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약품
약제
의약품
약물
의약
꽃밥
의약제
d라이브러리
"
약
"(으)로 총 10,715건 검색되었습니다.
재미있는 공룡족보
과학동아
l
2000년 01호
자세히 알려져 있다. 크기는 1.9-9m로 다양하다. 이빨은 작고 단순하며
약
간 톱니모양인 점을 빼고는 별 특징이 없다.불쑥 돌출한 파키케팔로사우리아의 머리뼈는 오늘날의 산양처럼 암컷을 차지하기 위해 수컷끼리 서로 박치기를 할 때 사용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왜냐하면 목뼈가 충격을 방지하게 ... ...
1월 1일 0시의 자오선 찾기
과학동아
l
2000년 01호
다시 6월 초순부터 새벽 동쪽 하늘로 자리를 옮겨 모습을 드러낸다. 5월 28일에 두 행성은
약
1도까지 가까워지지만 태양에서 너무 가까워 보기 어렵고 본격적인 모습은 6월 하순부터 관찰할 수 있다. 그리고 2001년 8월 16일 새벽에 달에 의해 가려졌다 나타나는 목성식이 일어나기도 한다. 한편 지구 ... ...
멋진 신세계
과학동아
l
2000년 01호
교리와
약
물의 효과로 유토피아를 누리는 인도양의 한 섬나라를 묘사했지만, 설득력이
약
하다는 평가를 받았다. 인간성 말살 경고 메시지 담아-과학만능주의 비판한 우화멋진 신세계'는 1932년에 처음 발표됐다. 제목 그대로 판단하면 유토피아를 그린 것 같지만 사실은 왜곡된 디스토피아를 묘사한 ... ...
용, 아홉가지 동물의 키메라
과학동아
l
2000년 01호
발생한 토네이도는 특히 무서웠다. 신사동에서 팔당 부근까지
약
20km를 진행하면서 좌우
약
2백m 지역에 엄청난 피해를 입혔다. 당시 내무부 집계에 따르면 사망 2백39명, 부상 3백46명, 실종 1백65명, 이재민 3만4천여명으로 당시 금액으로 14억여원의 엄청난 피해를 입혔다. 이런 사례들을 보면 용의 ... ...
솥 모양 해시계 앙부일구
과학동아
l
2000년 01호
시계가 설치돼 있다. 하지만 우리가 보는 시간은 ‘지금을 오후 1시라고 정하자’는
약
속일 뿐이다. 태양은 하늘에서 돌아가고 있지만 우리는 더 이상 태양을 보고 시간을 읽지 않는다. 하늘의 태양은 자오선에 오지 않았는데 지금을 ‘정오라고 정하자’는 규칙을 따라 정오로 부르고 있을 뿐이다. ... ...
우리은하도 충돌했다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국립천문대(CTIO)의 망원경을 빌려쓰기 위함이었다. 연구원들은 2주간의 관측활동을 통해
약
6백여장의 디지털 사진을 촬영할 수 있었다.이들이 관측한 2주간은 특별히 날씨가 좋아 그곳 천문대의 직원들이 모두 부러워할 정도였다. 일단 세계 어느 관측팀도 갖지 못한 데이터의 정확성과 신뢰성이 ... ...
Ⅰ. 30억개 문자의 정체를 밝힌다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기술이 있다면 연구는 간단히 끝난다(세포 하나에 존재하는 DNA를 모두 연결하면 길이가
약
1.5m에 달한다).DNA 실타래 풀기그러나 현재의 기술로는 이 일이 불가능하다. 무엇보다 복잡한 실타래 모양으로 얽힌 DNA 가닥을 풀어놓기가 어렵다. 과학자들이 생각한 묘안은 '일단 자르고 다시 붙이기'였다. ... ...
초상화는 왜 왼쪽얼굴인가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도중 목탄이나 물감이 손에 묻을 확률도 줄어든다는 것이다.동양인은
약
8%, 서양인은
약
11%가 왼손잡이로 조사되고 있다. 이것도 서양의 초상화가 우리나라의 초상화보다 왼쪽 측면상에 덜 편향된 이유를 어느 정도 설명해준다.동서양의 예술관 차이이주헌씨는 동서양의 수치 차이를 화풍이나 ... ...
21세기 이동통신 IMT-2000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생활 속으로 파고들고 있는 인터넷은 휴대가 불편한 컴퓨터를 사용해야 한다는 기본적인
약
점을 지니고 있다. 덩치 큰 컴퓨터를 들고 다니며 인터넷 쇼핑을 하고 정보를 교환한다는 것은 애초 무리다. 그런데 IMT-2000이 등장하면서 길거리에서 초고속 인터넷을 즐길 수 있게 됐다. IMT-2000의 세 번째 ... ...
300년만에 풀린 최석정의 마법진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예기류편’(禮記類編)이 있는데, 그중에서도 ‘구수략’은 그의 수리철학사상이 집
약
된 특이하고 귀중한 문헌이다. 그가 남긴 글들을 모아 후손이 정리한 문집으로 ‘명곡집’(明谷集)이 있다.최석정은 주역철학에도 이해가 깊었는데, 이를 바탕으로 해서 수학과 주역철학을 결합한 독특한 ... ...
이전
785
786
787
788
789
790
791
792
79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