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기업"(으)로 총 3,387건 검색되었습니다.
- 김민형|전 국민을 수학과 사랑에 빠트리다과학동아 l2019년 04호
- 필요가 없다”고 덧붙였다. 영국에서는 박사과정을 우수하게 마친 수학 전공자들도 기업에 취직하는 경우가 꽤 있다는 게 그의 설명이다. 한 가지 길에 얽매이지 말고 진로를 자유롭게 생각해보라는 조언에서 후배 수학도들에 대한 그의 진심이 느껴졌다 ... ...
- [SW 진로체험] 정보보안 이끄는 튜링의 후예수학동아 l2019년 03호
- 어떤 일을 하나요?삼성SDS는 쉽게 말해 소프트웨어(SW) 회사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기업에서 필요로 하는 SW를 개발하고, 수많은 데이터를 이용해 새로운 사업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시스템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블록체인 기술을 적용한 SW도 개발했습니다. 이런 모든 SW에는 정보 보안이 ... ...
- 화면만 터치, 디스플레이 지문인식과학동아 l2019년 03호
- 있다”고 말했다. 세계적 정보기술(IT) 기업인 미국의 퀄컴이나 국내 생체인식 전문기업인 베프스 등은 수년 전부터 스마트폰 디스플레이에 내장형으로 들어갈 수 있는 초음파 지문센서를 개발해 시제품을 발표했다.현재까지 개발된 초음파 지문인식 센서 모듈은 약 1cm2 크기로, 약 64~100mm2 면적의 ... ...
- 하늘에서 인공 별똥별이 쏟아져과학동아 l2019년 03호
- 도시에서도 이런 ‘우주쇼’를 볼 수 있는 기회가 곧 생길지 모른다. 일본의 벤처기업 ALE(Astro Live Experiences) 는 2011년부터 인공 유성우를 만드는 ‘스카이 캔버스 프로젝트(하늘을 캔버스로 만들어 아름다운 것들을 그리겠다는 뜻)’를 추진해 왔다. 그리고 올해 1월, 실제 시험 단계에 돌입했다.이 ... ...
- 스티븐 호킹 서거 1주년, 먼지가 된 호킹과의 대화과학동아 l2019년 03호
- 낼 수 있는, 완전히 새로운 형태의 에너지가 필요합니다. 저는 2016년 유리 밀너라는 기업가와 협력해 ‘브레이크스루 스타샷’이라는 장기적 연구 및 개발 프로그램을 출발시켰습니다. 이 프로그램은 성간 여행을 현실로 구현하는 것이 목적입니다. 만일 이것이 성공한다면 지금 살아 있는 사람들이 ... ...
- [과학뉴스] 유인 우주선 ‘스타십’ 등장!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3호
- 11일, 미국의 우주탐사기업 스페이스X의 최고경영자(CEO)인 일론 머스크는 트위터에 달과 화성으로 향할 유인 우주선 ‘스타십’의 시제품 ‘스타십 호퍼’의 모습을 공개했어요. 스타십은 지름 9m, 높이는 약 37m로 최대 100명까지 탈 수 있으며 2023년 달로 향할 계획이에요. 스타십 호퍼의 전체 형태를 ... ...
- 수압, 감수하시겠습니까... 해저 36m 수중 데이터센터과학동아 l2019년 03호
- 경우도 있다.국제환경단체 그린피스는 2017년 1월 미국과 한국, 대만, 중국 등 주요 IT 기업들의 데이터센터 전력 사용 실태를 비교 분석한 ‘2017 깨끗하게 클릭하세요’라는 글로벌 보고서를 발표했다. IT 분야는 2012년 기준 전 세계 전력 소비량의 7% 정도를 소비하는 것으로 추산됐다. 2017년에는 12%를 ... ...
- [이달의 PICK] 숙제할 때 찾는 위키백과 서로 못 믿어서 내용이 정확해졌다?과학동아 l2019년 02호
- 직면할 편견을 고칠 의무가 우리 모두에게 있다고 믿는다. 내가 교육 정책이나 다국적 기업의 광고를 바꾸기는 어려울 것이다. 하지만 나는 사람들이 온라인에서 보는 것들을 더 평등하게 만들 수는 있다. 우리 모두 위키백과를 편집할 수 있다. 무엇이 역사가 될지는 우리가 결정한다 ...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날개 없는 비행기 콘테스트!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2호
- 다시금 바람으로 움직이는 배에 대한 관심이 생기고 있어요. 독일의 풍력 에너지 기업인 ‘에너콘’이 제작한 ‘E-ship 1’이나 핀란드의 선박회사 ‘바이킹 라인’이 만든 ‘MS 바이킹 그레이스’가 대표적이랍니다. 이 배들은 돛이 아닌, 커다란 원통을 달고 있지요. 이 원통은 ‘로터 세일’이라고 ... ...
- [이달의 PICK] 분노는 발명의 어머니? 난다 화가, 한다 발명과학동아 l2019년 02호
- 기자회견에서 이렇게 말했다. 1980년대 후반, 나카무라 교수가 일본의 화학분야 중소기업인 니치아 화학공업에 재직할 당시 적색과 녹색 LED는 있었지만, 청색 LED는 없었다. 나카무라 교수는 “당시 사장이 ‘청색 LED는 만들어지지 못할 것’이라고 말해 화가 났고, 나는 청색 LED를 개발하게 ... ...
이전73747576777879808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