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바늘
침
잔뼈
강모
침상 결정
구더기
구데기
d라이브러리
"
가시
"(으)로 총 870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Ⅰ마이크로파에서 레이저과학으로 첨단과학에 빛을 더한다
과학동아
l
199102
폭넓게 적용되고 있다. 기존의 장비들이 눈이 없는 장님 기계라면 여기에 레이저 광을 추
가시
킴으로써 눈이 있는 기계장비로 바꿀 수가 있고, 여기에다 컴퓨터를 설치함으로써 지능이 있는 인공지능을 가진 장비 곧 인공지능 로봇이 탄생한다. 21세기에는 컴퓨터도 광컴퓨터로 대체될 전망이고, ... ...
PARTⅡ. 원리와 종류-루비레이저에서 자유전자 레이저까지
과학동아
l
199102
쉽게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발진파장은 주로 적외선 영역에 국한돼 있으나 최근에는
가시
광선영역에서 동작하는 레이저도 개발됐으며 고출력 동작도 가능해져 앞으로 다른 레이저를 제치고 레이저 응용 분야에서 중심적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대표적인 반도체 레이저로는 갈륨비소(GaAs) ... ...
1. 소프트웨어
과학동아
l
199101
수 있다.필자는 두가지 측면에서 외국 소프트웨어의 국내 시장 상륙이 앞으로 1,2년 안에
가시
화될 것이라 판단한다. 첫째는 그동안 외국 소프트웨어의 국내 상륙에 가장 큰 장애물로 작용했던 한글화 작업이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스' 등의 보급으로 대단히 간편해졌다는 것이다. 로마자와는 달리 ... ...
PARTⅣ 생명과학자들의 최대고민
과학동아
l
199012
발달을 바탕으로 한 유전공학기법은 종전의 관념으로는 불가사의했던 기적같은 일들을
가시
화해 가고 있음은 아무도 부정하지 못한다. 이러한 것중 가장 간단한 보기를 들면 감자(potato)의 세포와 토마토(tomato)의 세포를 세포융합해 얻은 제3의 생물체인 포마토(pomato)가 있다.한 식물체의 ... ...
가속기 시대가 열린다
과학동아
l
199012
인해 잃어버린 에너지를 보충해주는 고주파공진기가 있고 방사광의 강도 및 밀도를 증
가시
키는 삽입장치(언듈레이터와 위글러)가 부착돼 있다.양전자 궤도의 휨자석에서 발생하는 전자파는 빔라인(beam line)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된다.PLS는 애초 5백억~7백억원 예산으로 세워질 예정이었으나, 89년 ... ...
PARTⅤ 한국 유전공학의 현주소
과학동아
l
199012
투자되기 때문에 기왕에 참여하고 있던 기업들도 서서히 발을 빼고 있는 상태다.
가시
적인 효과를 원하고, 느긋하게 기다릴줄 모르는 우리의 기업풍토에서 보면 당연한 일인지도 모른다.실제로 제일제당 등 몇몇 기업이 아니었더라면 유전공학을 전공하고 대학문을 나서는 사람들은 고스란히 ... ...
PARTⅢ 재료
과학동아
l
199011
종전보다는 다소 활성화되고 있다.소재는 그 중요성을 누구나 인식하지만 눈에 띄는
가시
적인 효과가 적고 연구개발 부터 실용화까지 많은 시간과 비용이 투입 된다. 우리나라 같이 눈에 보이는 효과를 내는 사업에만 투자가 집중되는 상황에서는 소재산업의 질적인 발전이 늦춰질 수 밖에 없다. ... ...
에너지 절약기술
과학동아
l
199010
기술개발로 30% 절약 가능대체에너지개발이 장기적인 대책이라면 에너지절약 기술개발은
가시
적 효과가 단기간에 나타날 수 있을 뿐더러 절약효과도 상당히 높다. 일반적으로 공학적인 기술개발을 통해서 에너지절약이 가능한 양을 30% 정도로 잡고 있다.한국 동력자원 연구소 에너지절약기술센터장 ... ...
가정자동화 시대가 열리고 있다
과학동아
l
199009
변환시키는 것이다.예컨대 사람의 눈에 해당하는 광센서는 빛을 감지하는데 흔히
가시
광선센서와 적외선 센서로 구분된다. 이 광센서는 서로 바라보게 설치한다. 따라서 그 사이에 어떤 물체가 끼어들면 늘 쏘고 있던 빛이 중단된다. 이런 원리를 활용, 작동하는 대표적인 기기가 자동문이다. 또 ... ...
정밀검사로 능력 평가해야
과학동아
l
199009
각 학교에 강제할 수는 없는 형편"이 라고 말한다. 역설적인 것은 소아마비자·맹인 등
가시
적인 장애자에 대한 규제는 사회적 물의를 일으키지만 색각이상자의 경우 일반적 인식으로는 장애로 인정되지 않아 실제적인 규제가 있어도 문제로 생각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다행히 이공계열에 진학해 ... ...
이전
74
75
76
77
78
79
80
81
8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