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보통"(으)로 총 5,871건 검색되었습니다.
- [가상충돌 D-8년] 너란 소행성 처음이야?!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2호
- 충돌할 우려가 있는 근지구소행성 상당수를 왜 아직 발견하지 못했을까요? 소행성은 보통 지상의 광학망원경으로 관측해요. 별과 달리 스스로 빛을 내지 못하므로 소행성에 반사된 빛으로 관측하지요. 반사된 빛의 양이 적어 어두운 밤에만 소행성을 볼 수 있어요. 안 그래도 반사된 빛의 양이 ... ...
- 잘 얼려야 더 맛있다! 냉동의 기술과학동아 l2019년 12호
- 출시하기도 했다.식품의 내외부 온도를 비슷하게 유지하는 것도 냉동기술의 핵심이다. 보통 식품을 얼릴 때 냉기에 직접 닿는 식품 표면의 온도가 먼저 내려가기 때문에 겉에서부터 언다. 이를 ‘유리화(vitrification)’라고 한다. 냉기가 안쪽까지 전달돼 안쪽도 얼면서 부피가 팽창할 때쯤이면 이미 ... ...
- ‘배민 떡볶이 마스터즈’ 결선에 가다과학동아 l2019년 12호
- 설명했다.고추가 임진왜란 이후 일본에서 수입됐다는 가설은 시기적으로도 맞지 않는다. 보통 식품학계에서는 발효 음식이 자리 잡는 데 200년 이상 걸린다고 본다. 교통이 열악했던 시대라는 점을 고려하면, 고추가 전국에서 식재료로 자리 잡는 데 100년, 고추장 등 발효식품이 자리 잡는 데 20 ... ...
- 밤에 오는 불청객을 쫓아내려면?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1호
- 노려보고 있는데 소리를 지르거나 손가락을 까딱하기도 어려웠던 적은요? 이런 경험을 보통 ‘가위에 눌렸다’고 표현해요. 가위눌림은 수면 중 발생하는 몸의 마비로 ‘수면 마비’라고 해요. 잠에서 깨기 전 의식은 깨어났는데 몸은 계속 마비가 된 상태일 때 발생하지요. 우리가 몸을 움직이기 ... ...
- [중국유학일기] 기말고사가 가장 중요 족보 집중탐구과학동아 l2019년 11호
- 공부한다. 인근에 카페가 많지 않은 탓에 카페도 학생들로 넘쳐난다. 내 경우에는 보통 종강 2주 전부터 본격적으로 시험 준비에 들어간다. 벼락치기는 절대 불가능하다. 공부해야 할 양이 매우 많아 평소에 과제를 꾸준히 하면서 학업에 신경을 써야만 시간 내에 시험 범위를 모두 공부할 수 있다 ... ...
- [영국유학일기] 악명 높은 난이도 낙제는 곧 퇴학과학동아 l2019년 11호
- 영국 대학은 다른 방식을 쓴다. 가장 성적이 좋은 70~100%를 ‘1st class honour’라고 하며, 보통 ‘퍼스트’라고 부른다. 여기서 성적이 10% 낮아질 때마다 등급이 떨어진다. 60~70%는 ‘Upper 2nd class honour’라고 하며, ‘2:1’이라고 표기하고 ‘투 원’이라고 읽는다. 40~50%는 ‘3rd clas ...
- 이변은 없었다 2019 노벨상 리포트과학동아 l2019년 11호
- 결정됐다.통계적으로는 노벨상 수상은 핵심 논문이 발표되고 14.5년 후에 이뤄진다. 보통 물리학상이 다른 분야보다 기간이 좀 더 길다. 물리학상은 이론이 실험과 관측을 통해 입증될 때까지 시간이 걸리기 때문이다. 반면 화학상과 생리의학상은 과학적 입증이 이미 논문에 포함돼 있기 때문에 ... ...
- 냉동 캡슐에 들어갔다 나옴! 잘 녹을 수 있음?과학동아 l2019년 11호
- 유지된다”며 “저체온이 나타날 가능성은 없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사람의 체온은 보통 36.5~37.5도로 유지되는데, 이보다 낮아지면 저체온증 증세가 나타납니다. 일단 온몸에 경련이 일어나고, 체온이 33도 이하로 내려가면 기억 상실과 환각 증세가 나타나기도 합니다. 31도 이하로 떨어지면 ... ...
- [미국유학일기] 시험장에 감독관 없어 양심에 맡긴다과학동아 l2019년 11호
- 했는데, 고학년이 된 지금은 1학년들의 절규를 듣고 있으면 웃음이 난다.기말고사 기간은 보통 5일인데, 수업에 따라 이틀 만에 모든 시험이 끝날 수도 있고, 시험이 하나도 없다가 마지막 날에 몰리기도 한다. 전자의 경우는 집에 일찍 돌아가거나 어디론가 여행을 떠날 수 있어서 매우 행복하다. ... ...
- 좌충우돌 보드게임 제작기수학동아 l2019년 11호
- 비닐로 바뀌었어요. 숫자 카드의 숫자를 모두 정했다면, 다음은 주사위 숫자 정하기! 보통 정육면체 주사위를 많이 쓰지만, 정사면체, 정십이면체 등 주사위의 종류는 생각보다 많아요. 일단 주사위의 모양을 결정하고, 다음엔 모든 면을 채울 숫자 또는 그림을 생각해보세요. 제가 이 과정에서 ... ...
이전74757677787980818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