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연구실"(으)로 총 2,011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변기 고치는 데 드는 수백억, 아낄 수 있어요”과학동아 l2015년 05호
- 다른 팀 중에는 대학과 연계해서 지원을 받는 팀도 있더라고요. 지도교수님도 있고, 대학 연구실도 쓰고…. 우주변기 시제품을 만들 때는 3D프린터를 구할 수가 없어서 고생하다가 대회 3일 전에 부랴부랴 인쇄했던 게 기억이 납니다.Q 우승까지 할 것이라곤 예상하기 어려웠겠네요.A 전혀 생각도 ... ...
- [지식] 전기 신호로 심장을 다시 뛰게 하다!수학동아 l2015년 05호
- 심장박동과 같은 수치를 측정하는 기구를 개발하며 지냈다. 그러던 어느 날, 우연히 연구실에 찾아온 외과 의사들과 점심 식사를 같이 하게 됐다. 그들은 식사 자리에서 심장에 대한 이야기를 나눴다.1950년대 당시 심장외과 의사에게는 한 가지 고민이 있었다. ‘심장박동을 전달하는 신경’을 잘 ... ...
- [생활] 어벤져스 vs인공지능 울트론 인류 생존을 건 전쟁의 승자는?수학동아 l2015년 05호
- 2012년에 흥행했던 마블스튜디오의 영화 ‘어벤져스’가 속편 ‘어벤져스 : 에이지 오브 울트론’으로 지난 4월 23일에 돌아왔다. 어벤져스 시리즈에는 마블이 탄생시킨 슈퍼히어로 캐릭터가 총출동한다. 과학적으로 설계한 수트를 입은 ‘아이언맨’과 천둥의 신 ‘토르’, 초록빛을 띠는 어마어 ... ...
- [Hot Issue] ‘멍~ 때리는 동물?’ 파충류는 억울해과학동아 l2015년 05호
- 길이 난 미로를 이용해 거북의 공간기억능력을 검사해 봤다. 검사를 위해 버가트 교수 연구실의 마스코트였던 ‘모세(Moses)’라는 애칭의 젊은 암컷 붉은다리거북이 나섰다. 연구팀은 모세가 미로 내에 각각 떨어져 설치된 8개의 먹이를 길을 잃지 않고 전부 먹을 수 있는지를 확인했다. 그 결과 ... ...
- [Life & Tech] 영어 공부에서 해방되는 그 날 올까?과학동아 l2015년 05호
- 높일 수 있다. 통역비서 애플리케이션 ‘지니톡’을 개발한 김상훈 ETRI 자동통역연구실장은 “규칙기반은 통계기반과 달리 어순이 다른 언어끼리도 수준 높은 번역이 가능하다”며 “지니톡의 한영 통역(규칙기반)도 구글 한영 번역보다 정확도가 높다”고 말했다.SK텔링크와 합작해 업계 최초로 ... ...
- [10년 후 나를 디자인한다] “공학과 의학의 만남이 인공피부를 만든 거죠”과학동아 l2015년 05호
- 저희는 전자소자를 개발할 수는 있어요. 하지만 임상실험을 진행하기는 어렵죠. 우리 연구실에도 다양한 전공의 학생들이 모여있습니다. 하나의 시스템을 만들기 위해선 여러 분야의 전문가들이 힘을 합쳐야 합니다.Q 전공을 고민 중인 학생들에게 조언을 한다면우리나라는 전공을 결정하는 시기가 ... ...
- [생활] 인간을 닮은 컴퓨터, 인공지능수학동아 l2015년 04호
- 컴퓨터를 켜자 OS가 내게 인사를 건넨다. 시무룩한 내 얼굴을 보곤 이렇게 말한다. “우울모드도 좋은데, 그럴수록 힘을 내야지! 시험은 다음에 더 잘 보면 돼.” 오늘 학교에서 친 수학시험의 성적과 조금 전 페이스북에 남긴 내 글을 벌써 본 모양이다. OS가 기분 전환에 좋은 음악을 틀어 주고, 수학 ... ...
- [Knowledge] 건축물 진단하는 ‘문화재 의원’과학동아 l2015년 04호
- 그 결과를 토대로 중점적으로 관리할 ‘중점관리대상’을 56개 선정했습니다. 건축문화재연구실은 그 중 구조와 관련이 있는 23건을 맡았습니다.조 연구관은 스스로를 문화재를 진찰하는 ‘의원’에 비유합니다. 정기적으로 검진을 하고, 이상이 있거나 더 자세한 진단이 필요한 경우 정밀조사를 ... ...
- [Knowledge] 유로파를 향해 떠나다과학동아 l2015년 04호
- 원로 과학자와의 만남그해 어느 날이었다. 인근 초등학교에서 강연을 마친 뒤 연구실로 돌아오니 책상에 입체 홀로그램 메시지가 와 있었다. ‘우주거북선 프로젝트’, 즉 유로파 유인탐사선 프로젝트의 국내 비밀 자문단 회의였다. 자문단은 20년 전에 항우연이나 대학을 정년 퇴임한 원로 ... ...
- 컴컴한 눈 대신 마음으로 연구 시각장애 뛰어넘은 수학자들수학동아 l2015년 04호
- 힘든 고차원적인 공간을 연구했다. 이에 대해서 러시아과학아카데미 수학적방법학연구실 알렉세이 소신스키 선임연구원은 그가 쓴 책 에서 “3차원 이상의 고차원은 공간적 상상력으로만 생각할 수 있다”며 “오히려 눈이 보이는 것이 고차원을 상상하는 데 방해가 될 수 ... ...
이전73747576777879808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