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일광
해
햇볕
태양광선
햇살
태양
천체
어린이과학동아
"
햇빛
"(으)로 총 782건 검색되었습니다.
붉은 보름달
어린이과학동아
l
20070912
한다. 초저에너지 건물은 스스로 전기와 열에너지를 생산한다. 옥상이나 건물 외부에 태양전지나 풍차를 달아 전기를 만들고
햇빛
으로 물을 데워 건물 안에서 온수를 공급하는 것이다. 외국에는 벌써 온수를 100% 태양열로 만드는 빌딩도 등장했다. 더운 여름에 전기가 가장 많이 드는 곳은 냉방이다. 초저에너지 건물은 자연 바람을 건물로 끌어와 열기를 ...
초승달과 지구조
어린이과학동아
l
20070810
그래서 달의 모양이 변하는 거예요. 달의 어두운 부분은
햇빛
을 반사하지 않기 때문에 보이지 않아요. 하지만 지구에서 반사한
햇빛
이 달의 어두운 부분을 비추기 때문에 달의 어두운 부분이 어슴푸레 보이기도 해요. 이 현상을 지구조라고 부르지요. 지구조는 초승달일 때 잘 보이는데 사진으로 찍으면 지구조가 훨씬 더 잘 보여요. 8월에는 ...
기상 퀘스트를 달성하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070731
거야. 빛은 원래 똑바로 직진하지만 물을 만나면 꺾여(굴절). 유리컵 속에 담긴 젓가락이 꺾여 보이는 것이 빛의 굴절 때문이지.
햇빛
이 물방울을 만나면 빛은 한 번 꺾인 뒤 특정한 각도로 물방울에서 되돌아 나와. 빨간 색은 약 42도, 보라색은 약 40도 벌어져 물방울에서 나오지. 무지개는 보통 비가 오고 난 뒤 태양을 등지고 선 자리에서 볼 ...
우주에 뜬 풍선 호텔
어린이과학동아
l
20070712
우주의 풍선 호텔로 수학여행을 갈 수 있을까요? 미국의 민간 우주탐사 회사 비글로우 에어로스페이스는 궤도에 진입한 뒤 풍선처럼 부풀어 오르는 우주선을 발사하는 데 성공했다고 최근 발표했어요. 이 우주선의 이름은 ‘제너시스 2호 ... 실제로는 먹기도 하고 광합성도 하겠지만 그만큼 먹이가 덜 들지 않을까. 재미있게도 광합성을 하는 소는 식물처럼 초록빛을 띨 ...
나뭇잎에 물방울꽃이 폈어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070629
뿌리에서 빨아들인 물과 잎에서 받아들인 이산화탄소, 그리고
햇빛
을 이용해 영양분을 만듭니다. 이 때 남은 물은 수증기가 되어 잎의 기공을 통해 배출되는데 이 현상을 증산이라고 하지요. 만일 뿌리에서 빨아들이는 물의 양이 증산 작용으로 배출되는 물의 양보다 더 많으면 어떻게 될까요? 식물은 불필요한 물을 빨리 배출하기 위해 잎의 가장자리에 있는 ...
2080년 나의 지구를 돌려줘(2)
어린이과학동아
l
20070430
0위국으로서 책임감을 가져야 한다. 이산화탄소를 흡수해 산소를 내보내는 나무도 많이 심어야 한다! {BIMG_R10}대체 에너지 개발 따뜻한
햇빛
, 기분 좋은 바람, 철썩이는 파도. 자연의 선물로 태양열, 풍력, 파력 발전을 해 온실기체를 내놓지 않는 청정에너지를 얻을 수 있다. 쓰레기가 썩으면서 부글부글 나오는 메탄가스로 발전기를 돌려 에너지 ...
뇌에서 잠 스위치 발견
어린이과학동아
l
20070412
고흥군은 독일의 태양광 발전회사인 IBC솔라사와 연간 40메가와트 급의 태양광 발전소를 짓기로 계약을 맺었어요. 태양광 발전소는
햇빛
을 이용해 전기를 만드는 발전소에요. 이번에 짓는 발전소는 고흥군 주민들이 집에서 쓰는 전기의 37%를 만들 수 있어요. 고흥군은쓰지 않는 돌산 부지에 2010년까지 3200억 원을 들여 발전소를 짓는대요. 가상 ...
홀라당~ 뒤집힌 무지개?
어린이과학동아
l
20070412
만드는 겁니다.” 빛이 꺾이는 것을‘굴절’이라고 한다. 공기 중에서 직진하던 빛이 물방울을 만났을 때에도 굴절이 일어난다. 원래
햇빛
은 모든 색깔이 섞여 있는 하얀 빛이지만 물방울에 들어가 꺾이면 색깔별로 꺾이는 정도가 달라진다. 이런 현상을‘분산’이라고 한다. 물방울에 들어간 빛이 반사된 후 다시 나올 때는 보라가 빨강보다 더 많이 꺾인다. ...
까칠까칠 황사탐험
어린이과학동아
l
20070314
보듯이 바다와 멀리 떨어져 있으면서 1년 동안 내리는 비는 400㎜도 안 될 정도로(우리나라는 1100~1700㎜) 적기 때문이지요. 게다가
햇빛
이 강해서 증발 현상이 잘 일어나기 때문에 물이 부족해서 사람이나 생물이 살아가기 힘든 메마른 땅이랍니다. 이렇게 건조한 지역에선 조금만 바람이 불어도 모래바람이 일어나기 쉬워요. 그런데 황사가 특히 ...
곱고 예쁜 피부로 얼짱이 되자!
어린이과학동아
l
20070131
매끈하고 뽀얀 피부로 얼짱이 되고 싶나요? 그런데 뾰록뾰록 솟아나는 여드름, 빨간머리 앤처럼 뺨에 가득한 주근깨 때문에 고민인가요? 겨울만 되면 더 간지럽고 빨갛게 변하는 아토피 피부염까지‘어린이과학동아’친구들을 ... 건강하게 자랍니다. 상처에 난 딱지를 간지럽다고 긁거나 떼면 안돼요! 저절로 딱지가 떨어질 때까지 둬야 상처가 곱게아물어요. 상처 부위에 ...
이전
73
74
75
76
77
78
7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