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문
대회
학식
국제올림픽위원회
국제
올림픽
위원회
뉴스
"
학술
"(으)로 총 14,864건 검색되었습니다.
유전자가위로 만든 네안데르탈인 뇌 오가노이드
과학동아
l
2021.03.08
포함한 국제 공동연구팀은 네안데르탈인의 유전자를 가진 뇌 오가노이드를 제작해 국제
학술
지 ‘사이언스’ 2월 12일자에 발표했다. doi: 10.1126/science.aax2537 연구팀은 먼저 현생인류(호모 사피엔스)와 네안데르탈인, 데니소바인의 게놈을 분석해 차이를 보이는 61개의 유전자를 찾았다. 여기에는 뇌를 ... ...
마지막 티켓 2장을 잡아라…AI대학원 설립 총력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동아사이언스
l
2021.03.08
가까이 늘어난다. 최근 5년간 이들이 AI 분야 톱티어 학회와 과학기술논문인용색인(SCI)급
학술
지에 발표한 논문은 204편, 임팩트팩터(IF·피인용 지수)를 모두 합치면 728.8이다. DGIST는 이들을 중심으로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추진하는 AI대학원 설립에 힘을 쏟고 있다. 2019년 4개 과학기술원 가운데 ... ...
타임머신으로 시간 거스르듯, 원자 ‘초흡수’ 현상 첫 관측
동아사이언스
l
2021.03.07
서울대 제공 국내 연구진이 빛을 빠르게 모조리 흡수하는 ‘초흡수(superabsorption)’ 현상을 처음으로 관측하는 데 성공했다. 안경원 서울대 물 ... 신호가 매우 약한 천체 관측, 광신호 처리 등에도 활용될 수 있다.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
지 ‘네이처 포토닉스’ 3월 2일자 온라인판에 실렸다. ... ...
[표지로 읽는 과학] 면역작용에 상처까지 치료하는 대식세포
동아사이언스
l
2021.03.07
+ 대식세포가 상처 부위를 찾고, 이동하고, 아물게 하는 과정은 밝혀지지 않았다. 국제
학술
지 ‘사이언스’ 5일(현지시간) 복강 내에 생긴 상처에 모여 상처 부위를 메꾸고 있는 GATA6+대식세포의 모습을 표지에 실었다. 조엘 진델 스위스 베른대 생물의학연구과 연구원팀은 살아있는 생물의 생체 ... ...
[표지로 읽는 과학]심해 자유롭게 누비는 로봇 물고기
동아사이언스
l
2021.03.06
제공 국제
학술
지 네이처는 4일 바닷속을 헤엄치는 로봇 물고기와 그 뒤를 따르는 심해 꼼치의 모습을 표지에 실었다. 이 꼼치는 수심 1만900m로 지구상에서 가장 깊은 마리아나 해구에 사는 마리아나 꼼치다. 심해는 수압이 극도로 높아 탐험하기가 매우 어려운 조건이다. 심해 잠수정을 단단한 금속 ... ...
미 대륙에서 나비가 사라진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3.05
동물의 진화 속도에 비해 너무 빨라 많은 종들이 이에 적응하지 못할 것이란 분석을 국제
학술
지 미국립과학원회보(PNAS)에 공개했다. 연구팀은 제브라피시를 대상으로 6세대를 거치며 얼마나 지구 온난화에 적응하는 형태로 진화하는 지 분석했다. 제브라피시는 유전체가 완전히 해독돼 있으며 ... ...
[동일본대지진 10년]방사능 피해 고향 떠난 10년, 스트레스가 육신을 갉아먹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3.05
정신적 스트레스를 줄이는 사회적 시스템 연구가 필요하다는 분석이다. 국제
학술
지 ‘사이언스’는 4일(현지시간) 10년을 맞은 후쿠시마 원전 사고와 관련해 지난 10년 동안 일본 피난민들의 건강을 장기적으로 추적 연구한 일본인 츠보쿠라 마사하루씨의 그간 연구결과를 이례적으로 조명했다. ... ...
옆모습 결정하는 유전자 32개 확인
과학동아
l
2021.03.05
인간이 어떻게 진화했는지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줄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국제
학술
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 2월 5일자에 실렸다. doi: 10.1126/sciadv.abc616 ... ...
[과기원은 지금]KAIST오픈벤처랩, 기출창업 예비창업자 모집外
동아사이언스
l
2021.03.05
KAIST 제공 ■ 기술창업 예비창업자를 지원하는 KAIST 오픈벤처랩은 올해 참가자를 15일까지 모집한다. 15팀 내외를 선발할 예정으로 선정된 예비창업팀은 창 ... 1시간 만에 기존 농도의 256배로 농축하는 게 가능하다. 연구결과는 지난달 26일 국제
학술
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에 실렸다. ... ...
반도체 한계·난치 췌장암 극복...과학난제 해결에 도전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3.05
이용하면 원자 4개에 1비트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알아내고 그 결과를 국제
학술
지 ‘사이언스’에 지난해 7월 공개했다. 연구팀은 평범한 반도체 트랜지스터의 전극물질인 산화하프늄에 전압을 걸면 스프링처럼 강하게 작용하던 원자간의 상호작용이 사라지는 현상을 처음으로 ... ...
이전
785
786
787
788
789
790
791
792
79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