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산업
생산업
실업
부지런
근면
기업
사업
d라이브러리
"
공업
"(으)로 총 1,074건 검색되었습니다.
상반기중 정보산업수출 30% 증가
과학동아
l
1989년 10호
지난해 같은 기간의 증가율 57.5%에는 못미치지만 상반기중 전체 수출증가율 7.4%, 전자
공업
수출증가율 15%를 훨씬 상회하는 수치이다. 이러한 성장을 뒷받침하고 있는 것은 반도체산업의 꾸준한 호황덕분이다. 반도체소자부문은 지난해보다 무려 46% 늘어난 18억달러의 수출액을 기록, 정보산업 ... ...
환경과 공해연구회
과학동아
l
1989년 09호
속한다. 회장인 김정욱교수를 비롯 김상종교수(서울대 미생물학과) 이정학교수(서울대
공업
화학과) 황상익교수(서울대 의대) 신동천교수(연대 의대) 조중래교수(한양대 교통공학과) 김환석박사(과학기술연구원) 윤종현변호사 등 8명이 전문위원으로 위촉돼 있다.이들의 면면을 보면 거의 30대중반의 ... ...
50만년전의 숨결 북경원인의 고향, 주구점을 보고
과학동아
l
1989년 09호
'앤더슨'(1874~1960)과 '스단스키' 등이 발굴하기 시작하였다. 당시 앤더슨은 중국정부의 광
공업
고문으로 초빙되어 광산 등을 탐사하고 있었다.앤더슨은 탄광의 고문자격으로 왔기 때문에 그가 주구점 일대를 탐험 조사하게 된 것은 우연한 일만은 아니었다. 지질학자인 그가 용골산의 석회암 동굴에서 ... ...
PARTⅠ날로 용도가 확대되는 태양열 발전
과학동아
l
1989년 09호
취사·태양열 건조·태양 증발·태양 연못(ㄴ)·중간온도 활용(1백20℃~3백20℃)·
공업
용 증기발생·태양 엔진(ㄷ)·고온 활용(2백60℃~3천9백℃)·태양열 발전(2백60℃~1천1백℃)·태양로(2천2백℃~3천9백℃)집광형과 평판형으로 나뉘어먼저 태양열 집열기에 대해 알아보자. 집열기는 태양 복사열을 쉽게 ... ...
공학도의 작은 변신
과학동아
l
1989년 09호
새로운 단백질을 합성하는 연구도 최근 주목받고 있다. 또 생물환경공학을 응용한
공업
폐수처리 역시 시급한 연구과제라고 할 수 있다.이와 같이 유전생물공학의 능력은 헤아릴 수 없을 정도로 무한하다. 그런데 아직까지는 미지의 학문세계이므로 학문적발전과 산업화를 위해 더욱더 많은 ... ...
3천미터 심해탐사선을 목표로
과학동아
l
1989년 09호
해양산업이 크게 확대되어 갈 것이라는 점을 우리에게 일깨워주고 있다. 수산업이나 조선
공업
해운업 해양엔지니어링을 포함하는 해양산업은 2천년대 초반에는 세계 시장규모가 연간 약 9백억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우리나라가 해저탐사 작업 시스템 등의 분야에서 괄목할만한 기술 진전을 ... ...
공업
디자인
과학동아
l
1989년 09호
디자인의 미숙상태가 이러한 필요성을 더욱 부각시키고 있는지도 모른다. 매스컴에서
공업
디자인을 유망분야로 선전하고 정책적으로 디자인을 장기적인 안목에서 육성하겠다는 소리도 들리고 또 경제적인 여유가 생기면서 그동안 생각지도 못했던 생활공간에 대한 인식이 고조되는 등등. 어느 ... ...
16비트PC,KS 규격화
과학동아
l
1989년 09호
6비트 퍼스컴에 대한 KS규격이 제정됐다.
공업
진흥청은 최근 국가기간전산망구축과 교육용 PC보급의 확대에 따라 컴퓨터 기종간의 호환성을 높이는 작업이 시급하다고 보고 국가표준규격(KSC5842)을 정해 공표했다.공진청이 발표한 PC의 KS규격은 △텍스트, 흑백및 컬러그래픽에 대한 한글·한자 ... ...
중국의 과학기술 정책
과학동아
l
1989년 08호
하나는 대부분의 연구원과 기술자가 국가경제 발전에 봉사하도록 하는 것이다.
공업
분야에서는 에너지 교통 통신에 중점을 두어 발전시키고 농업분야는 식량증산을 목표로 하도록 한 것이다.중국 전체인구의 80%가 지금 농촌에 살고 있다. 그 농촌에 과학기술을 보급하기 위하여 ‘불꽃계획’(The ... ...
인공장기 시대를 여는 신소재
과학동아
l
1989년 08호
화상에 의한 피부손실을 해결하기 위한 인공피부도 활발히 개발되고 있다. 한양대
공업
화학과 김계용교수팀은 최근 젤라틴과 키틴을 합성, 사람의 피부와 유사한 인공피부를 만들어내는 데 성공했다고 발표했다. 이 인공피부는 화상이나 상처로 손상된 피부에 얹혀, 외부로부터 세균침투를 막는 ... ...
이전
73
74
75
76
77
78
79
80
8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