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결과"(으)로 총 16,304건 검색되었습니다.
- [만화 뉴스] 순식간에 합쳐지는 물방울, ISS에서는 느리게 합쳐진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2호
- 물방울의 질량도 커져서 천천히 움직이며 합쳐지는 과정을 잘 관찰할수 있죠. 관찰 결과, 두 물방울이 합쳐지며 둘 사이에 다리가 생기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연구팀은 앞으로 3개 이상의 물방울이 합쳐지는 모습을 관찰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 ...
- [기획] 호주엔 원래 토끼가 없었다? 생물보안의 중요성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2호
- 단 한 사람, 또는 소수의 사람들이 생각없이 한 행동으로 환경에 엄청나게 파괴적인 결과를 불러일으킬 수 있단 걸 보여줬어요. 생태계를 안전하게 지키는 데는 특정 몇 사람이 아닌, 우리 모두의 인식이 중요한 거죠. 만약 동식물을 이전에 그들이 존재하지 않았던 장소에 풀어놓는 등 생태계 안전에 ... ...
- [도전! 섭섭박사 메이커] 넌 다리가 몇 개니? 귀뚜라미 로봇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2호
- 보조장치를 말합니다. 누가 조립하더라도 힘들이지 않고 효율적으로 작업해 일정한 결과물을 만들 수 있도록 도와주죠. 특정 각도를 그리기 위해 사용하는 삼각자도 일종의 지그라고 할 수 있어요. 알아보자!빛으로 신호를 보내는 반딧불이 로봇 작년 6월, 미국 매사추세츠공과대학교(MIT) ... ...
- [이달의 과학뉴스] 바이러스 먹고 사는 플랑크톤 최초 발견과학동아 l2023년 02호
- 바이러스를 섭취한다는 것을 확인했다. 클로로바이러스의 DNA에 형광염료를 부착해 섭취 결과를 명확히 알 수 있었다. 단 둘 간 차이는 있었다. 짚신벌레는 바이러스를 섭취하는 동안 크기와 개체수가 거의 변하지 않았다. 반면에 할테리아는 개체수가 이틀 만에 약 15배 증가했다. 같은 기간에 ... ...
- [특집] 인공지능과 함께 살다과학동아 l2023년 02호
- 뒤를 이었다. SK텔레콤이 AI 스피커 ‘누구’와 사용자들의 대화 내용을 분석한 결과도 비슷하다. 2020년 1월부터 11월까지 수집한 데이터에 의하면, 사용자들이 AI에게 가장 많이 건넨 감성 단어는 ‘고마워’였다. 그 중 10~20대는 ‘월요일이 싫어’나 ‘또 혼밥했어’ 등 일상 대화를 건네는 경향도 ... ...
- [이세인의 ‘미지의 유인원’] 영장류 세계에도 ‘공짜 배움’은 없다과학동아 l2023년 02호
- 온(?) 개체가 새 기술을 선보이거나 먹이를 찾는 데 능숙하면 그를 따라 배운다는 연구결과가 있다. 성체가 되고 다른 그룹으로 독립한 뒤에도 사회적 학습은 계속 이어진다. 이처럼 사회적 학습은 종별, 나이대별, 상황별, 집단별로 다양하다. 자바긴팔원숭이가 보인 사회적 학습 특성이 사회적 ... ...
- [한승전의 ‘초(超)재료’] 초효율 전기모터 구현할 초자성 금속과학동아 l2023년 02호
- 원자핵을 중심으로 전자가 회전할 때, 전자의 이동 방향과 반대로 전류가 발생하고, 그 결과 자기장이 유도되는 원리다. 전자는 원자핵 주위를 공전하는 동시에 스스로 회전하는 특성(스핀)이 있어서 이론적으로는 전자 하나하나도 자석이 될 수 있다. 작은 고추가 맵다고, 전자 하나가 발휘하는 ... ...
- [논문탐독] 휜 숟가락 펴기 힘든 이유과학동아 l2023년 02호
- 우리가 쓰는 숟가락도 마찬가지입니다. 과학자들은 결함을 현미경으로 연구한 결과 이것이 일차원 구조의 선형 결함이라는 사실을 발견하고, 이런 결함을 ‘전위(dislocation)’라고 부르기로 했습니다. 실제로 전자현미경으로 얇은 구리 박막을 관찰하면 실 같은 선형의 결함들이 아주 많습니다. ... ...
- [SF소설] 나의 채티에게과학동아 l2023년 02호
- 받았다. 대표는 대상 계층을 전 연령으로 확대하고 출시일을 미루며 기술을 보강했다.결과는 대성공이었다. 전례 없는 완성도로 출시와 동시에 전국적인 열풍을 일으켰다. 채티는 채팅 어플계의 혁신이자 인공지능 발전의 특이점이라 불렸다. 1차로 컴퓨터 전용이 개발되었고 1년의 간격을 두고 ... ...
- [기획] 바삭바삭 튀겨라! 튀김의 과학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1호
- 과학자의 공통점이 뭔가요?요리와 과학 실험 모두 계획적이고 통제된 과정을 통해서 결과를 검증하는 과정이라는 점에서 똑같습니다. 그래서 최근에는 전통 요리에서 해왔던 경험적인 부분을 과학적인 원리로 밝혀내고 분석해 발전시키려는 노력이 활발합니다. Q사람들은 왜 맛있는 음식을 ... ...
이전73747576777879808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