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속
지속
퍼짐
속편
결과
뒤
후편
d라이브러리
"
계속
"(으)로 총 10,457건 검색되었습니다.
공동묘지의 도깨비불
과학동아
l
1999년 06호
둔다. 도깨비불은 한 번 나타난 곳에서 자주 출몰한다. 이는 인 가루가 타 없어지지 않고
계속
남아 있으면서 밤에 인광을 내는 일이 반복되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또한 인광은 온도가 올라가지 않으면서도 빛이 나는 차가운 빛(냉광)이다. 민속학자 김종대 박사가 채록한 도깨비불 목격담에서도 많은 ... ...
옥빛 물결에 잠긴 대정원
과학동아
l
1999년 06호
확대한다. 이때 강물의 수면이 낮아지면서 석회암층 내의 지하수도 흘러나가 땅 속이
계속
침식해 동굴이 형성된다. 더러는 동굴 내벽 자체가 무너지면서 동굴이 점차 확대된다. 특히 동강 중부의 작은 지류인 창리천은 평상시 골이 깊은 강바닥에 항상 물이 바짝 말라 있는데, 주위 지하의 석회암 ... ...
Ⅱ. 밀레니엄 프런티어와의 만남 : 1. 포스트 유전자 시대 스타 이건수
과학동아
l
1999년 06호
파악하게 됐다는 것이다. 서울대에서 난자가 배란되는 메커니즘으로 석사학위를 마치고
계속
공부하고 싶었지만 형편이 어려워 86년 미국으로 유학을 떠난다. 그 당시만 해도 미국은 장학제도의 천국이었다. 학비는 물론 조교를 하면서 생활비도 해결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텍사스 대학에서 세포의 ... ...
Ⅱ. 밀레니엄 프런티어와의 만남 : 3. 보험계리사 김송옥
과학동아
l
1999년 06호
12시. 외부 약속이 없어 동료들과 구내 식당에서 점심을 먹고 잠시 휴식. 하던 일을
계속
하다가 4시 갑자기 소집된 팀장회의에 참석한다. 회의가 길어져 저녁식사를 마치고 사무실로 돌아온 시간은 7시 30분. 갑자기 피로가 몰려오지만 내일 오전에 있는 보고를 위해선 아직 할 일이 많다. 어느 정도 ... ...
과학자들이 펼친 죽음의 안무
과학동아
l
1999년 06호
되는 것이 아니라 핵분열로 인해 질량수가 작은 두개의 원소로 변했던 것이다. 게다가
계속
쏟아지는 중성자 때문에 일어나는 연쇄반응은 아인슈타인의 질량 에너지 등가원리(E=mc2)에 따라 엄청난 에너지를 만들어낼 수 있다. 한은 이러한 현상을 발견한 공로로 1944년 노벨화학상을 수상했다.한이 ... ...
동강의 땅 밑이 심상치 않다
과학동아
l
1999년 06호
그간 안정하다고 여겨진 인근 지역의 단층대가 가까운 과거에 간헐적으로 활동을
계속
했을 가능성이 있으므로, 지진으로부터 발생하는 재해를 감소시키는데 신경을 써야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그렇다면 이 활성단층이 동강댐 건설 예정지역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에 대한 연구가 시급하다. 하지만 ... ...
생명에너지 기 존재하는가
과학동아
l
1999년 06호
다름아닌 이완기법을 응용한 것으로 볼 수 있다는 설명이다. 말하자면 잡념을 억제하며
계속
기도를 드리는 사람은 결과적으로 자신의 이완반응을 유도하기 때문에 스트레스를 해소하여 병에 걸릴 확률이 낮아진다는 것이다. 심령요법의 경우 환자는 대개 최면상태에 빠진다.최면상태에서는 ... ...
컴퓨터바이러스 스토리
과학동아
l
1999년 06호
이러한 부류의 바이러스들은 컴퓨터를 손상시키지 않고 단순히 자기자신을
계속
해서 복제하기만 한다. 물론 디스크 공간을 낭비하는 등의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복제기능은 있지만 해를 끼치지 않는다는 점에서 바이러스와 구분된다.두번째는 트로이 목마 프로그램이다. 전설에서 이름을 따온 ... ...
인류진화의 출발점 빙하시대
과학동아
l
1999년 06호
살고 있는 간빙기는 이미 1만년이 지났기 때문에 과거의 간빙기가 8천년-1만2천년 동안
계속
됐음을 볼 때 빙기가 찾아올 날은 그리 멀지 않다(우리 세대에 찾아오지는 않겠지만).다시 빙기가 온다면 인간들은 어떻게 적응해야 할까. 현재 극지방에 살고있는 생물들이 그 지혜를 가르쳐줄지 모른다. ... ...
Ⅲ. 재미있는 행성이야기5
과학동아
l
1999년 06호
지난 2월 명왕성을 소행성으로 재분류하지 않고 전통적인 방식으로 명왕성을
계속
해서 행성(Planet)으로 부르기로 했다. 천문학자들에게는 의미가 없는 일이지만, 아홉 행성의 막내로써 오랫동안 사랑받아온 역사적이고 문화적인 전통을 무시할 수 없기 때문이었다. ④ 또다른 태양계가 있다 - 지구 ... ...
이전
779
780
781
782
783
784
785
786
78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