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독감
유행성 감기
유행성감기
influenza
뉴스
"
인플루엔자
"(으)로 총 822건 검색되었습니다.
영화 vs. 현실, 혼돈과 불신의 데자뷰
2015.06.07
현재 메르스 전파가 시작된 도시와 같다. 영화에서 ‘감기’로 묘사된 바이러스는 조류
인플루엔자
(H5N1)의 변종 바이러스로 꽤 과학적인 근거를 가지고 있다. 실제로 론 푸히르 네덜란드 에라스뮈스 메디컬센터 교수와 요시히로 가와오카 미국 위스콘신-메디슨대 병원생물학과 교수팀은 2012년 ... ...
[메르스 업데이트] 바이러스 확산 예측 못하나
2015.06.06
연구원(박사 과정)은 지난해 통계청 인구주택총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한국의
인플루엔자
확산 모델을 만들었다. 안인성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팀장은 “국내에서는 슈퍼컴퓨터를 활용해 우리 실정에 맞게 전염병 확산을 예측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원천 기술을 개발 중”이라고 말했다. ... ...
[메르스 업데이트] 인간은 바이러스를 어떻게 막아내는가
2015.06.06
H5N1)와 2009년 신종플루(H1N1) 유전자가 섞여 돌연변이가 생길 경우 치명적일 수 있다. 조류
인플루엔자
는 한번 감염되면 치명적이지만 사람 간 전염이 잘 일어나지 않는다. 반면 신종 플루는 독성이 낮은 대신 전염 능력은 뛰어나다. ... ...
[메르스 업데이트] 메르스, SFTS, 에볼라…인류 위협하는 ‘RNA 바이러스’
2015.06.05
즉시 바이러스에 감염됐다는 사실을 깨닫고 공격을 시작한다. 메르스 바이러스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감염됐을 때 기침이나 재채기가 나는 이유는 현재의 숙주에서 벗어나 재빨리 다른 숙주에게로 옮겨가기 위한 바이러스의 생존 전략이다. 환자를 완전히 쓰러뜨려 몸져눕게 하는 대신 어느 ... ...
[메르스 업데이트] 메르스 공기전염 되나, 안되나
2015.06.05
가능성이 충분히 있다”고 말했다. 또 다른 바이러스 전문가는 “독감을 일으키는
인플루엔자
도 비말을 통해 전염되는데, 이 경우 대개 공기전염이라고 표현한다”면서 “같은 용어를 다른 의미로 사용하면서 오해가 생긴 것 같다”고 말했다. 현재 보건 당국은 메르스 바이러스가 포함된 환자의 ... ...
첫 확진 14일만에 전용병원 추진… 中, 사스 위기때 효과
동아일보
l
2015.06.04
하지만 신종 감염병의 경우 예외가 많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김 교수는 “신종
인플루엔자
등 신종 감염병은 기온이 올라도 영향을 받지 않는 경우가 많다”며 “메르스는 더운 중동에서 발생했기 때문에 기온의 영향을 받지 않을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메르스 자가 격리 대상자가 126 ... ...
메르스 대량 확산 우려
동아일보
l
2015.06.03
RNA바이러스다. RNA바이러스는 DNA바이러스보다 구조가 불안정해 변이가 잘 일어난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도 RNA바이러스라 변이가 잘돼 예방백신을 만들기가 어렵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메르스의 경우 아직 이런 가능성을 논할 수 없는 단계라고 지적한다. 성백린 연세대 생명과학대 교수는 “환자 ... ...
메르스 여러 단계 감염자 거쳐도 전염력 그대로 유지
2015.06.02
전염력이 떨어진다는 건 금시초문”이라며 “사람 간 감염이 잘 일어나지 않는 조류
인플루엔자
등과 헷갈린 것 같다”고 덧붙였다. 정 교수는 국내에 메르스가 확산된 가장 큰 이유로 의료진의 안일한 대처를 꼽았다. 정상적인 절차에 따라 진료하고 치료했다면 환자 1명에서 끝났을 상황이 ... ...
메르스 치사율, 한 자리 숫자일 듯
2015.06.01
RNA가 복제될 때 일어나는 오류를 수정하는 효소 유전자를 지니고 있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가 혼자 작업하는 블로거라면, 코로나바이러스는 교정보는 직원 한 명을 둔 군소 잡지사 정도는 되는 셈이다. 따라서 메르스바이러스가 인간코로나바이러스로 바뀔 가능성은 낮지만 물론 안심할 수는 없다. ... ...
“에볼라와 아직도 전쟁중… 한국구호대 큰 도움”
동아일보
l
2015.04.08
기간 세계보건기구(WHO)와 유엔에서 활동하며 사스(SARS·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와 조류
인플루엔자
가 확산될 때 이를 억제하는 업무를 담당하기도 했던 전염병 전문가다. 나바로 조정관은 최근 동아일보와의 전화 인터뷰에서 “에볼라 발병 환자 수가 주당 100명 정도 수준으로 떨어지는 등 지난해보다 ... ...
이전
73
74
75
76
77
78
79
80
8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