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차도
드라이브길
d라이브러리
"
자동차길
"(으)로 총 773건 검색되었습니다.
바이오매스 잠재력 무한한 녹색 에너지
과학동아
l
198605
적은 비용으로 영속적인 생산이 가능하며 생태계 파괴의 우려가 없는 바이오매스가 미래의 에너지로서 주목 받고 있다. 막대한 부존량바이오매스(biomass)란 식물이 태양에너지와 이산화탄소 그리고 물을 이용하여 탄소동화작용 이라는 과정을 통해 만들어내는 모든 유기물(有機物)을 통틀어 말한 ... ...
공룡비행기, 워싱턴 상공을 난다
과학동아
l
198605
맥크레디의 최신 비행기 설계는 시계바늘을 수백만년 전으로 되돌려 놓을 것이다.폴맥크레디 라는 사람의 이름은 유명하다. 그러나 상상하기 어려운 공룡비행기를 만들고 있는 '맥크레디'가 미친 사람이 아니라는 것을 확인하기 위해 그의 비행기와 관련된 이력을 잠간 살펴보자.최초의 인력비행 ... ...
화산 지진 태풍의 섬나라-필리핀
과학동아
l
198604
북쪽의 대만과 남쪽의 보르네오 사이에 원시자연이 보존된 많은 섬들로 이루어진 필리핀군도는 아름다운 산호초가 둘러싸고 있다.7천개가 넘는 섬필리핀의 국민학교 교과서에는 이나라의 섬의 수가 모두 7천1백3개라고 쓰여있다. 이 많은 섬 중에서 이름이 붙어있는 섬은 2천7백73개 뿐이며 사람이 ... ...
세계를 변화시키는 거대 기술
과학동아
l
198603
거대기술의 세계적 권위자인 '프랭크 데이빗슨' 교수와 일본 '과학 아사히'지와의 대담으로 알아본 깜짝놀랄 내일의 기술역사를 돌이켜보면, 왕국의 분묘나 대운하 건설 같은 거대한 프로젝트는 인류문명 진보의 원동력이었음을 느낄 수 있다. 현대의 피라미드 건설, 예컨대 지구규모의 초대형 계 ... ...
염화칼슘과 자동차의 부식
과학동아
l
198603
겨울철에 차를 몰아본 사람이면 누구나 염화칼슘의 고마움을 느낄 것이다. 염화칼슘을 때맞춰 뿌려주기만 하면 웬만한 정도의 눈이 내리는 것 쯤은 문제가 되지 않기 때문이다. 질퍽거리는 게 다소 지저분하지만 빙판길에서 곡예운전을 안해도 되는 것은 순전히 염화칼슘의 덕분이다. 그러나 염화 ... ...
컴퓨터의 활용─CAD
과학동아
l
198603
건축물이 지상에 완성되기 전에 컴퓨터의 화면에서 모든 모의실험이 진행된다. 인간이 살 수 있는 최적의 환경이 완비되었는가를."30대 중반의 회사원 K씨 부부는 벽에 걸린 사진들을 바라보며 다가올 새 봄을 새삼 어린 애들처럼 조급하게 기다리고 있다. 실로 결혼생활 10년만에 지겨운 셋방살이를 ... ...
도버해협 해저터널 2백년의 꿈이 영근다
과학동아
l
198603
영국과 유럽대륙을 잇는 '도버'해협 해저터널. 연 4천5백만명의 사람과 4천만t의 화물을 운반할 터널이 바다밑 40m에 건설된다. (본고는 영국대사관에서 제공한 자료와 사진을 참고해 정리한 것이다.)유럽인들의 숙원인 '도버'해협 해저터널이 건설된다. 영국과 유럽대륙을 잇는 이 해저터널은 지난 1 ... ...
'앞바퀴 굴림차'를 알아본다
과학동아
l
198602
우리나라에서도 소형승용차의 FF(앞바퀴굴림)시대가 열렸다.FF란 Front Engine Front Drive 의 약자다. 뒷바퀴 굴림(Front Engine Rear Drive)차와 달리 엔진의 힘을 앞바퀴로 바로 전달해 굴리는 방식으로 기동성이 좋고 값이 싼것이 장점인 차다. 현대자동차가 85년에 새로 내놓은 포니엑셀이 우리나라에서 처음 ... ...
남극관측탐험대 개선
과학동아
l
198602
우리나라 남극관측탐험대가 지난해 12월 16일 개선했다. 남극대륙 최고봉을 정복하고 지질과 기상등도 관측하고 돌아왔다. 앞으로 남은 과제는 이번 경험을 토대로 한국의 항구적인 남극기지를 설치하고 남극조약에 가입하는 문제다. 기지없이 체계적탐사 불가능 남극관측사업은 남극에 영구기지 ... ...
대덕연구단지 첨단 과학기술의 메카
과학동아
l
198602
다시 각광받는 대덕연구단지 우리나라 초유의 기술도시(Technopolis)가 탄생하고 있다. 지난 74년 건설이 시작된 이래 진척이 부진했던 충남대덕연구단지가 최근들어서 부쩍 활기를 띠고 있어 머지않아 과학기술의 메카로 등장할 전망이다. KAIST와 종합과학관 등 '거물급' 과학시설의 입주가 확정된 ... ...
이전
73
74
75
76
77
7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