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숫자
자수
넘버
번호
수단
방법
꾀
d라이브러리
"
수
"(으)로 총 31,072건 검색되었습니다.
케네스 리벳 미국
수
학회 회장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 증명의 숨은 공신
수학동아
l
2018년 11호
영국
수
학자 앤드루 와일스 교
수
는 358년 동안 풀리지 않았던
수
학 난제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를 1994년에 증명해 일약
수
학계의 슈퍼스타가 됐다. 하지만 와일스 교
수
가 페르마의 ... 시무라 추측은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 증명법을 이용해 1999년 와일스 교
수
와 제자들이 해결했 ...
초콜릿 강에서 찾은 나비에-스토크스 방정식
수학동아
l
2018년 11호
상
수
로 바꾸기만 하면 초코바에 쓴 식이랑 똑같은 방법으로 균일하게 페인트칠을 할
수
있답니다. 이건 비행기가 안전하게 하늘을 나는데 중요한 요소예요 ... ...
[과학뉴스] 찾았다! 중성자별 쌍성계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등 쌍성을 이루는 별이 존재한다는 증거”라며 “별이 폭발할 때 방출된 입자의 상당
수
가 쌍둥이별의 중력에 이끌려간 것”이라고 설명했다. doi:10.1126/science.aas869 ... ...
[과학뉴스] 세계 최초 4D로 촬영한 배아 발달과정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푸른색 영롱한 빛이 마치 별의 탄생 과정을 보는 듯하다. 하지만 이 사진은 하나의 생명이 자라나는 과정을 담은 것이다.미국 연구팀이 세계 최초로 배아의 발달 과정을 실시간 ... 세포를 촬영하기 때문에 세포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었다”고 밝혔다. doi:10.1016/j.cell.2018.09.031신용
수
기 ... ...
[독자와 함께]퓨마 사살과 동물원 폐지 논란 9월 18일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9월 18일 대전 오월드 동물원에서 ‘호롱이’라는 이름의 암컷 퓨마 한 마리가 탈출했습니다.
수
색 작업을 벌였지만, 호롱이는 결국 사살됐습 ... 동물 복지를 위해 나아가는 과도기에 있다”며 “모든 동물원이 함께 발맞춰 변화할
수
있도록 시민들의 지속적인 관심과 응원이 필요하다”고 ... ...
[TECH]무선충전 기술이 돌아왔다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지난해 12월 미국 스타트업 에너저스(Energous)는 자사의 원거리 전력 전송기 ‘와트업(WattUp)’이 세계 최초로 미국연방통신위원회(FCC)의 인증을 받았다고 발표했다( ... 충분히 충전할
수
있다”며 “무선 충전 기술이 의료 등 다양한 분야와 만나 폭넓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 ...
물리학상 - 빛으로 나노입자 집는 '광집게'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거쳐 미국 국립표준기술연구소(NIST) 방문연구원을 지냈다. 현재 GIST 기계공학부 교
수
로 있다. 2000년부터 광집게를 연구했으며, 이외에도 자율주행자동차와 3D 및 4D 프린팅 등을 연구하고 있다. lygu@gist.ac ... ...
곡식의 왕 '밀' 유전자 지도 완성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밀에 대한 연구가 중요한 이유다. 밀 게놈 해독은 이를 위한 첫걸음이 될 것이다. 서 교
수
는 “밝혀낸 밀 유전자의 기능을 지속적으로 연구해나갈 계획”이라며 “곡물 중 가장 큰 밀의 지도가 완성된 만큼, 유사한 유전자를 가진 벼나 보리에 대한 연구도 더욱 의미 있는 진전을 이룰 것”이라고 ... ...
보석은 알고 있다, 지구의 비밀을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지표까지 운반됐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과거에 강력한 지구조 활동이 있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한반도는 25억 년의 역사를 가진 오래된 암층으로 구성됐다. 한반도 형성 역사를 이해하는 것이 동아시아의 지구조 역사를 이해하는 중요한 퍼즐인 이유다. 김 연구원은 “약 5000년 전 제주도와 ... ...
'땅 위의 인공태양' 건설 현장에 가다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전력을 생산할
수
있다. 중
수
소는 지구 표면의 70%를 덮고 있는 바닷물에서 무한히 얻을
수
있다. 온실가스나 이산화황 등 대기오염물질을 배출하지 않고, 원전과 달리 고준위 방사성 핵폐기물도 발생하지 않는다. 비고 사무총장은 “핵융합에너지가 아니더라도 미래를 위해서는 장기적인 관점에서 ... ...
이전
784
785
786
787
788
789
790
791
79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