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적출
적발
탐지
간파
발각
탄로
발견기법
뉴스
"
발견
"(으)로 총 10,191건 검색되었습니다.
인간 배아 발달 '일시정지 버튼'
발견
…시험관 아기에 도움 될까
동아사이언스
l
2024.09.29
'mTOR' 신호 전달 체계를 억제하면 휴지기와 비슷한 휴면 상태가 유도된다는 사실을
발견
했다. 연구팀은 "mTOR은 쥐 배아에서 성장과 발달 진행의 주요 조절자"라며 "인간 줄기세포와 블라스토이드를 mTOR 억제제로 처리하자 발달 지연이 관찰됐다"고 설명했다. 휴면 상태에 들어간 블라스토이드는 세포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고산 등반가들이 '비아그라'를 복용하는 이유
2024.09.29
하는 것은 가슴아픈 일이지만 대신 기대하지 않은 좋은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약이
발견
되는 수도 있으니 사람의 몸이란 참으로 신비한 존재라 하지 않을 수 없다. ※ 참고문헌 Jeremy Booth. A short history of blood pressure measurement. Proceedings of Roral Society of Medicine 70(11): 793–799, 1977 William H. Woglom. Blood Pressure ... ...
물에서 놀면 손이 쭈글쭈글해지는 이유
어린이과학동아
l
2024.09.28
손가락 신경이 마비된 환자는 물속에 아무리 오래 있어도 주름이 생기지 않는다는 것을
발견
했습니다. 이는 물 속에서 손가락 끝이 쭈글쭈글해지는데 ‘신경’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신경은 몸의 각 부분의 자극을 뇌나 척수로 전달하는 실 모양의 기관입니다. 그 후 ... ...
[표지로 읽는 과학] 기생벌에 지배 당한 성충 초파리 최초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4.09.28
확인됐다. 성체 초파리를 숙주로 삼는 최초의 기생벌 사례다. 연구팀은 "우연한
발견
으로 새로운 기생벌의 생활사를 연구할 수 있었다"며 "향후 기생충과 숙주의 상호작용 연구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전했다. doi.org/10.1038/s41586-024-07919- ... ...
[동물do감] 걸어 다니며 바다맛 보는 물고기 '바다로빈'
동아사이언스
l
2024.09.27
다리 발달을 조절하는 유전자 전사인자는 인간을 포함한 다른 동물의 팔다리에서도
발견
된다"며 "이 걷는 물고기는 특수한 신체 특성을 비교하고 특정 환경에 적응하는 진화가 어떻게 일어나는지 알 수 있는 강력한 진화 연구 모델"이라고 말했다. doi.org/10.1016/j.cub.2024.08.014 doi.org/10.1038/d41 ... ...
"세균 잡는 바이러스, 항생제 대체하고 희토류도 정제"
동아사이언스
l
2024.09.27
가능성을 소개했다. 1915년 영국의 세균학자 프레데릭 트워트 박사에 의해 처음
발견
된 박테리오파지는 세균을 찾아 침투해 공격하고 집어삼키는 바이러스다. 구조적으로는 크게 유전물질을 담은 머리 부분과 세균 침투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꼬리 부분으로 나뉜다. 최근 박테리오파지는 여러 ... ...
3600년 전 미라 옆 치즈의 정체
동아사이언스
l
2024.09.27
요구르트나 치즈를 만드는 데 가장 널리 쓰이는 건 러시아 유형이다. 고대 치즈에서
발견
된 락토바실루스는 티베트 유형과 더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케피르 문화'가 러시아 북코카서스 산악 지역에서 시작돼 전파됐다는 오랜 믿음에 도전하는 결과"라고 설명했다. 푸 ... ...
삼성전자 방사선피폭 사고, 관리 부실 확인…"수사 의뢰 검토"
동아사이언스
l
2024.09.26
변경된 LED 방식의 방사선 경고등도 눈으로 식별하기 어려울 정도로 희미하다는 문제점도
발견
됐다. 원안위는 이같은 내용을 종합해 방사선안전에 대한 사업자의 관리감독이 미흡했고 그 결과 인터락의 임의조작과 정비작업자 작업 검토·관리감독 부재 등이 이어져 사건이 발생한 것으로 평가했다. ... ...
[동물do감] 겨울잠 자는 다람쥐서 백내장 치료 단서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9.26
설치류인 열세줄땅다람쥐에서 백내장 치료 효과를 일으키는 것으로 보이는 단백질을
발견
했다고 국제학술지 ‘임상연구저널’에 18일 발표했다. 백내장은 수정체가 뿌옇게 변해 시력장애가 생기는 질환으로 전 세계 주요 실명 원인이다. 수정체는 카메라의 렌즈에 해당하는 부분이다. 백내장은 ... ...
'팝콘'처럼 부푼 특이 외계행성, 동쪽과 서쪽 대기 온도 달라
동아사이언스
l
2024.09.25
데 성공했다. 분석 결과 행성 동쪽과 서쪽의 특성이 다르며 온도 차이가 난다는 사실이
발견
됐다. 연구팀은 "행성 한쪽이 다른 쪽보다 빨리 가열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WASP-107b와 비슷한 형태의 행성은 대기 비대칭성이 없을 것이라는 기존 예측을 뒤집은 결과다. 연구팀은 추가 관측을 통해 대기 ... ...
이전
73
74
75
76
77
78
79
80
8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