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단일체
객체
단일
개인
통일체
사람
d라이브러리
"
개체
"(으)로 총 1,399건 검색되었습니다.
우리가 몰랐던 D-아미노산의 세계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는 D-메티오닌과 D-류신도 다량으로 만든다.D-메티오닌과 D-류신은 비브리오 박테리아의
개체
수가 많아져 숫자가 더 이상 늘지 않는 정체기에 이르면 농도가 높아진다. 분석 결과 세포벽이 정체기의 환경 조건에 맞게 적응하도록 변화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D-메티오닌과 D ... ...
알싸한 겨울철 별미 홍어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수십만 원을 호가할 정도로 값비싼 생선이다. 환경오염이 심해지고 불법남획이 거듭되며
개체
수가 크게 줄어들면서 한때 4.5kg짜리 홍어 한 마리가 100만 원에 팔리기도 했다. 그러나 올해는 66년 만에 홍어가 대풍을 맞았다는 얘기가 들려온다. 홍어를 좋아하는 이들에게는 더없이 반가운 소식이다 ... ...
영화 ‘내 사랑 내 곁에’ 루게릭병을 잡아라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이 돌연변이 생쥐의 배반포에 주입해 정상유전자와 변이 유전자를 발현하는 세포가 한
개체
에 공존하는 키메라 생쥐를 만들었다.이 생쥐를 조사한 결과 연구팀은 정상 운동신경세포라도 변이 유전자를 발현하는 세포가 주변에 있을 때 운동신경세포가 사멸했고, 반면에 변이가 생긴 ... ...
조선시대 해양생태 보고서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이런 자의적인 분류체계를 비과학적이라는 이유로 비난하기는 어렵다. 생물 분류학은 각
개체
들 사이의 유연성에 주목해 분류의 기준을 설정한다. 우리는 이 기준을 객관적이고 절대적인 것으로 믿는다. 하지만 유사성과 차별성은 절대적인 것이 아니다. 저명한 과학 저널리스트인 매트 리들리는 종 ... ...
엽기동물 대백과사전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서로 정자를 주고받는데, 너무 많은
개체
가 태어나는 일을 막기 위해 암컷 역할을 했던
개체
가 상대방의 생식기를 갉아 먹는다. 반면 빈대(Cimex lectularius)는 수정 확률을 높이기 위해 암컷의 몸을 뚫고 핏속에 직접 정자를 넣는다.빈대 수컷에게는 사람 피를 빨아먹는 입도 있지만 암컷을 찔러 정자를 ... ...
인류 농업사 이끈 일석팔조 기술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지역의 자연조건에 적응하기 위해 갖고 있는 특성과 새로운 품종의 특성이 섞여 있는
개체
를 선별해 재배하면 된다. 현재 약 1억 2500만ha(헥타르, 1ha=1만m2)에서 재배되고 있는 GM(유전자변형) 품종도 이 같은 과정을 거쳤다.10년 이상 산고 끝에 새 품종 얻어새로운 품종이 태어나는 과정은 어머니의 ... ...
입맛과 에너지 잡는 견인차 '분자육종'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분자표지는 그 작물이 갖고 있는 유전자의 일부분이다. 오 회장은 “특정 형질을 갖춘
개체
를 좀 더 쉽고 빠르게 선발하려는 게 분자표지를 이용하는 핵심 목적”이라며 “분자표지는 분자육종의 한 수단일 뿐”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한편에선 분자육종이 결국은 GM 작물을 개발하는 방향으로 ... ...
육종기술이 바꾼 풍성한 우리 식탁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빨리 익고 육질이 좋은 일본 품종 2가지를 교배한 다음, 우리 풍토에 잘 적응한
개체
를 선발한 결과다. 이 같은 육종 덕분에 추석에도 크고 단 배를 맛볼 수 있게 됐다.국내에서 재배하는 배는 대부분 동양배. 서양배나 중국배에 비해 육종이 쉽지 않다. 국립원예특작과학원 김정희 박사는 “동양배는 ... ...
“네안데르탈인 너무 적어 빨리 멸종”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개체
가 짝짓기를 할수록 유전자가 더 많이 뒤섞여 다양하게 나타나기 때문이다.연구팀은
개체
수가 적었던 네안데르탈인이 갑작스런 환경 변화 같은 사건에 매우 취약했을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생존을 위해 자연에서 같은 식량자원을 공유해야 하는 현생 인류의 등장도 네안데르탈인의 멸종에 ... ...
유전의 핵심은 DNA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폐렴쌍구균 실험으로 DNA가 형질전환을 일으키는 물질임을 확인할 수 있다.DNA의 양을 증폭시킬 수 있는 PCR기술을 통해 생명과학기술은 크게 발전했다.DNA는 종을 결정짓는 부분과
개체
를 구분할 수 있는 부분으로 이뤄진다. ...
이전
73
74
75
76
77
78
79
80
8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