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유지
보관
저장
보전
보유
보호
방부
뉴스
"
보존
"(으)로 총 1,177건 검색되었습니다.
[미래융합포럼]“2100년 인간은 전자두뇌를 갖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1.21
기능을 살려내는 실험도 진행됐다”며 “이런 기술은 알츠하이머 치매환자 등의 기억
보존
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설명했다. 임 교수는 BCI기술의 완전한 실용화까지 80년 정도가 걸릴 것으로 내다봤다. 그는 “현재 기술로 뇌 일부를 전자칩으로 대체하는 건 불가능하다”며 ... ...
[이강운의 곤충記] 아름다운 색과 뚜렷한 개성을 지닌 호주의 딱정벌레들
2018.11.16
필자소개 이강운 곤충학자 (holoce@hecri.re.kr) 서울대 대학원을 졸업했다. 현재 홀로세생태
보존
연구소 소장, (사)서식지외보전기관협회 회장이며 국립인천대학교 매개곤충 융복합센터 학술연구 교수. 과학동아 Knowledge 칼럼 ‘애벌레의 비밀’을 연재했다. 2015년 ‘한국의 나방 애벌레 도감Ⅰ Caterpillars ... ...
길이 1cm 세계에서 가장 작은 '랩터' 발자국 화석 진주에서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18.11.15
것은 희귀한 일로 평가된다. 김경수 소장은 “발자국 길이가 1인 소형 발자국 화석은
보존
되기도 어렵지만 발견하기도 어렵기 때문에 세계적으로도 대단히 드물다”고 설명했다. 새 크기의 소형 공룡은 종류가 적기도 했고, 발자국이 호숫가 등에 남아도 쉽게 침식돼 화석이 되기 힘들다. 이 발자국 ... ...
[여기에 과학]육지 척추동물 절반 사라졌다. 인간 때문에…
동아사이언스
l
2018.11.03
이 같은 결과는 다른 연구에서도 확인되고 있습니다. 호주 퀸즐랜드대와 미국 야생동물
보존
협회도 지난달 31일 남극을 제외한 육지의 77%가 인간에게 점령당했다고 학술지 ‘네이처에 밝혔습니다. 1993년부터 2009년까지 16년 동안 남아시아의 국가 인도의 면적과 맞먹는 330만㎢의 땅이 인간의 ... ...
“인간 개입없는 야생의 땅, 전체 육지의 23%뿐”
동아사이언스
l
2018.11.01
자유롭게 생활하기는 그만큼 어려워진 것이다. 호주 퀸즐랜드대와 미국 야생동물
보존
협회 연구진은 전 지구적인 조사를 통해 남극을 제외한 육지의 77%, 전체 바다의 87%가 인간에게 점령당했다고 31일(현지 시간) 학술지 ‘네이처’에 발표했다. 캐나다의 알레스카와 브라질의 아마존 등 진한 ... ...
[이강운의 곤충記]은밀한 언어 '케미'
2018.10.31
이강운 곤충학자 (holoce@hecri.re.kr) 서울대 대학원을 졸업했다. 현재 (사)홀로세생태
보존
연구소 소장, (사)서식지외보전기관협회 회장이며 국립인천대학교 매개곤충 융복합센터 학술연구 교수. 과학동아 Knowledge 칼럼 ‘애벌레의 비밀’을 연재했다. 2015년 ‘한국의 나방 애벌레 도감Ⅰ Caterpillars of Moths ... ...
붉은불개미 살충제 살포 해결책 아니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0.19
적갈색 알갱이)들의 흔적이 남아 있다-김진호 기자 곤충학자인 이강운 홀로세생태
보존
연구소장도 "발 빠르게 예방적 차원의 조치를 하려는 시도는 이해하지만 부정확한 자료로 과장되게 포장하여 많은 국민을 공포로 몰아넣어 까닭 없이 부정적 시각만 불러 일으켰다"고 지적한다. 국내에서 ... ...
[이강운의 곤충記]생태계 망나니 '붉은불개미'를 위한 변명
2018.10.17
이강운 곤충학자 (holoce@hecri.re.kr) 서울대 대학원을 졸업했다. 현재 (사)홀로세생태
보존
연구소 소장, (사)서식지외보전기관협회 회장이며 국립인천대학교 매개곤충 융복합센터 학술연구 교수. 과학동아 Knowledge 칼럼 ‘애벌레의 비밀’을 연재했다. 2015년 ‘한국의 나방 애벌레 도감Ⅰ Caterpillars of Moths ... ...
국내 연구진 ‘원자 두께’ 2차원 물질 생산 새 길 열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0.15
등이 2D 재료들 간의 계면에 노출되게 됩니다. 계면은 깨끗할수록 원래의 특성을
보존
하는지라 계면을 깨끗하게 하려는 연구가 따로 진행되고 있었습니다. 준건식 방법은 저희가 주로 사용한 공정으로 계면이 형성되는 과정에서 다른 용매 등에 노출되지 않습니다. 당연히 계면 상태가 훨씬 ... ...
佛 루브르박물관도 문화재
보존
위해 원자력을 쓴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0.14
파리 루브르 박물관은 이온빔 분석기술을 이용해 문화재와 예술품 복원 및
보존
목적으로 가속기를 24시간 사용하고 있다”며 “국내에서도 미복원 유물 복원 처리를 위해 이온빔 분석기술에 최근 크게 관심이 높아지고 있어 관련 연구를 적극적으로 늘려나가고 있다”고 밝혔다. ... ...
이전
73
74
75
76
77
78
79
80
8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