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장소
위치
소재지
공간
자리
현장
집
뉴스
"
곳
"(으)로 총 8,733건 검색되었습니다.
원시인은 식인종?
2015.01.07
살아 있는 사람의 일부가 돼 동네에 계속 살게 된다고 믿습니다. 이러한 믿음은 다른
곳
에서도 볼 수 있죠. 아마존의 야노마모 족은 죽은 사람을 화장한 뒤 그 재를 죽에 섞어 친척이자 이웃인 마을 사람들끼리 나눠 먹습니다. 비유이긴 하지만, 기독교 성찬식에서는 예수가 빵을 뜯어서 자신의 ... ...
두 얼굴의 양자역학
2015.01.04
개의 줄무늬가 생겼다. 전자가 스크린에 도착할 확률이 높은
곳
은 밝고, 확률이 낮은
곳
은 어둡다. - 과학동아 제공 우선 원자가 어떻게 생겼는지 한번 살펴보자. 원자는 양의 전하를 띄는 원자핵과 음의 전하를 띄는 전자로 구성되어 있다. 원자 무게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원자핵은 그 크기가 원자의 ... ...
[북극으로 가는 ‘제2 쇄빙선’] 북극 전용 쇄빙선 2020년 취역한다
2015.01.02
시추한다…미리 보는 제2쇄빙선 활약상 북극은 지구상에서 기후 변화에 가장 민감한
곳
이다. 이상 고온이나 폭우 폭설 한파 등이 북극 해빙과 관계있다. 2013년 미국 해양대기청(NOAA)은 지구온난화로 33년간 북극 얼음의 절반 이상이 녹아 없어졌다고 보고했고, 일본 도쿄대 연구팀은 2004년 이후 북극 ... ...
[한국판 新 600만불 사나이 ①] 청각장애 없앨 ‘인공와우’
2014.12.30
전기신호가 뇌에 전달돼야 비로소 사람이 소리를 들을 수 있다. 이런 복잡한 체제 중 한
곳
만 잘못되면 사람은 청력을 잃을 수 있다. 물론 현대과학과 의학이 발달하면서 많은 치료 방법이 개발됐다. 중이에 있는 고막, 이소골에 손상이 생기거나 다른 질환이 생길 경우 흔히 쓰는 것이 보청기다. ... ...
스마트폰 6대만 있으면 고성능 홈시어터 안부러워
2014.12.30
KAIST 연구진이 스마트폰을 이용해 구현한 5.1채널 스피커를 야외에서 체험하고 있다. - KAIST 제공 스마트폰이나 태블릿PC 등 개인용 정보단말기 여러 대를 모아 영화 ...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5.1채널 스피커의 원리. 5대의 스피커를 정면과 사방 4
곳
에 배치해 현장감을 높인다. - KAIST ...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 [2회]
2014.12.29
생화학과에 자리를 잡은 아이젠은 항체에서 항원과 결합할 수 있는 활성자리가 두
곳
있음을 밝혔다. 그 결과 항원항체 응집이 일어나 병균을 무력화시킬 수 있다는 것. 산업의학과로 자리를 옮긴 아이젠은 디니트로벤젠이라는 화합물에 대한 피부알레르기반응을 연구했다. 그 결과 이들 화합물이 ... ...
올해 최고의 과학사진 톱10
2014.12.26
로제타호를 떠나 혜성 표면에 착륙하기 직전 촬영했다. 현재 필레는 태양빛이 없는
곳
에서 대기 모드로 바뀌어 ‘겨울잠’에 들어간 상태다. 화려한 도시의 야경을 연상시키는 ‘Z머신’은 3위에 올랐다. Z머신은 세계에서 가장 큰 X선 발생 장치로 미국 뉴멕시코 주 샌디아 국립연구소에 있다. ... ...
[메리 크리스마스 특집] “산타클로스, R U OK?”
2014.12.24
강사인 메트 악셀센은 “이 지역은 몸에 좋은 식재료인 연어와 신선한 물이 풍부한
곳
”이라며 “이를 활용한 요리를 만들어 먹으면 건강을 개선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조언했다. 하지만 크리스마스 이브인 24일 산타의 살인적인 스케줄은 그가 조용히 만찬을 준비할 수 있게 놔두지 ... ...
[신문과 놀자!/고희정 작가의 과학 돋보기]나뭇가지에 핀 하얀 ‘얼음꽃’
동아일보
l
2014.12.24
등에서도 아름다운 상고대를 볼 수 있습니다. 산에 오르지 않고도 상고대를 볼 수 있는
곳
도 있는데요. 바로 댐 주변입니다. 댐 주변은 습기가 많이 공급되기 때문에 기온이 뚝 떨어지면 아침에 상고대가 생깁니다. 특히 강원 춘천시의 소양강댐이나 충북 충주시의 충주댐 주변에서 멋진 상고대를 볼 ... ...
로제타가 보내온 화석의 정체, ‘집적 장벽’ 딜레마 해결할까?
동아닷컴
l
2014.12.24
“로제타가 보내온 혜성 표면 정체가 예상과 달라 깜짝 놀랐다”면서 “(67P혜성의) 모든
곳
에서 작은 알갱이들이 모여 만들어지는 대리석 모양들이 관찰될 것으로 예상했지만 전혀 볼 수 없었고 예상보다 10배~100배 더 큰 공룡 알 모양의 구조만 관찰됐다”고 말하며 홀거의 추정을 뒷받침했다. 그는 ... ...
이전
776
777
778
779
780
781
782
783
78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