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전문"(으)로 총 6,723건 검색되었습니다.
- [Dr. 소의 과학 영상 읽어줌] 썩지 않는 햄버거가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6호
- 어과동의 소통 전문가, 우웅이가 왔소! 요즘 어과동 홈페이지에서 친구들과 함께 노는 재미에 푹 빠졌소. 좋아하는 과학 영상을 친구들과 함께 보면서 댓글로 수다를 떠는 일이 너무 재밌소! 더 많은 친구들과 놀고 싶소. 어서 어과동 홈페이지로 놀러오소! ▶썩지 않는 햄버거가 있다? 조회수 : 31 ... ...
- [기획] 퍼즐 대결 공정성 수학이 보장한다!수학동아 l2020년 06호
- 안녕하세요. 수학 게임 전문 캐스터 무리수입니다!체스, 바둑, 온라인 게임 등 지금까지 많은 전략 게임에서 인간 고수들이 인공지능에게 무릎을 꿇었죠. 복수를 위해 절치부심 노력한 인간계 고수들이 이번에는 인공지능의 콧대를 꺾기 위해 도전장을 내밀었습니다! 곧 대결을 시작할 텐데요, 앗! ... ...
- 뇌는 왜 자꾸 먹으라고 명령하나?과학동아 l2020년 06호
- 못하는 질환이다. ※필자소개김태. 경희대 의대에서 박사학위 및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를 취득하고, 미국 하버드대 의대 정신건강의학과에서 박사후연구원을 지냈다. 현재 광주과학기술원(GIST) 의생명공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최근에는 수면장애, 알츠하이머병, 자폐증에 대한 뇌과학 연구를 ... ...
- 신상 콤부차 대해부과학동아 l2020년 06호
- 했다. 레이디 가가, 기네스 팰트로 등 할리우드 유명 인사들이 즐겨 마시고, 미국 경제 전문지 포브스가 선정한 2020년 10대 식품 트렌드로도 뽑혔다고. 바다 건너 출시된 ‘신상’을 과학적으로 해부하고픈 욕망이 생겼다. 맛 해부 I 달달하고 새콤하고 톡 쏘는 맛이 난다? 사실 가장 궁금했던 건 ... ...
- [융복합 파트너@DGIST] '씨앗' 키워 정제까지...친환경 퀀텀닷 레시피과학동아 l2020년 06호
- 집중적으로 방출할 수 있다. 삼원색(RGB)의 원색에 가까운 빛을 발할 수 있는 셈이다. 이를 전문 용어로는 ‘반치폭(FWHM)’이 작다고 설명한다. 여러모로 장점이 많은 퀀텀닷이지만, 실생활에 적용하려면 안전성이 담보돼야 한다. 1982년 최초로 발견된 퀀텀닷의 핵심물질은 카드뮴이었다. 하지만 ... ...
- [이달의 책] 나는 무엇으로 이뤄져 있을까...더 위험한 과학책 외과학동아 l2020년 06호
- 블로그 같은 온라인 공간에서 자유롭게 과학 정보를 공유할 수도 있죠. 그럼에도 여전히 전문가가 한 글자 한 글자 정성 들여 써 내려간 책은 과학을 만나는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 과학은 소설과 달리 사실관계가 매우 중요한 분야이기 때문에, 아무리 재미있다고 해도 틀린 정보가 있다면 말짱 ... ...
- [에디터노트] 지방은 어디로 가는가과학동아 l2020년 06호
- . 2014년 호주 뉴사우스웨일스대 생명공학및생체분자과학부 연구팀은 전통 있는 의학전문지 ‘영국의학저널(BMJ)’에 ‘살이 빠지면, 지방은 어디로 가는가?(When somebody loses weight, where does the fat go?)’라는 제목의 논문에서 체내에서 손실된 지방의 대부분이 호흡을 통해 이산화탄소로 배출된다고 ... ...
- 미 NC와 NC 다이노스, 연결고리는 공룡?과학동아 l2020년 06호
- 멀리 던지는 소위 ‘빠던(‘빠따’ 던지기의 줄임말)’을 선보이자 미국 스포츠 전문채널 ESPN 중계진이 큰소리로 환호했습니다. 한국 팬들에겐 조금 의아한 일이었습니다. KBO리그에선 배트 플립이 익숙한 일이니까요. NC 다이노스의 인기는 공룡 때문?배트 플립에 대한 열광적인 반응은 한국 ... ...
- 21일 부분일식, 스마트폰과 과자봉지로 쉽게 찍는 법과학동아 l2020년 06호
- 렌즈 앞에 과자봉지를 바짝 대고 태양을 향해 찰칵! 결과는 기대 이상이었습니다. 전문 장비로 촬영한 사진에는 미치지 못하지만, 빛 번짐 현상이 거의 없고 무엇보다 둥근 태양의 형태가 온전하게 찍혔습니다. 이제 기자에겐 SNS 인싸가 될 일만 남은 건가요? 6월이 벌써부터 기다려집니다 ... ...
- [비하인드 로켓] 나로호 발사 D데이, 이륙 900초 전 자동 카운트다운 시작과학동아 l2020년 06호
- 통상 발사 이틀 전과 발사 당일, 두 차례 진행된다. 나로호의 경우 한-러 전문가 30여 명이 모여 두 차례 비행시험위원회를 열었다. 첫 번째 비행시험위원회(D-2)에서는 그동안 조립동에서 작업한 나로호의 상태와 발사 준비상황에 대한 정보가 공유됐다. 먼저 러시아 연구자들이 나로호 1단 엔진과 1단 ... ...
이전73747576777879808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