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결합
통합
종합
혼합
조합
교류
융해
d라이브러리
"
융합
"(으)로 총 1,617건 검색되었습니다.
UNIST 세계무대 떠오르는 강자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노벨상 수상자를 배출하고 수상자의 이름을 따서 다리 이름을 붙이겠다는 의도다. 첨단
융합
학문분야의 글로벌 리더를 배출하겠다는 UNIST의 비전을 가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이를 위해 조 총장은 선택과 집중을 강조했다. 그는 “하버드대나 MIT도 모든 분야에서 최고는 아니다”라면서 “선택과 ... ...
2012 토슨 브릿지학회 피카소부터 마임까지
융합
수학이 떴다!
수학동아
l
2012년 09호
갖게 되자 성적이 오른 거죠.이를 통해 수학이 발전하기 위해선 수학과 다른 학문과의
융합
이 중요하다는 생각을 했어요. 1998년 뜻을 같이 하는 수학자와 과학자, 예술가들이 모여 제1회 브릿지학회를 만들었답니다. 학회를 열면 여러 분야의 사람들이 모여 서로의 아이디어를 공유할 수 있어 연구의 ... ...
지능형 자동차 IT 연구센터 똑똑한 자동차가 온다!
수학동아
l
2012년 09호
와서 공부하면 누구나 미래 자동차를 만들 수 있어요. 미래 자동차 기술은 여러 분야가
융합
돼 있어 대학에선 이공계와 관련된 어느 분야를 공부해도 좋습니다. 그런데 반드시 갖춰야 할 능력이 있어요. 바로 상상력이죠. 미래 자동차는 상상한대로 발전하기 때문에 기발한 상상력과 독특한 ... ...
슈퍼컴퓨터로 치매 조기진단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그래픽스 기술을 뇌영상 분석에 적용하는 연구를 하고 있다. 뇌과학이 여러 학문들의
융합
에 의해 발전할 수 있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좋은 사례다.뇌영상을 분석해 개인별 뇌질환을 정확하게 진단하기 위해서는 수천 명의 뇌영상 데이터를 분석해 방대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해야 한다. 2012년에는 ... ...
맥가이버는 영재학교 갈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과학을 학습하는 가장 큰 이유 중 하나이기 때문이다. 특히 2013학년도 영재학교에서는
융합
이라는 단어가 쓰이기 시작했다. 실제로 여러 학문 분야를 아우르고 이를 이용해서 복합적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미래 인재들에게 필요한 덕목이 돼가고 있다는 의미다. 창의성 문항 중에는 다양한 형태의 ... ...
극한광으로 보는 나노세계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1952년 영국의 생물물리학자 로절린드 프랭클린은 ‘X선 회절분석’을 통해 핵 속의 DNA가 이중나선구조라는 것을 처음으로 밝혀냈다. 회절분석이란, 파동이 ... 극한광을 통해 나노세계를 자유자재로 보려는 CELA의 노력이 국내 여러 나노기술 분야와
융합
해 커다란 도약을 하길 기대해 본다 ... ...
수학·과학 외 영역도 챙기자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치우친 독서보다는 이공계를 꿈꾸더라도 인문학 책을 폭넓게 읽는 것이 인성발달이나
융합
적 사고습관을 기르는 데 도움이 된다. “수학과 과학을 좋아하고 그 분야의 책을 많이 읽는구나. 일단 이공계를 선택하는 것이 맞는 것 같네.” 교과 성적도 수학과 과학만 높은 성적을 유지했다. ... ...
1. 그 많던 말들은 다 어디로 갔을까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다른데 어떤 종류는 크고 어떤 종류는 절반 크기로 퇴화했다. 또 앞다리의 요골과 척골이
융합
해 다리의 뒤틀림을 막았고 뒷다리의 종아리뼈는 상당히 작아졌다. 이런 모든 특징은 초원에서 빨리 달리는 데 적합하다. 초원은 숨을 곳이 없기 때문에 포식자를 피해 빨리 뛸수 있는 능력은 생존과 ... ...
말랑말랑 젤리 방탄복 나온다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수 있는 방법을 개발했기 때문이다. 바로 한국생산기술연구원(생기원) 바이오나노섬유
융합
연구그룹 유의상 수석연구원 연구팀이다. 연구팀은 지금까지 STF 물질을 10분의 1 가격으로 제조하는 방법을 개발한 데 이어, 최근에는 그 물질을 이용해 최고 성능의 토종 방탄복을 개발하는 데에도 성공했다 ... ...
태양, 세렝게티의 사자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있다. 하지만 정작 태양의 모습과 성질을 유지하는 주역은 내부에서 매 순간 일어나는 핵
융합
반응이다.빛이 태양 사우나를 빠져나오려면태양 전체 질량의 약 10%를 차지하는 중심부는 온도가 1000만℃ 이상 올라간다. 이런 고온 환경에서는 수소 원자들이 고속으로 운동하는데 양자역학적 터널효과를 ... ...
이전
73
74
75
76
77
78
79
80
8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