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주민수
사람수
인원수
머릿수
전국인구
전국
d라이브러리
"
인구
"(으)로 총 1,499건 검색되었습니다.
전력선통신(PLC)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세계
인구
의 85%가 전기를 이용하고 있지만 인터넷 사용자는 12%에 불과하다. 어떻게 하면 더 많은 사람들이 정보의 혜택을 얻을 수 있을까. 전력선통신(Power Line Communication)은 전기가 공급되는 전력선을 통해 정보를 실어 나르는 통신기술이다. 집안의 콘센트에 통신기기를 꽂으면 바로 인터넷 ... ...
지구온난화의 역습 카트리나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북반구 해수면 온도는 1년에 평균 0.0220℃, 남반구는 0.0071℃씩 증가하고 있다. 대륙과
인구
가 많은 북반구가 상대적으로 증가폭이 큰 것. 박 교수는 “우리나라 동해의 경우 해수면 온도 증가가 북반구 전체 평균보다 3.9배 높게 나타났다”며 “우리나라에도 초강력 태풍이 빈번할 것으로 ... ...
원폭 60주년 '히로시마의 종이학'
과학동아
l
2005년 09호
비가 유전자도 바꿔놓는 방사성 물질이라는 사실을 알 턱이 없었다.당시 히로시마의
인구
는 약 31만명. 그 중 9만 내지 14만명이 원자폭탄이 터진 이후 4개월 내에 죽은 것으로 알려진다. 물론 살아남은 자 역시 방사선 피폭의 고통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했다. 방사성 물질 거의 사라져히로시마는 ... ...
4. 공포는 바로 이 맛이야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사람들의 수를 종합했더니 5억4300만명이 병에 걸린 상태라는 결론이 나왔다고. 당시 미국
인구
가 2억6500만명이었다니 가히 놀랄 만한 숫자다. 한 명이 2~3가지 병을 앓고 있는 셈이니, 건강하다고 생각했던 사람도 모르는 사이 자신이 무슨 병에 걸리지 않았나 싶어 두려워질 것 같다.이처럼 ... ...
미술로 풀어보는 수학 이야기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피보나치수열’이다. 연속한 두 항의 합이 바로 다음 항이 된다는 이 수열은 당시 그가
인구
수를 계산하기 위해 만든 것으로 학자들은 추정한다.피보나치수열의 아름다움은 자연에서 자주 발견된다. 사각형 한 변의 길이가 피보나치수열을 따르면 등각나선이 만들어진다. 등각나선이란 나선 위 ... ...
냄새는 뇌가 맡는다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후각이 상실된다. 80세가 되면 건강한 사람 중 4분의 3이 냄새를 잘 맡지 못한다. 65~80세
인구
의 절반이 심각한 후각상실을 나타내는 것이다. 노인들이 음식을 ‘맛있게’ 먹지 못하는 이유도 이 때문일 수 있다. 맛을 느끼는데는 미각뿐 아니라 후각도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냄새는 특정한 ... ...
아니수타인 박사를 모셔라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사무실에서 울려 퍼졌던 환호가 아직도 들리는 듯하다.민립대학을 세우자늘
인구
에 회자되던 아인슈타인이다. 하지만 그는 한국과 멀리 떨어져 있는 세계사 속의 슈퍼스타처럼 느껴진다. 한국과 맺은 특별한 인연이 없고, 한국사에 미친 영향도 크지 않은 까닭이다. 그저 과학을 전공했거나 과학을 ... ...
체중조절 효과 있는 5색 식품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최근 일본 남성들 사이에서도 비만이 현격히 증가하고 있고, 심지어 남아프리카의 비만
인구
도 미국과 비슷해지고 있다고 한다. 비만이 세계인의 ‘공공의 적’이 된 셈.‘뉴잉글랜드 저널 오브 메디신’에 최근 발표된 논문에 따르면 비만은 수명을 5~20년까지 단축할 수 있다. 심장질환, 당뇨, 암, ... ...
플라스틱자전거 vs 강관자전거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그런데 예상과 달리 1982년에 이미 자전거 시장은 완전히 포화상태가 됐고, 자전거
인구
도 1970년대의 절반 수준으로 감소하고 말았다.플라스틱자전거가 디자인이나 기술적인 측면에서 강관자전거보다 특별히 좋은 점도 없었다. 강관자전거만큼 단단하게 만들기 위해서는 플라스틱을 많이 사용해야 ... ...
난독증 유전자 발견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것으로 추정되는 유전자가 발견됐다.책을 읽거나 글을 쓰는데 어려움을 겪는 난독증은
인구
의 10% 정도가 보이는 증상이다. 이들은 종종 평균 내지는 평균 이상의 지능을 보인다. 난독증인 사람들은 읽고 쓸 때 관여하는 뇌의 부위가 약간 다른 것으로 알려져 있다.영국 카디프대 줄리 윌리엄스 ... ...
이전
73
74
75
76
77
78
79
80
8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