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꽃
파생
화염
폭발
뉴스
"
분화
"(으)로 총 889건 검색되었습니다.
줄기세포 잘 보면 백혈병 치료 결과 보인다
2015.03.31
증가했다. 또 1년 이후에 백혈병이 재발하는 만기 재발 환자의 경우에는 이미
분화
된 중간엽세포의 수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간엽세포의 차이를 통해 치료 뒤 재발 여부를 예측할 수 있는 것이다. 연구 결과는 ‘캔서 리서치(Cancer Research)’ 3월 19일자 온라인판에 실렸다. ... ...
악성 뇌종양 유발하는 핵심 유전자 발견
2015.03.25
발생했다. 반대로 암에 걸린 생쥐에게 LMO2를 억제하자 암세포 형성과 혈관세포
분화
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결과 생쥐의 생존기간도 LMO2를 억제했을 때가 그렇지 않았을 때보다 늘었다. 연구진은 2008년에도 뇌암줄기세포가 뇌종양의 원인이며 ‘ID4’라는 단백질이 암의 진행을 ... ...
[2020 미래 바이오 전략] 줄기세포 치료제 시장, 한국이 선점 나섰다
2015.03.20
뽑아낸 성체줄기세포와 수정란의
분화
를 이용하는 배아줄기세포,
분화
가 끝난 체세포를
분화
이전 단계의 줄기세포로 되돌려 사용하는 유도만능줄기세포(iPS)다. 국내 줄기세포 치료제는 대부분 성체줄기세포에 맞춰져 있다. 이동률 차병원 통합줄기세포치료연구소 교수는 “기술적 파급효과를 ... ...
[2020 미래 바이오 전략] 줄기세포 치료제, 어떻게 개발되나
2015.03.20
치료제 하나가 탄생하기까지는 지난한 개발 과정을 거친다. 특정 질환에 적합한 세포로
분화
하는 줄기세포를 발굴한 뒤에는 동물실험으로 효과부터 검증해야 한다. 특히 줄기세포 치료제의 경우 줄기세포가 체내에서 원치 않는 암세포로 바뀔 수 있어 동물실험에서 이 부분을 추가로 확인해야 한다. ... ...
6억 년 전 해면 동물 화석 발견
2015.03.16
형태와 성세포-체세포 분리, 세포사멸 등 배아발생이 확실한 장면들을 담고 있다고. 3_
분화
가 더 진행된 배아 화석이 발견되면서 2011년 반박에 재반박을 한 논문이 2014년 발표됐다. 그러나 배아 안에 작은 세포로 분열한 덩어리들(마트료시카스, 흰 화살표)이 있다는 게 밝혀지면서 현생 동물과는 ... ...
반도체 칩에 인간 심장세포 넣은 바이오칩 개발
2015.03.10
바이오칩을 만드는 방법을 고안했다. 유도만능줄기세포(iPS세포)를 심장근육세포로
분화
시킨 뒤 약 2.4cm 길이의 회로에 집어넣어 초미니 심장조직을 만든 것이다. 세포 양쪽 끝에는 혈관 역할을 할 가는 관을 달아 영양분과 약물이 흡수될 수 있도록 했다. 바이오칩 안에 들어있는 심장세포의 모습. ... ...
달팽이관은 고음과 저음을 어떻게 구분하나
2015.03.10
단백질이 영향을 준다는 사실을 규명했다. Shh 단백질은 세포를 증식하거나 특정 세포로
분화
를 유도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연구진은 달팽이관에서 이 단백질이 많이 발현된 부위에서는 저주파를 인지하는 청각세포가 만들어진다는 사실을 새로 찾아냈다. 반대로 Shh 단백질이 적게 ... ...
양자역학 도약 이끈 슈뢰딩거방정식은 ‘간통’ 덕분?
2015.03.02
추측성 기사를 썼다. 즉 리켄에서 제일 잘 나가는 중견 연구자(사사이 박사는 줄기세포
분화
에서 노벨상후보 1순위였다)가 계약직 연구원으로 들어온 미모의 젊은 여성 과학자에게 홀려 권력을 남용해 팀장 자리에 앉혔고 그 결과 이 모양 이 꼴이 됐다는 것. 두 사람은 말도 안 되는 억측이라며 ... ...
유인원에서 인간으로 진화시킨 ‘뇌확장 유전자’ 찾았다
2015.03.01
56개를 확인했다. 그 다음 연구팀은 56개의 유전자 중 뇌신경줄기세포가 신피질로 많이
분화
하도록 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유전자 ‘ARHGAP11B’를 최종적으로 찾아냈다. 이 유전자를 가진 동물은 오직 인간뿐으로 쥐는 물론 쥐는 인간과 유전적으로 가장 가까운 동물인 침팬지, 오랑우탄에서도 ... ...
사랑니로 각막 고친다고?
2015.02.24
뿌리가 같다는 점에 착안했다. 사람의 사 랑니에서 줄기세포를 추출해 각막으로
분화
할 수 있도록 환경조건을 만든 뒤 면역거부반응을 없앤 쥐에 이식했다. 그 결과, 이식된 줄기세포는 쥐의 각막에 거부작용 없이 융합돼 건강한 각막 조직을 형성하는 것을 확인했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 결과를 ... ...
이전
73
74
75
76
77
78
79
80
8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