난 인터넷을 지켜라
과학동아
l
200310
009년 9월 22일, 일산에 사는 이 대리는 오늘도 출근길 지하철 안에서 휴대전화기로 조간 신문을 읽었다. 휴대전화기 화면을 열자 자신이 정해 놓은 기준에 맞는 신문기사들이 주욱 쏟아져 나왔다. 주가와 부동산 경기, 정치권의 움직임 등 오늘의 주요 뉴스들이 일목요연하게 정리돼 휴대전화기 화면 ... ...
꼬마 소금쟁이가 물위에서 걷는 비결
과학동아
l
200309
괴물로 등장시키기는 어렵다는 말이다.음료 캔으로 만든 소금쟁이로봇기계공학과
대학원
생인 브라이언 찬은 실제 소금쟁이의 행동을 흉내내면서 표면장력과 몸무게의 이상적인 조건을 만족시키는 소금쟁이로봇 ‘로보스트라이더’(Robostrider)를 만들었다. 그는 로보스트라이더가 표면장력으로 ... ...
입자물리학 펭귄 도식이 흔들린다
과학동아
l
200309
가정에서 출발한 이론이다.벨연구팀에는 성균관대를 비롯 국내 6개 대학의교수 및
대학원
생 20여명이 참여해 공동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저명한 물리학 저널인‘피지컬 리뷰 레터스’에 실릴 예정이다 ... ...
이전
73
74
75
76
77
78
79
80
8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