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방사능
방사
복사선
방사물
d라이브러리
"
방사선
"(으)로 총 918건 검색되었습니다.
(2) 유해시비 붙은 식품첨가물들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소련의 체르노빌원전사고로 인한 방사능 오염지역으로부터 수입한 식품원료의 잔류
방사선
유무의 논란 등 선진국의 개방압력으로 야기된 수입식품 사고가 가끔 발생했다.톱밥 유해색소 고추씨로 만든 가짜 고추가루, 밀가루 비지 인공감미료 조미료 공업용 타르색소를 섞어서 만든 가짜 고추장 ... ...
실내공기 약품오염 심각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할지라도 장기간 폭로되면 백혈병이나 각종 암발생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따라서
방사선
안전취급자에 대한 철저한 교육이 수반돼야 한다.레지오넬라병과 폰티악열병을 일으켜일곱째로 환자나 환자가족 또는 병원근무자가 피는 담배의 연기도 병원공기를 혼탁하게 한다. 흡연시 발생하는 각종 ... ...
21세기 미래기술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가장 주목받는 것은 핵융합이다. 핵분열을 이용한 원자력과는 달리 인체에 유해한
방사선
을 방출하지 않으며, 원료인 중수소가 바닷물속에 무한정(바닷물 1㎥당 34g) 존재하기 때문이다. 실용화 시기는 2050년경으로 예상되며 일본보다는 미국 유럽쪽이 앞서 있다. 해결해야 될 과제로는 초전도자석의 ... ...
(1) 21세기는 무선통신 천국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본격적인 전파의 시대가 개막됐다.전자파에는 빛 X선 알파(α) 베타(β) 감마(γ) 등의
방사선
이 모두 포함되어 있지만 보통은 국제전기통신연합(ITU)에서 정의한대로 '인공적인 도체에 의하지 않고 공간을 전파하는 전자파로서 주파수가 3천㎓이하인 전자파(electromagnetic wave)'를 전파(radio wave)라고 ... ...
(2) 전자기학을 확립해온 사람들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그들의 본질을 밝힌 전자기이론이 확립됨으로써 비로소 빛과 통신에 쓰이는 전파 X선
방사선
이 모두 전자기파의 한 갈래라는 사실이 정리됐다. 나아가서 이 이론은 상대성이론의 기초를 마련해 주기에 이른다.이 전자기이론의 기원을 더듬어 보자.17세기에 이르러 독일의 물리학자 오토 폰 게리케 ... ...
유전공학식품, 안심하고 먹을 수 있나?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있고, 많은 식품위생학자들이 계속해서 의혹의 눈길을 보내고 있으나, 사카린이나
방사선
처리식품의 경우처럼 앞으로도 어떤 결론을 얻기란 쉽지 않을 전망이다.EDF는 아미노산의 일종인 L-트립토판이 2년 전에 일으킨 유전공학식품 유해시비를 아직도 염두에 두고 있는 듯 하다. 일본의 쇼와 덴코사 ... ...
특집2 기억력 갖거나 수소 먹고 사는 특수기능 지닌 마법의 금속들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센서로 쓰일 수 있다. 또한
방사선
을 쬐도 전기전도도가 변하거나 색깔이 바뀌므로
방사선
센서로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이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이밖에도 고집적반도체의 재료로, 전자파를 차폐할 수 있는 전자제품의 겉껍데기로도 널리 쓰일 예정이다.국내 KIST에서는 공기중에서 금방 산화되는 ... ...
3. 핵실험 무엇이 문제인가?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폭발지점으로부터 1백 ㎞지점에 있더라도 그곳에서 오랫동안 노출돼 있으면 치명적인
방사선
량을 쏘이게 된다. 이 영향은 무려 1천㎞까지 확산된다. 과거 중국에서 대기권 핵실험을 실시했을 때 편서풍을 타고 한국 및 일본에까지 방사능이 날아온 적이 많았다.마지막으로 전자기장(EMP, Electric ... ...
1. 핵무기와 원자로 어떻게 다른가?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이른바 탈핵(脫核)시대 또는 비핵시대가 도래하고 있는 듯한 느낌이다.엄청난 파괴력과
방사선
의 위력 때문에 인류의 존재 자체를 위협하는 요인중 하나로 꼽혀왔던 핵무기의 감축 내지는 궁극적인 희망으로서의 소멸은 고무적인 현상이 아닐 수 없다. 그렇다면 핵폭탄과 같은 원리로 에너지를 ... ...
합리적인 우주고려장제도 절실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중간고도에 위치한 '반알렌대'를 1일 4회 통과할 수밖에 없다. 결국 이 위성의 장비들은
방사선
에 피폭돼 수명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겨우 3년 정도로 단명하기도 한다. 이 우주쓰레기는 방사낙진과 같은 위협적인 것으로 간주된다.군사첩보위성에 양적으로 앞선 소련의 저궤도(약 4백㎞ 미만 고도) ... ...
이전
73
74
75
76
77
78
79
80
8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