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의료
요법
처치
진료
방법
치료법
구제법
뉴스
"
치료
"(으)로 총 9,940건 검색되었습니다.
피부 줄기세포로 근육 만들어
과학동아
l
2018.02.08
손상된 환자를
치료
할 수 있는 새로운 길이 열렸다. 네너드 버삭 미국 듀크대 교수팀은 사람의 피부세포에서 유래한 유도만능줄기(iPS) 세포를 근육 조직으로 분화시키는 데 성공해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1월 9일자에 발표했다. 피부에서 실제로 수축과 이완을 할 수 있는 근육 조직을 만든 건 ... ...
“암세포 되기 전 퇴치” 종양줄기세포 찾아 없애는 물질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18.02.07
(위에서부터) 폐암 조직에서 종양세포 중 종양줄기세포가 단 한개만 있어도 암이 재발하거나 전이될 가능성이 높다. 일반종양세포와 종양줄기세포가 섞여있는 ... 내 발현 단백질을 표적으로 한 최초의 형광물질”이라며 “향후 암
치료
약물 개발 가능성을 열어주는 성과”라고 말했다 ... ...
추우면 살 빠진다? 사실일까?
동아사이언스
l
2018.02.06
세포가 열을 내기 위해 더 많은 에너지를 소비한다고 생각하기 쉽다. 실제 저온
치료
로 지방분해 효과를 누린다는 ‘냉동지방분해술’이나 ‘냉동 요법’ 등이 일부 병원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추위가 지방을 태우는 효과만 낳는 건 아니다. 도리어 급격히 추워진 환경은 지방세포를 더 ... ...
평창동계올림픽 안전요원 20명 감염...겨울 불청객 ‘노로바이러스’ 막으려면?
동아사이언스
l
2018.02.05
치료
없이 호전된다. 하지만 면역력이 약한 사람은 탈수증 같은 합병증이 나타날 수 있어
치료
가 필요하다. 노로바이러스는 감염 환자의 분비물이나 신체 접촉을 통해 다른 사람에게 2차 감염을 일으킬 수 있다 (사진=뉴시스) 노로바이러스는 감염 환자가 손을 씻지 않고 접촉한 물건을 만진 후 ... ...
게르마늄 팔찌 효과가 국제학술지에? 명백한 허위 광고, 밝혀진 효능 없어
동아사이언스
l
2018.02.03
검증되지 않았다. 실제 취재를 위해 연락한 10여 명의 암 전문의 중 유기 게르마늄이 암
치료
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고 있는 전문의는 단 한 명도 없었다. 오히려 미국식품의약국(FDA)에서는 1997년 발표한 논문 ‘게르마늄 건강보조식품의 위해성 평가’에서 ‘건강보조식품으로 게르마늄을 ... ...
지카 바이러스 소두증, 유전자 이상이 원인이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2.02
GIB 제공 지카(Zika) 바이러스로 인한 영아 소두증, 이른바 지카 신드롬이 남미 지역을 휩쓴 바 있다. 하지만 지카바이러스에 감염된 모든 ... 확인됐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이를 바탕으로) 지카 신드롬을 막기위해 유전자
치료
적인 접근법을 고려할 필요가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 ...
국내 발굴 유전자 ‘삼돌이’, 자폐증 원인 규명에 한 발 다가서
동아사이언스
l
2018.01.31
- 한국연구재단 제공 사이토카인은 인체의 면역과 관련이 깊은 물질로, 질병을
치료
하기 위해 약을 개발할 때 대표적인 타깃으로 꼽힌다. 김 교수와 신 단장팀은 신경계 질환에서도 사이토카인이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보고 20여 년 전부터 연구를 해 왔다. 특히 2006년 자체적으로 발굴해 ... ...
생화학무기 될 수도 있는데...보톡스 생성균 관리 허술
동아사이언스
l
2018.01.30
클로스트리디움 보툴리눔(Clostridium botulinum)이다. 이 균이 만드는 단백질이 주름개선
치료
제로 쓰이는 보톡스다. 보톡스는 신경세포의 말단에서 다른 세포로 신호를 전달하는 신경 전달 물질 아세틸콜린의 방출을 막아 마비 증상을 일으킴으로써 피부를 팽팽하게 만들어준다. 보톡스는 A형부터 ... ...
유전자가위 크리스퍼, 인공지능과 결합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1.30
컴퓨터의 데이터를 확인하는 윤성로 교수 - 서울대 공대 제공 난치성 질환을
치료
할 획기적 기술로 주목받고 있는 ‘유전자 가위’ 크리스퍼가 인공지능(AI)과 결합해 진화하고 있다. 윤성로 서울대 전기정보공학부 교수와 김형범 연세대 의대 교수팀은 AI를 활용해 유전자가위의 효율을 예측하는 ... ...
치매로 이어지는 헌팅턴병 초기 발생과정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1.29
ro 제공 중년기에 접어들면서 간혹 갑작스런 몸의 경련이 일어난다면 의심해야 할 질병이 있다. 이르면 30대부터 증상이 나타나는 헌팅턴병 (무도병)이 ... 단백질을 막는 게 아니라 세포분열 단계에 작용할 수 있는 약물을 설계하면 새로운
치료
법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이전
782
783
784
785
786
787
788
789
79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