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인간
놈
인류
녀석
인물
휴먼
개인
d라이브러리
"
사람
"(으)로 총 14,404건 검색되었습니다.
난독증 유전자 발견
과학동아
l
200504
보이는
사람
223명과 그렇지 않은
사람
273명의 유전자를 분석했다. 그 결과 난독증인
사람
은 6번 염색체에 있는 KIAA0319라는 유전자에 변이가 있을 확률이 높았다.아직까지 이 유전자의 역할은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세포가 서로 연결되는 것을 돕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윌리엄스 교수는 ... ...
가상공간에 세운 디자이너의 작업실
과학동아
l
200504
말한다. 초고속 인터넷과 멀티미디어 환경에서 좀더 좋은 디자인을 위해 여러 분야의
사람
들이 모여 서로 협동하는 것이 최근 흐름이라는 얘기다. 실제로 이들 첨단 기술은 디자이너나 기술자, 기업들과 소비자의 경계를 점점 더 무너뜨리고 있다. 기업도 소비자의 요구를 반영하는 디자인을 가장 ... ...
컴퓨터, 유해물질에 로그인!
과학동아
l
200504
사람
들보다 브롬 난연제의 농도가 훨씬 높게 나타났다. 소각장 근로자의 경우 오래 일한
사람
일수록 혈중 브롬 난연제 농도가 더 높았다.연구팀은 또한 한강, 낙동강, 금강, 영산강에 서식하는 물고기와 개구리에 다이옥신 유사물질을 찾아내는 미생물을 넣어봤다. 이 미생물은 유전공학 기법으로 ... ...
나만의 전속 영양사 - 유전자
과학동아
l
200504
지문’에 따라 비만이나 비만 관련 질병의 발생 위험도를 예측할 수 있다. 위험도가 높은
사람
에게 개인별로 알맞은 식품 권장량과 섭취방법을 알려주거나 생활습관 개선을 유도하면 병의 시작을 늦추거나 예방할 수 있을 것이다. 첨단 맞춤 식이요법 등장과거에는 어떤 영양소가 부족하면 무슨 ... ...
해가 바뀌면 자리를 옮기는 목성
과학동아
l
200504
그 움직임도 크지 않아 일반 별들과 그 느낌이 그리 다르지 않다. 그래서 친숙하다.옛날
사람
들은 목성을 ‘세성’(歲星)이라 불렀다. 그 의미는 해마다 별자리 하나씩을 옮겨가는 별이란 뜻이다. 목성은 왜 일년에 별자리 하나씩을 옮겨갈까?우주 저편 멀리 있는 별들은 지구에서 거의 무한대의 ... ...
01 참살이 약품 찍어내는 식물공장
과학동아
l
200504
추출한 항암제 탁솔을 배양기술로 생산하고 있다. 황금쌀로 빈곤국 기아 퇴치한국
사람
의 주식인 쌀도 다양하게 진화하고 있다. 작물연구원 유전육종과 연구팀은 지난 2002년 ‘다이어트 쌀’인 고아미2호를 개발해 올해부터 본격적으로 일반 농가에 보급하고 있다. 먹어도 살이 잘 찌지 않는 쌀이 ... ...
05 푸른 향기 가득한 우주정원
과학동아
l
200504
수석 연구원 웨이자 주 박사는 “우주작물 재배 기술은 우주에서 오랫동안 머무는
사람
들을 위해 이용될 것이며 우주선 안의 환경을 조금이라도 지구와 비슷하게 만들 것”이라고 설명했다. 러시아 과학자들의 연구 결과 우주정원이 우주인들의 정신적 스트레스를 줄이는 효과가 있다고 한다. NASA는 ... ...
체중조절 효과 있는 5색 식품
과학동아
l
200504
비만체형관리클리닉 박용우 교수는 “대부분 동물실험에서 얻은 결과”라며 “
사람
에서도 같은 효과가 있는지는 근거가 부족하다”며 고개를 젓는다. 실제로 뉴질랜드 오클랜드대 임상시험연구단이 지난해 9월 ‘국제비만저널’에 발표한 연구결과는 이를 반영한다. 과체중이거나 비만인 성인 ... ...
갈색구름이 몰려온다
과학동아
l
200504
‘인도엑스 연구계획’이 수행됐다. 이를 통해 인도에서 불어오는 육상기원의 공기에
사람
들이 만들어내는 갈색구름이 포함돼 있음이 처음으로 확인됐다. 또 갈색구름이 전지구적으로 미치는 영향을 더욱 장기적이고 체계적으로 연구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 분명해졌다. 이런 이유로 최근 ... ...
냉중성자 연구로 나노혁명 이끈다
과학동아
l
200504
다목적로를 선호한다.처음부터 한국이 연구용 원자로를 국산화한다는 얘기를 믿었던
사람
은 거의 없었다. 게다가 당시는 원자로마저도 원조받던 시기였다. 하지만 지난 10년 세월은 ‘무시’를 ‘관심’으로 바꿔놓기에 너무나 충분했다. 1987년 건설 계획을 처음 받아든 당시 설계자들은 상당한 ... ...
이전
783
784
785
786
787
788
789
790
79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