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범위
경계
테두리
한도
영역
극한
범주
뉴스
"
한계
"(으)로 총 3,929건 검색되었습니다.
악천후에도 자율주행차 잘 달리게 돕는 '라이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2.28
FMCW 라이다 이미지와 기존 TOF 라이다 이미지 간의 비교 시연 모습. 왼쪽이 김창석 교수팀의 3D FMCW 방식의 라이다 기술을 통해 안개를 뚫고 육안보다 더 뚜렷 ... "맑은 날씨와 단독 주행 등 제한적인 환경에서 도로 시연에 그치고 있는 기존 자율주행의
한계
를 극복하는 기술"이라고 말했다 ... ...
스마트폰 인덕션 렌즈 사라질까…'메타렌즈' 대량생산 길 열렸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2.27
수 있는 ‘나노 임프린팅 공정’을 이용했다. 메타렌즈를 하나씩 생산하던 기존 공정의
한계
를 극복해 렌즈 제작 비용을 최대 1000배 줄일 수 있다. 노준석 교수는 “센티미터(cm) 크기의 고성능 메타렌즈를 웨이퍼 단위로 정밀하고 빠르게 대량으로 생산하는 데 성공한 것”이라며 “이번 연구를 ... ...
뇌파 닮은 초음파로 인지기능 높였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2.26
뇌 심부에 대한 신경 조절이 어렵다는
한계
가 있다. 연구팀은 기존 신경 조절 기법의
한계
를 극복할 방법으로 ‘초음파 신경 조절 기술’에 주목했다. 초음파는 뇌 심부까지 정밀 자극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연구팀은 실제 뇌파 형태를 모사한 초음파 기술을 개발했다. (왼쪽부터) 박주민 IBS ... ...
디지털 육종·바코드 미생물…'2024년 10대 바이오 미래유망기술'
동아사이언스
l
2024.02.26
염기서열 정보를 보다 길게, 높은 정확도로 해독하는 기술이다. 기존 시퀀싱 방법으로는
한계
가 있었던 염색체 단위의 염기서열 분석을 통해 질환의 원인이 되는 유전자 변이 탐색과 고품질 유전체 지도 작성을 가능하게 한다. 정밀의료의 핵심인 개인 유전체 시퀀싱에 대한 수요와 시장이 가파르게 ... ...
컴퓨터 메모리 혁신·차세대 노벨상 화두 '교자성'…한국 연구진 두각
동아사이언스
l
2024.02.26
만큼 메모리 소자에 활용될 수 있는 형태로 변환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 두 가지 모두
한계
점이 존재하는 것이다. 교자성체는 강자성체와 비슷하게 강한 신호를 만들어낼 수 있으면서도 외부 자극에 안정적이다. 빠른 제어도 가능하다. 전문가들은 두 성질의 장점만을 갖춘 교자성체를 ... ...
민간 최초 달 착륙 '오디세우스'…자금·기술 난관 어떻게 극복했나
동아사이언스
l
2024.02.23
성공 비결 이번에 달 착륙에 성공한 오디세우스는 민간 우주기업이 맞닥뜨리는 자금적
한계
와 기술적 난관을 무사히 헤쳐나갔다. 자금은 미국우주항공우주국(NASA)의 도움을 받았다. 앞서 오디세우스는 NASA의 달 탐사 프로젝트 '아르테미스'와 연계된 프로젝트인 민간 달 탑재체 수송 서비스(CLPS ... ...
'빛 회절 난제' 극복한 광 디스크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2.23
있도록 염료도 개발했다. 연구팀은 개발 기술을 기반으로 기존 광 디스크 메모리의
한계
를 극복했다. 1마이크로미터(100만분의 1미터)의 간격으로 100층의 기록판을 쌓아 올린 뒤 54나노미터로 정보를 입력했다. 정보를 처리하는 데 빛을 활용하기 위해 빛을 응집시켜 정보를 처리하도록 했다. ... ...
"R&D예산 삭감, 젊은 연구자 위기"…국내 과학자들, 네이처 기고
동아사이언스
l
2024.02.21
20일(현지시각) 네이처는 ‘R&D 예산 삭감은 한국의 젊은 과학자들에게 견딜 수 없는
한계
점이 될 것이다’란 제목의 기고 글을 게재했다. 해당 글은 김봉재 경북대 물리학과 교수와 고아라 전남대 물리학과 조교수가 기고했다. 두 교수는“한국의 R&D 예산이 대폭 삭감됐다는 소식은 국내 ... ...
"매일 태양 1개만큼 물질 빨아들이는 초거대 퀘이사 포착"
연합뉴스
l
2024.02.20
중심부 블랙홀이 별이나 부착원반이 가질 수 있는 이론적 질량 상한선인 에딩턴
한계
(Eddington limit)에 가까워지고 있다며 더 정확한 성장 속도를 밝히기 위해서는 더 많은 연구와 관측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또 향후 10년간 퀘이사를 반복 관측해 우주가 팽창하는 것을 관찰하는 연구가 진행될 ... ...
나노물질 인체 독성, ‘인공장기’ 오가노이드로 검증
동아사이언스
l
2024.02.20
모사도가 높아 동물실험을 대체할 차세대 독성평가 수단으로 주목받고 있지만 배양법의
한계
로 표준화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기존의 오가노이드 배양법은 3차원 구조 형성을 위해 세포외기질에 세포를 내장시켜 돔 형태로 굳힌 뒤 배양액을 첨가해 배양하는 방식이다. 이 방식은 형성된 ... ...
이전
73
74
75
76
77
78
79
80
8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