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극치
비정상
전형
꿈
포부
미래상
희망
d라이브러리
"
이상
"(으)로 총 13,389건 검색되었습니다.
발생의 마법사, 신경제세포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유전되는 얼룩백색증이 나타난다는 것은 신경제세포 발생에 관련된 중요한 유전자에
이상
이 생겼을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신경제세포의 발생에 문제가 생겼을 때 일어나는 현상은 단지 얼룩백색증에 국한되지 않는다. 입술갈림증, 난청, 거대결장증 등의 증상이 동반되기도 한다. 특히 ... ...
이 행성에선 태양이 3개 뜬다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네이처’ 7월 14일자에 발표했다. 지금까지 161개의 외계 행성이 발견됐지만 하나
이상
의 태양을 둔 행성이 발견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SF영화 ‘스타워즈’에 쌍둥이 태양을 가진 것으로 그려진 행성의 이름을 따 ‘타투인 행성’이라 명명된 이 행성은 하와이 마우나케아에 있는 케크 ... ...
쌍둥이도 나이 들면 달라진다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차이가 있었다. 쌍둥이가 나이가 들수록 그 차이는 더 커져 28세
이상
쌍둥이는 60%
이상
에서 DNA가 서로 다르게 변형됐다는 것이 밝혀졌다.이 연구는 왜 쌍둥이 중 한 명이 당뇨병 같은 유전 관련 질병에 걸려도 다른 한 명은 건강한지를 설명하는데 도움이 된다. 과학자들은 환경과 생활습관을 그 ... ...
북한 전력 사정이 위험 요소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교류 송전은 심각한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 교류 송전방식은 북한 전력 체계에 심각한
이상
이 발생할 경우 남한 전력 체계 전체에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이 때문에 전문가들은 비록 송전 비용은 싸지만 위험 부담이 큰 교류보다 ‘직류 송전 방식’을 채택해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문제는 직류를 ... ...
Ⅱ. 한여름밤 혜성의 누드쇼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오르트의 구름으로 불린다”고 말했다.최근 이곳이 고향인 혜성은 공전주기가 200년
이상
인 장주기 혜성이며, 단주기 혜성은 해왕성 바깥 지역으로 30~1000AU 떨어져 있는 ‘카이퍼 띠’가 고향인 것으로 밝혀졌다. 이곳에서 출발한 혜성이 태양에 3AU 정도로 가까워지면 태양열에 혜성 핵에 있는 물질이 ... ...
2. 공포는 마음속에 있는 거죠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흰쥐에 관한 다양한 자극이 편도체로 들어와 편도체 신경을 자극한다. 이렇게 두 가지
이상
의 신호가 들어오면 다양한 입력신경과 편도체 신경을 연결하는 부위인 시냅스가 ‘강화’(Potentiation)된다. 여기서 시냅스 강화란 같은 자극에 대해 신경세포가 더 크게 반응하는 현상을 말한다.따라서 ... ...
3. 공포증의 물귀신 작전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게 좋다. 또 두려워하는 상황에 충분한 시간동안 머물러야 한다. 너무 짧게 머물면 더
이상
두려워할 필요가 없다는 것을 깨닫기 전에 그만두게 되기 때문이다. 결국 공포가 최고로 상승했을 때 떠나는 셈. 이 ‘고비’만 넘기면 두려움과 불안은 자연히 줄어든다.물귀신은 도망가면 갈수록 발목을 ... ...
귀신 잡는 첨단 해병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보는 미국 특수 부대의 화기와 큰 차이가 없다. 그러나 한국은 해병대만 해도 2만6000명
이상
이므로 모든 병사에게 비싼 화기를 줄 수 없다. 따라서 앞서 언급한 첨단 장비는 일종의 분대 지원화기로 배치될 것이다.해병대가 국가전략기동군으로 거듭나기 위해서는 대형 상륙수송함을 중심으로 기동 ... ...
02. 이공계 진로지도 해법은 없나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쉬고 있을 때는 α(알파)파가 나온다. 그런데 쉬고 있을 때 δ(델타)파가 측정되면 뇌 활동
이상
을 의심해 볼 수 있다. 권 교수는 이에 대해 “정신분열증, 간질 등의 정신질환을 앓고 있는지 알아보기 위한 것에 불과하다”며 “지금의 연구결과로는 뇌파로 적성을 검사하기엔 부족한 점이 많다”고 ... ...
기상천외한 생물들이 여기 다 있네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받은 저자는 “이들도 엄연한 지구 생태계의 일원”이라며 오히려 “그들이 우리를 보고
이상
한 생물이라고 하지 않을까”라고 반문한다. 일러스트레이터 데라니시 아키라의 그림은 간결하면서도 특징을 잘 잡아내 마치 사진을 보는 것처럼 생생하다. 한국해양연구원 김동성 박사는 “이들의 ... ...
이전
782
783
784
785
786
787
788
789
79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