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물건
사물
미확인비행물체
유에프오
미확인
비행
물질
d라이브러리
"
물체
"(으)로 총 3,311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2. 포스트 ISS 시대, 달 우주정거장이 되다
과학동아
l
2018년 01호
회수하면 어떨까. 현재까지 인류가 수명이 다한 인공위성이나 우주망원경 등 우주
물체
를 우주 공간에서 해체해본 경험은 없다. 일부 수명이 다한 소형 인공위성을 우주왕복선이 가서 지구로 회수해본 것이 전부다. 위험을 무릅쓰고 우주인이 ISS 바깥에서 유영하며 모듈을 해체한다고 하더라도 ... ...
[과학뉴스] 손바닥만 한 유령입자 검출기 개발!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24호
존재하는 ‘뮤온’도 만들어지지요. 뮤온은 다른 물질과 거의 반응하지 않고 그대로
물체
를 통과하기 때문에 ‘유령 입자’라고 불리기도 해요. 그동안 뮤온을 검출하려면 방 하나 정도 크기의 거대한 검출기가 필요했어요. 그런데 최근 미국 메사추세츠공과대학교 연구팀은 들고 다니며 뮤온을 ... ...
Part 2. [드라큘라의 저주 2] 초능력이 생기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24호
전극이 붙어있는 모자를 쓴 채 각자의 연구실에 앉았어요. 이후 라오 교수는 화면에
물체
가 나타나면 발사 버튼을 눌러 대포를 쏘는 게임을 시작했어요. 하지만 실제로는 버튼을 누르지 않고 누르는 상상만 했지요. 라오 교수가 버튼을 누르는 상상을 하자, 모자의 전극은 뉴런에서 나오는 뇌파를 ... ...
Part 3. [드라큘라의 저주 3] 태양이 없어지면 빙하시대가 올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24호
중심으로 공전할 수 있는 것은 태양의 중력 때문이에요. 태양의 중력은 지구처럼 주변의
물체
를 태양의 중심으로 끌어당기는 힘이에요. 태양은 질량이 매우 커서 멀리 떨어져 있는 해왕성까지도 태양을 중심으로 돌게 한답니다. 그런데 만약 태양이 갑자기 사라져 버린다면 지구는 줄이 끊어진 ... ...
[비주얼 과학교과서] 비밀의 방으로!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23호
벽에서 반사되는 소리가 섞여요. 하지만 무향실에서는 반사되는 소리가 없기 때문에
물체
가 내는 소리를 정확하게 분석할 수 있죠. 그래서 NASA에서는 제트 엔진이 내는 소음을 분석할 때 무향실을 사용한답니다. 제트 엔진에서 발생하는 불필요한 소음을 줄여서 엔진의 효율을 높이려는 거예요. 또한 ... ...
과학마녀 일리의 한자풀이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22호
보이지요. 여기서 ‘투명(透明)’은 ‘비칠 투(透)’와 ‘밝을 명(明)’을 합쳐서 ‘
물체
의 뒤쪽이 밝게 비쳐 보임’이라는 뜻의 한자어랍니다. ‘비칠 투(透)’는 천천히 나아간다는 뜻의 ‘쉬엄쉬엄 갈착(辶)’과 ‘벼 화(禾)’, 무릎을 굽힌 사람의 모습을 나타내는 ‘이에 내(乃)’가 합쳐진 ... ...
Part 2. 혼합현실을 만나는 방법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21호
헬멧에는 산업 현장에서 필요한 기능이 들어 있어요. 우선 열화상 카메라가 있어 주변
물체
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어요. 또 깊이를 측정하는 카메라도 있지요. 스마트 헬멧은 이 카메라들이 촬영한 자료를 분석해 현실 위에 덧입혀 보여 줄 수 있답니다. 예를 들어 고온과 고압의 기계를 돌리는 ... ...
[가상인터뷰] 아인슈타인도 깜짝 놀란 중력파 발견!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21호
공간의 그물로 이루어져 있어요. 질량을 가진
물체
는 이 그물을 휘게 하지요. 따라서
물체
가 움직이면 주위의 시공간도 함께 변해요. 이러한 시공간의 변화가 파도처럼 일렁이며 주변으로 퍼져나가는데, 이게 바로 중력파예요. 하지만 전 중력파를 수학적인 개념으로 생각했어요. 중력파가 지나가면 ... ...
Part 1. 더욱 진짜 같은 가상현실이 온다! 혼합현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21호
볼 수 있는 기기. 그뒤 증강현실(AR) 기술이 등장했어요. AR은 현실세계 위에 가상의
물체
를 겹쳐서 보여 주며 VR의 단점을 보완했죠. 모바일 게임 ‘포켓몬고’를 생각하면 쉬워요. 실제로 여러분이 서 있는 교실 위에 포켓몬이 나타나 서 있는 게 바로 AR이랍니다. 하지만 이 기술에도 단점이 있어요. ... ...
[특별 인터뷰] 지구사랑 탐사대, 탐사 내공으로 연구도 척척!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21호
논으로 가져오기 위해 논과 논 사이에 만든 구조물. 어떤 방법으로 실험했나요?다른
물체
에 달라붙기 위한 ‘흡반’ 기관이 앞발에 없는 개구리는 수직인 벽을 오를 수 없어요. 수로 경사면이 완만할수록, 바닥이 덜 미끄러울수록 이동이 쉽다고 가정했어요. 기울기와 바닥의 모양이 다른 5가지 실험 ... ...
이전
74
75
76
77
78
79
80
81
8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