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세균
bacteria
미생물
병원균
미소동식물
미균
d라이브러리
"
박테리아
"(으)로 총 873건 검색되었습니다.
화성에 있음직한 생명체 지구에서 발견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버리자 남겨진 소금결정 속으로 들어간 것 같다고 추정했다.로스실드는 자신이 찾아낸
박테리아
를 엔도이배포레이츠(endoevaporates)라고 명명했다. 그리고 그 미생물이 화성에서 생활하는데 필요한 모든 것을 갖추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만약 최초의 생명체가 바다에서 발생했다면 그 생명체는 ... ...
(4) 진화론자에게 묻는다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접어들면서 생물들은 화석으로 남아 있기 쉬운 형태를 갖기 시작했다.또 배양액 속의
박테리아
가 S자형의 생장곡선을 나타내듯이, 원시지구로부터 캄브리아기의 대번성을 거쳐 오늘날에 이르기까지의 생물의 다양성 증가 또한 S자형 곡선을 나타낸다고 로체스터대학 고생물학자 세프코스키(Sepkoski ... ...
100번 죽이고 101번 고쳐 살고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포도상구균(그람양성균)이 페니실린에 대한 내성(耐性)을 갖게 된 것이다. 이 현상은
박테리아
가 페니실리나제(Penicillinase)라는 효소를 생성, 페니실린을 무력화시킴으로써 가속화되었다.1959년에는 또 하나의 '슈퍼스타' 6-APA(6-aminopenicillanic acid)가 페니실린 배양액으로부터 발견됐다. 그 자체는 ... ...
영국에 무공해세제 유해논쟁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아름다움을 중요시해서가 아니다. 의복표면의 얼룩이나 때로 인해 생긴 굴곡이
박테리아
와 같은 미생물들의 피난처가 된다는 세균학계의 보고서를 근거로 인산염 사용의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다. 지난 89년 이탈리아의 응용세균학회지는 섬유표면의 씻겨나가지 않은 때가 더께를 형성해 세균이 ... ...
1 하이테크기술 완전제패를 노린다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예가 슈퍼
박테리아
연구에 대한 무한정의 지원공세다. 바닷물보다 8배나 짠물에서 사는
박테리아
의 유전자를 분리해 이용할 계획으로 추진되고 있는 이 연구는 당장 돈이 되는 연구가 아닌데도 불구하고 일본정부의 지원은 아낌이 없다.기초과학에 대한 일본의 적극적인 투자는 응용기술의 한계를 ... ...
4. 1백년 후엔 해안선이 20㎞ 후퇴할지도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식물플랑크톤은 초식동물에 의해 먹히거나 해저에 가라앉게 된다. 해저에 존재하는
박테리아
를 포함하는 소비자들은 해저로 도달한 유기물을 섭취하여 호흡하고 재생산에 필용한 에너지를 얻는다. 이러한 2차 이상의 생산자들은 노폐물을 방출함으로써 무기영양염류를 다시 식물플랑크톤에 ... ...
모기의 침에 도전한다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Minute, 분당회전수)으로 회전할 수 있는 모터를 소개하고 있다. 분자생물분야의 학자들도
박테리아
나 미생물의 운동을 관찰해 이들의 운동원리를 모방한 기계를 만들어내고 있다.배추벌레나 지렁이의 운동을 배운다미소기계의 사용목적에 따라 여러가지 운동원리가 있겠으나 보편적으로 개발된 ... ...
"이제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없다"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미국의 경우 이미 기름분해
박테리아
를 키워 파는 회사들도 있다. 그러나 이들이 파는
박테리아
의 기능이 실험용 탱크 이외의 실제 상황에서 입증된 것이 아니므로 어떤 위험이 있을지 모른다"고 지적한다.전문가들은 "이제 페르시아만의 회복은 자연적인 자정능력에 맡길 수밖에 없다"며 그 기간이 ... ...
지구 최초의 음식을 밝혀낸다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팽창해 지구와 수성이 불타버리고 타이탄이 지금의 지구처럼 따뜻해지면, 톨린을 먹은
박테리아
들이 진화해 타이탄을 생물로 가득 채워진 위성으로 만들지도 모른다 ... ...
차디 찬 바이칼호수에서 발견된 열수배출구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알아낸 것이다. 배출구의 입구는 해면
박테리아
덩어리 새우로 완전히 채워져 있었다.
박테리아
와 새우는 해양의 열수배출구에서도 흔히 볼 수 있는 생물들이다. 그러나 해면이 입구주위에서 발견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이 해양 유기물들이 어떻게 바이칼호까지 이동해 갔을까. 아직 아무도 이 ... ...
이전
74
75
76
77
78
79
80
81
8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