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순서
경로
경과
코스
절차
단계
진행
d라이브러리
"
과정
"(으)로 총 11,556건 검색되었습니다.
사람 얼굴처럼 자동차를 구별한다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영상을 구별하는데 일반인보다 큰 어려움을 겪었다. 연구팀은 신경신호를 처리하는
과정
에서 벌어진 교통혼잡 때문으로 결론을 내렸다.가우티어는 “이번 실험은 자동차 전문가가 의식하지 않고 자연스럽게 반응한 결과”라면서 “같은 신경회로 부분이 얼굴을 구별하고 극단적으로 관심있어 하는 ... ...
컬럼비아호 잔해 2만개 조각맞추기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당단백질(糖蛋白質)로 갈락토사민 · 글루코사민을 함유하고 있다핵력(核力)의 기본
과정
인 중간자와 핵자(核子)의 상호작용을 다루는 장(場)의 양자론의 한 형식 핵력은 전기력에 비해 100배 정도나 강한 힘이기 때문에 중간자와 핵자의 상호작용에 대해 전자(電子)와 광자(光子)의 상호작용에 ... ...
우주 연못에서 뛰쳐나온 올챙이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만광년이 넘는 길이로 뻗어있다. 기다란 꼬리 중간에는 파란 별무리 둘이 돋보인다. 충돌
과정
에서 새로이 탄생한 별무리로 나중에 큰 은하를 도는 왜소은하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거대한 우주 올챙이는 교통사고처럼 충돌의 아픔을 겪은 파괴의 현장이자, 지성 끝에 하늘이 점지해준 금와처럼 ... ...
가가린은 세계 최초 우주인 아니다?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옛소련은 알리고 싶지 않은 많은 우주계획을 공개하지 않았다. 심지어 가가린의 지구착륙
과정
또한 수년간 정확히 공개하지 않았다. 당시만 해도 딱딱한 육지에 부드럽게 착륙하는 기술을 개발하지 못해 가가린은 7천m 상공에서 사출의자를 통해 우주선에서 분리된 후 낙하산을 이용해 하강해야만 ... ...
3 DNA 연구의 최전선 미생물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메커니즘과 유전정보가 RNA로 전달되는 전사
과정
, RNA를 거쳐 단백질이 만들어지는 번역
과정
, RNA의 자기복제 메커니즘, DNA의 특정 부위를 자르는 제한효소의 발견까지. 이 수많은 생명의 신비는 모두 미생물을 대상으로 연구한 결과 밝혀졌다.올해로 50주년을 맞는 DNA 연구는 미생물을 통해 또다른 ... ...
① 메타게놈이 가져온 DNA 연구 혁명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해양연구소의 드롱 박사팀은 버뮤다 해역에 서식하는 미생물의 메타게놈 DNA를 연구하는
과정
에서 ‘프로테오로돕신’(proteorhodopsin)이라는 유전자를 발견했다. 이 유전자가 만드는 단백질은 인간의 로돕신과 고세균의 박테리오로돕신과는 사촌뻘에 해당하는 것으로 밝혀졌는데, 드롱 박사팀은 ... ...
② 시험관에서 이뤄지는 DNA 진화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예측하는데도 유용하게 쓰인다. 예를 들어 바이러스 감염을 예방하는 신약 개발
과정
을 생각해보자. 바이러스에 대한 신약은 바이러스 표면의 특정(표적) 단백질을 타킷으로 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바이러스는 표적 단백질을 코딩하는 내부 DNA 서열을 바꿈으로써(돌연변이) 표적 단백질의 특성을 ... ...
진달래는 왜 초봄에 피어날까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오랜 진화
과정
에서 생물종이 도태되지 않고 살아남기 위한 필수조건이다. 따라서 진화
과정
을 통해 계절에 따른 환경변화를 정확히 인지하고 개화시기를 정확히 조절하는 유전메커니즘이 식물에 확립됐을 것으로 추론할 수 있다.식물은 구체적으로 어떤 물리·화학적 메커니즘을 통해 계절을 ... ...
머리가 편안해야 장수한다 베개의 과학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통로라는 사실이다.인간의 머리를 받치는데 사용되는 베개는 머리가 열을 내보내는
과정
을 방해하지 않아야 한다. 그렇지 못하면 머리 부분에 열이 쌓여 땀이 많이 흐르게 되고, 그 결과 쾌적한 수면을 하지 못해 인체가 휴식을 제대로 취하기 어렵기 마련이다. 베개를 선택할 때 ‘건강하려면 ... ...
마이너스 시력은 없다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이
과정
에서 초점과 눈 뒤 망막이 점점 더 멀어져 도수가 높아지는 것이다. 자연스러운
과정
이고 안경으로 인해 더 나빠지는 것이 아니다. 또 근시는 눈이 큰 경우가 많아 튀어나와 보이는 것이지 안경으로 인해 변화가 생기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시력이 발달하는 만 6-7세 이전에 아이가 눈이 나쁜 ... ...
이전
785
786
787
788
789
790
791
792
79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