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부
전문학부
d라이브러리
"
대학원
"(으)로 총 1,736건 검색되었습니다.
직업은 열정을 갖고 꿈을 실현시키는 것
과학동아
l
2013년 11호
젊을 때 도전해야 실패를 하더라도 타격을 덜 받을 수 있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게다가
대학원
에서 경험이 풍부한 사람들을 만나 많은 조언을 받은 뒤에 생각이 바뀌었지요. 40대가 된 뒤에는 창업할 용기가 나지 않을 수도 있을 것 같아 창업을 결심했습니다.” 걸림돌을 걸림돌이라고 생각하지 ... ...
5년을 몰입하면 인생이 재밌어진다 (박흥식 한국해양과학기술연구원 태평양해양연구센터장)
과학동아
l
2013년 11호
아르바이트도 했다. 전공 공부에도 몰입했다. 생물도 열심히 공부했고. 방학때
대학원
생 만나 조언도 들었다. 박 센터장은 “당시만 해도 해양학과의 미래가 막막해 보이니까 더 열심히 했다”며 “동기들이 날 보며 인간승리라고 한다”고 말한다. 입학 전에는 전혀 생각해보지 않은 진로였지만, ... ...
“이젠 이사할 때 과학동아부터 챙깁니다”
과학동아
l
2013년 10호
체험이 겸비된 교육 덕택인지 큰 아이는 의학전문
대학원
에, 작은 아이는 치의학전문
대학원
에 진학했다”며 껄껄 웃었다. “과학동아 많이 보면 아이디어 많은 인재 될 것”“수식과 문제 풀이 위주인 교과서의 한계를 보충하는 데 과학동아가 유용합니다. 대입 수학능력시험에서 좋은 점수를 ... ...
학문의 즐거움을 설파한 히로나카 헤이스케
수학동아
l
2013년 10호
히로나카는 자리스키에게 자신의 관심사를 열심히 설명하다가 그의 초청으로 하버드
대학원
에 입학하는 행운을 얻게 된다. 기회는 숨어 있다가 난데없이 찾아오기도 한다는 말처럼 말이다.철학적 사유로 수학 난제를 풀다물리학으로 시작해서 위대한 수학자의 반열에 오른 고다이라 구히니코는 195 ... ...
서울공대 카페 ➓ 원자핵공학과
과학동아
l
2013년 10호
투약치료를 다루는 핵의학 분야도 있다. 주 교수는 “우리 학과에서 학부를 마치고 의대
대학원
에서 핵의학을 공부하면 방사선 분야 전문가가 되는 이상적인 진로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원자로 물리 세계 최고 자부주 교수의 전공은 핵반응의 물리적 특성을 분석해서 원자로 내의 열생성 분포를 ... ...
재미있는 전공탐험 - 원자로를 컴퓨터에 넣고 연구하는 전산로 물리
과학동아
l
2013년 10호
갖추어야 할 덕목입니다.졸업 후 진로는 어떻게 되나요? 우리 학생들 대부분이
대학원
을 졸업한 후 연구원이 됩니다. 주로 한국원자력연구원에 우리 과 학생들이 가장 많이 있습니다. 혹은 실제로 우리가 만드는 코드를 설계에 이용하는 한국원자력연료주식회사나, 이곳에서 설계안을 보내주면 ... ...
“고귀마를 조선 팔도에 퍼뜨려라”
과학동아
l
2013년 10호
박사는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식물시스템공학연구센터 센터장과 과학기술연합
대학원
대학교 교수를 맡고 있다.그는 중국의 사막화와 빈곤국 식량문제를 고구마로 해결하기 위해 뛰고 있다.이 글도 우리나라, 카자흐스탄, 중국을 오가며 썼다sskwak@kribb.re ... ...
“MS와 IBM도 우리의 후발주자”
과학동아
l
2013년 09호
활동하려면 깊이 있는 공부가 더 필요하기 때문에 “학부 졸업생 중 70% 이상이
대학원
으로 진학한다”고 차 교수는 덧붙였다.그런데 자신이 앞으로 하고 싶은 일을 고르는 데는 본인의 성격도 함께 고려해야 후회가 없다. 차 교수는 “본인 성격이 내성적인지 외향적인지를 먼저 고민해봐야 ... ...
가면이 울었다 웃었다 하네
과학동아
l
2013년 09호
표정이 180° 바뀐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노부유키 카와이 일본 나고야대 정보학
대학원
연구팀은 일본 전통 연극 ‘노가쿠’ 가면의 그림자를 바꾼 결과, 똑같은 가면인데도 다른 표정으로 느껴진다는 연구 결과를 ‘미국공공도서관학회지(Plos ONE)’ 8월 7일자에 발표했다.실험 참가자들은 ... ...
“과학문화는 SF작가에게는 인프라”
과학동아
l
2013년 09호
만났다.2006년 썼던 단편을 중편으로 개작했는데, 어떤 이야기를 더 하고 싶었던 건가요?
대학원
다니면서 제1차 세계대전에 대한 논문을 썼는데, 그 과정에서 전략·전술을 읽는 방법을 공부했어요. 원래 단편에서 전쟁 얘기를 얼렁뚱땅 넘어간 게 보여서 기회가 있으면 제대로 쓸 생각이었지요. ... ...
이전
74
75
76
77
78
79
80
81
8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