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본인
자신
자기
자아
내
d라이브러리
"
나
"(으)로 총 5,853건 검색되었습니다.
[Knowledge] 예수는 어떤 와인을 마셨을까
과학동아
l
201509
다만 분석 결과로 맛을 정밀하게 추정해볼 수는 있다. 샴페인에서는 40개가 넘는 향료가
나
왔는데 이중 26개가 사람이 맛을 느낄 수 있는 농도를 넘었다. 소믈리에들이 흔히 ‘치즈 맛(cheesy)과 과일향(fruity)이 강하다’고 표현하는 와인들과 비슷한 결과였다. 근처 와인가게에 들려 치지하고 프루티한 ... ...
[Knowledge] 괜찮아, 지
나
간 일이야
과학동아
l
201509
우리의 삶은 후회 투성이다. ‘내가 그때 왜 그랬을까’, ‘만약 다른 선택을 했으면 어땠을까’라며 이불을 차는 순간들이 꼭 있다. SNS에서는 이런 ... 방지하는 마음의 낙법이 되어줄 것이다. 잘 넘어진 뒤에 툴툴 털고 다시 일어
나
앞으로
나
아가면 전보다 조금 덜 넘어지게 되지 않을까 ... ...
[참여] 게임카페 1기, 두 번째 수업 오늘은
나
도 컴퓨터 게임 개발자!
수학동아
l
201509
게임회사에 가서 직접 게임을 만드는 건 어른이 돼야 가능할까요? 천만의 말씀~. 오늘은 게임 카페 1기 학생들이 직접 컴퓨터 게임을 만들어 볼 수 있는 날이랍니다. 비록 비 ... 세 번째 수업에서는 좀 더 뛰어난 게임 개발자가 될 수 있을 것 같네요. 그럼 다음 호 게임카페에서 만
나
요~ ... ...
눈물은 그만~! 맵지 않은 양파 개발
어린이과학동아
l
201509
양파를 썰다 보면 매운 성분 때문에 눈물이
나
요. 그런데 눈물이
나
게 하는 양파의 성분을 약하게 해서 눈물이
나
지 않게 만든 양파가 개발됐어요.2002년 일본의 식품 ... 연구용일 뿐 판매할 계획은 없다고 밝혔어요. 그러니 당분간은 시장에서 맵지 않은 양파를 만
나
긴 어려울 것 같네요 ... ...
숫자 세 개가 만
나
는 곳에 보물이 있다!
수학동아
l
201509
보니 우리를 보물로 이끈 좌표야말로 진정한 보물이었다. 좌표를 알면 위치를 정확하게
나
타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훌륭한 발명을 해낼 수도 있다. 그리고 좌표를 바꾸는 원리로 귀중한 보물을 지켜낼 수 있다. 만약 우리 중 누군가가 보물에 눈이 멀어 동료들을 배신하기라도 한다면 이런 방법으로 ... ...
[과학뉴스] “
나
는 여성 엔지니어입니다”
과학동아
l
201509
‘원로그인’에서 플랫폼 엔지니어인 이시스 웽거가 회사의 구인광고 모델로
나
선 것이었다. 광고를 본 일부 남성들이 SNS에 ‘저런 미인 엔지니어가 있을 리가 없다’, ‘실력 있는 남성 엔지니어를 유인하기 위한 것’이라는 등의 성차별적인 글을 올렸다. 심지어 웽거가 그 회사의 직원이 ... ...
[Life & Tech] UC버클리에서 뜨거운 여름을
과학동아
l
201509
조혁진 씨는 과감히 루크 리 UC버클리 생명공학과 교수의 연구실을 두드렸다. 리 교수는
나
노바이오융합 기술 분야의 세계 최고 석학이다. 혁진 씨는 UC버클리에 머물면서 여름학기 수업과 연구실 인턴을 병행했다. 한국계 미국인인 리 교수는 농담 삼아 “대학원생들을 화장실까지 따라다니면서 ... ...
[Knowledge] SF가 사랑한 이름, 상대성이론
과학동아
l
201509
한다. SF는 과학과 서로 도움을 주고 받으며 동행하고 있다. 올 가을엔 위에서 소개한 영화
나
소설을 한 편 잡아보자. 새로운 세계를 맛볼 수 있을 것이다 ... ...
[Life & Tech] 눈의 여왕은 과연 몇 ℃일까
과학동아
l
201509
다른 단위와 관계가 없었거든요. 이번에 볼츠만 상수를 기준으로 삼게 되면서 질량이
나
시간 등 다른 단위와 연결되는 지점이 생겼어요. 마침내 온도도 단위의 제국에 들어온 겁니다 ... ...
Part 2. 현대수학은 ‘편미방’을 모른다?
과학동아
l
201509
함수의 편미분항으로 이뤄진 편미분방정식이 이보다 더 어렵다는 건 자명합니다.
나
비어-스톡스 방정식을 풀려면 현대수학 이론이 지금보다 훨씬 발달해야 합니다.”최근 100년은 편미분방정식의 해의 존재 여부를 검증하는 역사였다. 2015년을 살아가는 우리는, 이제 막 형태를 갖춘 편미분방정식의 ... ...
이전
74
75
76
77
78
79
80
81
8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