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소유
입수
소지
점유
작은창자
교장
청원서
d라이브러리
"
소장
"(으)로 총 1,403건 검색되었습니다.
거짓말을 멈출 수 없는 이유
과학동아
l
2007년 09호
엄청난 거짓말쟁이라는 사실을 밝혔다. 미국 뉴잉글랜드대 인지과학?진화심리학 연구
소장
인 데이비드 스미스 교수는 “인간은 ‘생각하는 인간’을 뜻하는 호모 사피엔스보다 ‘속이는 인간’이라는 뜻의 ‘호모 팔락스’(Homo Fallax)와 더 어울린다”고 말했다. 그의 말마따나 거짓말은 인간이 ... ...
태양계 기원 밝힐 탐사선'돈'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소장
벽이 급격하게 늘어나든가, 화학적 자극으로 인한
소장
벽의 자율신경반사,
소장
벽의 삼투압에 의해 소화관으로 수분이 급속히 대량 이동하여 순환되는 혈액의 양이 감소하여 일어난다 자낭균(子囊菌)에 의한 식물병의 하나 한국의 경우 경기도 이남의 온난한 지방에서 종종 발생하는데, 7월 ... ...
로스웰 사건의 실체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미국 뉴멕시코 로스웰에 외계인을 실은 UFO가 추락했다는 ‘로스웰 사건’이 일어난 지 60년이 지났다. 이 사건은 600여명의 목격자와 수많은 수수께끼를 낳으며 컬트 현상으로 ... 공부하고 89년 하이델베르크대학 연구소
소장
대리, 90년 프라이부르크 대학 화학연구소
소장
을 역임했다 19 ... ...
수험생, 스트레스 얼마나 받을까?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특히 과업중심형인 학생이 나머지 두 유형에 비해 스트레스 총합이 최대 100점 낮았다. 우
소장
은 “스트레스가 생기면 상황을 해결하려는 행동이 회피하는 것보다 낫다”고 조언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천만불짜리 스트레스 1. 누구나 슈퍼맨인 까닭? 2. 세포의 달콤살벌한 하루 수험생, ... ...
전기도 무선으로 전송한다
과학동아
l
2007년 07호
변화 · 기후대의 분포와 분류 · 기후구분 · 대기 대순환의 양상 등을 여러 기단의
소장
(消長)과 교체에 의거해 설명할 수 있다 왜신성(矮新星)에 속하는 불규칙 변광성 변광을 반복하다가 때때로 일정 광도가 되어 상당히 오랫동안 그 밝기를 유지하는 쌍동이자리 U형 변광성이다대표적인 별인 ... ...
이 시대는 '친절한 외과의사'를 원한다!
과학동아
l
2007년 06호
경험이다.아무리 노련한 의사라도 환자의 증상만으로 충수염을 진단해내기는 어렵다.
소장
말단부의 염증이나 급성 췌장염일 수도 있고 여성인 경우 난포가 터지는 배란통이나 자궁외 임신도 고려해야 한다.현직 외과의사인 저자는 충수염 수술은 신중할수록 좋다고 말한다. 여러 병원을 거쳐 밤 1 ... ...
내 몸속 미생물 동물원
과학동아
l
2007년 04호
소장
과 대장은 산소가 거의 없고 잘게 부셔진 음식물 썩는 냄새가 진동하는 발효창고다.
소장
에서 음식물이 흡수될 때도 미생물이 관여한다. 대장균은 섬모 같은 발이 많아서 대장의 표면에 잘 붙는다.미국 워싱턴대 미생물학과 제프리 고돈 박사팀은 대장에 사는 미생물이 장 내벽에 모세혈관을 ... ...
알약으로 치매 잡는다
과학동아
l
2007년 04호
때문일까. 최근 서 교수는 교육에 많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 서울대 인지과학연구
소장
을 맡고 있기도 한 그는 유아기의 선행 교육이 뇌 손상을 일으킨다고 주장한다. 어릴 때 억지로 공부를 하면 청소년기에 각종 행동장애가 일어날 수 있다는 얘기다. 서 교수는 “유아기는 창의성과 인성을 기르는 ... ...
PART1 수돗물의 재발견
과학동아
l
2007년 03호
작년 여름 서울 곳곳에서는 지나가던 사람들의 발걸음을 붙잡는 먹는 물 시음 행사가 자주 열렸다. 사람들은 투명한 페트병에 담긴 여러 종류의 물을 마신 뒤 가장 맛있다고 생각되는 물을 골랐다. 당시 물의 ‘출신성분’이 공개되자 가장 큰 탄성을 자아낸 것은 다름 아닌 수돗물이었다. 사람들은 ... ...
금광에 사는 황금박쥐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03호
말했다. 황금박쥐가 대량으로 발견된 것은 전남 함평과 무안에 이어 이번이 세 번째다.최
소장
은“황금박쥐가 겨울잠을 자기 위해 10월부터 금광으로 들어온 것 같다”며“가까이 먹이가 많은 하천과 숲이 있어 이 곳을 찾은 것 같다”고 말했다. 그는“황금박쥐를 보호하기 위해 겨울잠이 끝나는 ... ...
이전
74
75
76
77
78
79
80
81
8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