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장치"(으)로 총 5,307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미술관] 디즈니 애니메이션 만드는 마법 수학수학동아 l2019년 05호
- 연속된 동작이 그려진 원통을 회전시키면 마치 그림들이 움직이는 것처럼 보이는 시각장치지요. 하지만 이 방식은 오로지 직감과 상상력에 의존해 모든 장면을 연결했기 때문에 자연스럽고 매끄러운 움직임을 구현하는 데 한계가 있었습니다. 파도의 움직임을 예측하는 미분방정식 그런데 요즘 ... ...
- [융복합 파트너] 배터리의 생로병사, 최장 수명 예측한다과학동아 l2019년 05호
- 진행하고 있습니다.”이용민 DGIST 에너지공학전공 교수는 스마트폰과 전기차, 에너지저장장치(ESS·Energy Storage System) 등에 공급되는 배터리가 사용 환경에 따라 성능이 저하되는 과정을 밝히는 배터리의 ‘생로병사’를 연구한다. 연구실에 들어서자 에어컨부터 눈에 들어 왔다. 총 3개가 달려 ... ...
- [과학뉴스] 한국형 인공태양, 1억℃까지 뜨거워졌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5호
- 높이는 게 중요하거든요. KSTAR는 올해 플라스마 중심부를 가열하는 ‘중성입자빔가열장치’를 하나 더 추가해 플라스마 이온온도 1억℃를 10초 이상 유지하는 것을 목표로 연구할 계획이랍니다.*플라스마 : 원자가 이온핵과 자유전자로 분리된 상태로 물질의 4번째 상태다 ... ...
- 세계 첫 민간 달 착륙선 '베레시트' 실패가 남긴 것과학동아 l2019년 05호
- 재시작하면서 궤도 진입에 실패하기도 하고, 태양이 뿜어내는 방사선에 의해 항법장치가 먹통이 되기도 했다. 그러나 이런 난관을 모두 이겨내고 총 650만km를 날아 지난 4월 5일 마침내 달 표면에서 500~1만km 떨어진 타원궤도에 진입하는 데 성공했다. 그리고 이 궤도에서 빠져나와 달 표면에서 불과 1 ... ...
- [과학뉴스] 그림자로 물체를 파악하는 법 개발!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4호
- 뒤 물체를 파악하는 시스템을 개발했거든요. 연구팀은 잠수함 안에서 밖을 내다보는 장치인 잠망경의 원리를 이용했어요. 잠망경 안에는 두 개의 거울이 있어요. 잠수함 밖에 있던 물체에서 반사된 빛은 잠망경 속 두 거울에 차례로 반사돼 우리 눈에 들어오지요. 연구팀은 거울 대신 벽을 ... ...
- 전지훈련. 선수 맞춤식 데이터로 디자인하라!수학동아 l2019년 04호
- 있는 장비를 도입하고 있다. SK는 올해 랩소도시스템이라 불리는 장비를 설치했다. 이 장치는 추적 기술 시스템의 일종으로 속도를 측정하는 스피드건이 굉장히 진화한 장비다. 구속 외에 공의 회전수, 회전축, 위치까지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제공한다. SK뿐 아니라 삼성 라이온즈와 키움 히어로즈, ... ...
- [알고리듬 시그널] 시각은 용납하지 않는다! 집합 덮개 문제수학동아 l2019년 04호
- 모르는 사람이 CCTV를 설치했나봐요. CCTV는 보안이 필요한 곳에 설치하는 감시용 장치예요. 사각지대가 생기지 않게 효율적으로 CCTV를 설치하려면 ‘집합 덮개 문제’를 푸는 알고리듬을 활용하면 돼요.집합 덮개 문제는 n개의 원소를 가진 전체집합 U가 있을 때, U의 부분집합들을 어떻게 선택하면 ... ...
- 고정환|'발사체 독립'의 꿈, 대한민국에 희망을 주다과학동아 l2019년 04호
- 기술진들의 의견을 존중해 내린 판단이었다. 실제 발사는 연료를 엔진에 넣는 가압장치 문제로 한 달이 더 지난 11월에 이뤄졌다. 일정을 미루는 과정이 결코 쉽지는 않았지만 좋은 판단은 성공으로 이어졌다. “이공계 위기 크게 걱정하지 않는다”발사체 개발은 항공우주 분야 연구 중에서도 3D ... ...
- [과학뉴스] 이산화탄소, 석탄으로 되돌렸다과학동아 l2019년 04호
- 교수는 “고체로 변한 탄소는 전자를 많이 붙잡고 있어 슈퍼커패시터(고성능 전기 저장장치)로 활용할 수 있다”며 “시간을 되돌릴 수는 없지만 이산화탄소를 석탄으로 되돌릴 수는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doi:10.1038.s41467.019.08824. ...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빈 깡통의 화려한 변신 캔 캔 두 잇(Can can do it!)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4호
- 수 있을 거예요. 어떤 기계든지 완전히 매끄럽게 움직일 수는 없기 때문에 대부분의 기계 장치들은 이처럼 진동을 만들어낸답니다. 이런 진동은 자동차나 배, 비행기처럼 탈것을 탔을 때 확실히 느낄 수 있어요. 탈것은 크기가 큰 만큼 진동도 커요. 하지만 진동이 크면 승객이 불편을 느끼기 때문에 ... ...
이전73747576777879808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