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영역"(으)로 총 3,218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인공지능, 바둑에 도전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7호
- 대결해 이긴 인공지능은 없었대. 그건 바둑이 ‘인공지능이 도전할 수 있는 최후의 영역’으로 여겨질 만큼 엄청 어려운 게임이기 때문이야.바둑은 가로, 세로 19개의 점으로 이루어진 격자 모양에서 흑과 백, 단 두 색의 돌로 대결하며 자신의 집을 넓혀가는 경기예요. 이때 빈 바둑판에 흑이 ... ...
- Part 5. 인공지능과 함께할 미래의 모습은?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집사와 함께?이제 인공지능은 바둑뿐만 아니라 기사 작성이나 그림, 교육 같이 인간의 영역이라 생각했던 분야에까지 진출했어요. 그런데 인공지능은 사람의 뇌처럼 복잡하고 다각적인 사고를 하지 못해요. 또 알파고의 바둑, 왓슨의 퀴즈나 의료처럼 어느 한 분야만 잘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지요 ... ...
- [수학뉴스] 수능 잘 보는 비법은 아침밥수학동아 l2016년 07호
- 고득점을 얻을 확률이 아침밥을 먹는 학생과 비교해 46% 수준으로 낮아졌고, 다른 영역은 큰 영향을 받지 않았습니다.이번 조사에서 전체 학생의 61.5%가 아침을 매일 챙겨 먹고 있고, 나머지 38.5%는 일주일에 하루 이상 아침을 거르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 연구 결과는 질병관리본부가 발간하는 ... ...
- [과학뉴스] 광유전학 치료 임상 돌입… 신경 치료 새 빛과학동아 l2016년 07호
- 빛을 이용해 뉴런의 활동을 자극하는 기술인 광유전학을 환자 치료에 응용할 수 있을까. ‘네이처’는 5월 19일 미국 레트로센스 세라퓨틱스사가 3월 세계 최초 ... 교수는 ‘네이처’와의 인터뷰에서 “광유전학은 신경질환 치료에 있어 완전히 새로운 영역을 개척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 ...
- [Knowledge] 티라노사우루스는 부채춤을 췄을까?과학동아 l2016년 07호
- 한다.팔굽혀펴기를 하는 종류도 있다. 갈라파고스 제도의 용암도마뱀 수컷들은 자신의 영역에 침입자가 들어오거나 마음에 드는 암컷이 지나갈 때 열심히 팔굽혀펴기를 한다. 2015년 미국 알마대의 생물학자 데이비드 클라크 박사팀은 갈라파고스 제도에 사는 용암도마뱀들의 팔굽혀펴기 방식을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최시원, 꽃처럼 피었다 지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7호
- 그래서 식물의 잎은 대부분 녹색이에요. 잎의 엽록체에 있는 엽록소가 가시광선의 영역 중 초록색을 반사시켜 우리 눈에 초록색으로 보이지요. 그런데 식물이 초록색이기 때문에 초록색 빛으로 광합성을 한다고 생각하는 친구들이 많아요. 하지만 식물이 광합성을 할 때 사용하는 빛은 빨간색과 ... ...
- Intro. 별의 요람, 은하의 파괴자 활동성 은하핵과학동아 l2016년 07호
- 활동성 은하핵(AGN, Active Galactic Nuclei)보통 이상의 광도를 내는, 은하 중심의 매우 좁은 영역. 전파, 적외선, 가시광선, 자외선, X선 등 다양한 파장에서 대량의 에너지를 방출한다. AGN 중심에 존재하는 거대질량 블랙홀이 주변의 별과 기체를 빨아들이는 과정에서 나오는 것으로 추정된다 ... ...
- [News & Issue] ‘다중신호 천문학’ 시대 열린다과학동아 l2016년 06호
- 했다. 여기에는 전파, 가시광선, 근적외선, X선, 감마선 등 빛의 모든 스펙트럼 영역이 포함됐다.당시 후속관측에선 빛이 관측되지 않았다. 물질이나 전자기파가 나오지 않는 블랙홀 쌍성 병합이었기 때문이다. 김정리 박사는 “그래도 중력파-전자기파 연계관측은 확실히 연습이 됐다”면서 “이제 ... ...
- [Tech & Fun] 이래도 사람, 저래도 사람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아빠가 되는 것은, 정자가 만들어지는 순간부터 시작된 일이었다. 개입할 여지가 없는 영역이라 생각했던 그 과정이 사실은 ‘하기 나름’이라고, 최신 유전학 연구 결과들이 말한다. 아빠가 먹는 음식과 생각, 마음가짐이 아이에게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었다. 그런 점에서 아빠가 아이에게 ... ...
- [News & Issue] 웨어러블 미생물 전지 시대!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있다”고 말했다. 예를 들어 호수나 늪의 바닥을 파헤치면 산소 농도가 굉장히 낮은 영역이 있는데, 그 안에 유기물을 분해해 전기를 만들 수 있는 미생물이 한 종류 이상은 있다. 과학자들은 이런 미생물의 특성을 가리켜 ‘유비쿼터스’라고 표현한다. 우리 주변 어디에나 있다는 얘기다. 이를 ... ...
이전73747576777879808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