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혹성
떠돌이별
유성
planet
d라이브러리
"
행성
"(으)로 총 2,327건 검색되었습니다.
[Knowledge] 거대 악어의 반격이 시작되다!
과학동아
l
2016년 05호
겪었다. 2억 년 전에 있었던 초대륙의 분열로 급격한 환경변화도 겪었고, 6600만 년 전의 소
행성
충돌 사건도 목격했다. 이런 재앙에도 불구하고 악어는 끈질기게 살아남아 지금까지 우리 곁에서 숨 쉬고 있다. 하지만 오늘날까지 이어져온 이들의 명맥이 가까운 미래에 끝나버릴지도 모른다. 왜냐하면 ... ...
새로운 우주여행이 온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4호
소
행성
이 부딪히는 사고를 막는 방법을 찾아내야 하지요. 지구와 충돌할 위험이 있는 소
행성
만 해도 2000개 이상이거든요. 따라서 충돌 사고를 막는 기술이 우선 개발돼야 우주 엘리베이터를 설치할 수 있답니다.엘리베이터를 타고 우주로 여행을 갈 수 있다니…. 우주를 여행하고 싶은 친구들은 ... ...
[과학뉴스] 수성이 빛나지 않는 이유는 ‘흑연’
과학동아
l
2016년 04호
달은 크기나 모양, 대기 등이 비슷해서 쌍둥이
행성
으로 통하지만 밝기에서 만큼은 큰 차이를 보인다. 지구에서 봤을 때 달이 수성보다 세 배 더 밝다. 미국 존스홉킨스대 연구팀은 수성의 표면이 어두운 이유가 흑연 때문이라는 연구결과를 3월 7일 ‘네이처 지오사이언스’에 발표했다.연구팀은 ... ...
[Tech & Fun] 돌먼지
과학동아
l
2016년 04호
제가 배우기만 했으니까요.”소금이 작게 웃었다.“정말 진동과 소리가 느껴지네요.
행성
전체가 미세하게 떨리는 느낌이 들어요.”“그래?”“선생님께서 그렇게 말씀하신 적이 있어요. 코쇠는 광산이라 그런지 언제나 진동이 있다고요. 우주는 고요한데 여기는 좀 다른 소리가 난다고.”“기억이 ... ...
[재미] 마왕의 탑_4화 둥근 삼각형?
수학동아
l
2016년 04호
앗, 설마! 저기 곡선으로 이뤄진 뚱뚱한 도형을 말하는 거예요?”“곡선이 아니야. 저기
행성
의 가운데를 봐. 지구로 치면 적도가 되겠군. 분명히 적도에서 위로 수직인 두 직선을 그었어.”“한 직선에서 수직으로 그은 두 직선은 분명히 평행이고, 평행한 두 직선은 절대 만날 수가 없어요! 그런데 ... ...
[Tech & Fun] 화성 기지 짓는 첨단 기술
과학동아
l
2016년 04호
현지에 보내 산소나 다른 물질을 만들어 낼 수 있는지 검증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Mission2
행성
과학 실험화성에 한국의 기지를 짓는다면 아마도 초기에는 남극 기지와 같은 과학기지 형태가 될 것이다. 화성기지에서 가장 먼저 할 수 있는 연구는 화성의 생명체 연구다. 화성 토양에서 광물을 채취해 ... ...
[과학뉴스] 태양계 뉴페이스가 떴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4호
되며, 공전 주기는 1만~2만 년일 것으로 추측되고 있답니다.브라운 박사는 “실제로 이
행성
을 찾기 시작했으며, 5년 내에 플래닛 나인을 발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어요 ... ...
[과학뉴스] 덩치 크면 가스형
행성
? 속단은 금물
과학동아
l
2016년 03호
아니다”라고 ‘천체물리학저널’에 발표하기도 했다. 이번 연구로 천문학계에서는
행성
형성 과정에 대한 이론을 수정해야 된다는 주장도 나오고 있다 ... ...
[News & Issue] 아홉 번째
행성
을 찾아서
과학동아
l
2016년 03호
쉽지 않을 겁니다.”브라운 교수는 1월 20일 뉴욕타임즈와의 인터뷰에서 “아홉 번째
행성
을 찾는 일에 착수했다”면서 “늦어도 5년 안에 발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기존과 다른 네 번째 방법, ‘태양계 최외각 천체의 궤도를 수학적으로 계산하기’가 성공할 수 있을까. 혹시 ... ...
Part 3. 55년의 도전 새 시대를 열었다
과학동아
l
2016년 03호
루머로 과학적 사실이 왜곡되는 경우가 허다하다. 가장 유명한 사례는 2004년 발견된 왜
행성
하우메아와 관련된 일화다. 발표 전 잘못된 정보가 돌아 실제 중요한 정보는 오히려 묻혀버렸다. 칼텍의 마이클 브라운 교수가 자신의 발견이 곡해되고 있어 매우 슬프다고 토로했을 정도다. 발표가 ... ...
이전
73
74
75
76
77
78
79
80
8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