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수상"(으)로 총 2,624건 검색되었습니다.
- ‘나노영챌린지 2017’ 6개월 대장정 막 내려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뇌의 사고 과정을 모방한 반도체인 뉴로모픽(Neuromorphic) 칩에 사용할 수 있다. 또 다른 우수상인 한국과학창의재단이사장상은 한국산업기술대 학부생들에게 돌아갔다. 이들은 전류로 ‘on’ ‘off’를 조절하는 기존 전자회로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나노빔을 만들어 ‘on’ ‘off’를 조절하는 ... ...
- [Future] 인기 웹툰, 과학기자가 쓴다면?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슬립은 과학자들에게도 흥미로운 주제입니다. 중력파 연구로 올해 노벨 물리학상을 공동 수상한 킵 손 미국 캘리포니아공대(칼텍) 이론물리 파인만 명예교수는 1988년 우주의 특이점을 이어 서로 다른 시공간이 연결되는 ‘웜홀’을 이용하면 시간여행을 할 수 있다는 논문을 발표했습니다. 손 ... ...
- [Origin] 빅뱅 우주론의 수호자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올해 노벨물리학상 수상자들이 관측한 중력파와는 성격이 다르다. 노벨물리학상 수상자들의 업적은 블랙홀이나 중성자별 같은 천체들이 병합되면서 방출하는 중력파를 측정한 것이고, 호킹이 연구한 중력파는 빅뱅을 비롯한 우주 초기 급팽창 시기에 방출된 중력파를 말한다. 2014년 미국 하버드 ... ...
- [수학뉴스] 뉴욕에서도 인정받은 허준이 박사수학동아 l2017년 12호
- 대상으로, 지역 부문은 뉴욕, 뉴저지, 코네티컷 세 지역의 박사후과정 연구자를 대상으로 수상자를 뽑습니다. 올해 지역 부문에서는 28개 연구기관에서 추천한 161명의 후보가 각축을 벌였어요. 허준이 박사는 50년 동안 풀리지 않던 ‘로타 추측’을 수학의 전혀 다른 분야를 이용해 증명한 공로로 ... ...
- Intro. 새로운 기하학의 탄생, 그로텐디크의 노트수학동아 l2017년 12호
- 쓴 장본인은 알렉산더 그로텐디크. 2014년 11월 86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난 그는 필즈상 수상자조차 경외심을 갖고 바라보는, 대수기하학 분야에서 위대한 업적을 남긴 수학자다. 이 소식을 접한 기자는 지난 10월 프랑스 남부에 있는 몽펠리에를 찾았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새로운 ... ...
- 한눈에 보는 교과 맵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컴퓨터를 켜면 친구들은 가장 먼저 무엇을 하나요? 아마 인터넷에 접속해 친구들과 메신저로 대화하고, 메일을 보내고, 어과동 홈페이지에 포스팅과 기사를 올리겠죠? 이처 ... 수 있었지요. 이러한 공로로 그는 2017년 4월, 컴퓨터 과학의 노벨상이라고 불리는 ‘튜링상’을 수상했답니다 ... ...
- Part 1. 배트맨의 검은 배트슈트, 최소 두께 가진 최강 그래핀으로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이때 흑연 결정의 크기가 그래핀의 넓이를 결정한다. 실제로 2010년 노벨물리학상을 수상한 콘스탄틴 노보셀로프 영국 맨체스터대 교수는 대학원생 시절 흑연에 셀로판 테이프를 붙였다 떼어내는 간단한 방법으로 그래핀을 얻었다. 다른 방법으로는 ‘화학기상증착법(CVD)’이 있다. 이는 고온에서 ... ...
- Part 5. 플래시 스피드포스 초소형 가속기 기술로과학동아 l2017년 11호
- 발생시켜 기존의 현미경으로는 도저히 볼 수 없는 극미의 세계도 열었다. ‘노벨상을 수상한 연구 5개 중 1개는 가속기를 이용한 연구’라는 말이 괜히 나오는 것이 아니다. 앞으로 가속기가 책상 위에 올릴 수 있을 만큼 작아져 누구나 쉽게 가속기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면 우리가 아는 지식의 ... ...
- Intro. [프리미엄 리포트] 2017 노벨과학상과학동아 l2017년 11호
- 무관하지 않아 보인다. 4년 연속 노벨상 수상자가 나올지 관심을 모았던 일본은 3년 연속 수상에서 그쳤다. 올해는 미국, 영국, 스위스 3개국 과학자들이 노벨과학상을 휩쓸었다 ... ...
- Part 2. [화학상] 현미경의 ‘혁명’을 이끌다과학동아 l2017년 11호
- 한 번 더 실리게 됐으니 그의 말이 어느 정도는 사실이 된 셈이다. 덕분에 기자도 노벨상 수상자를 1년 일찍 만났다는 흐뭇한 기억을 가질 수 있게 됐다. 이미지 출처: Columbia University, MRC LMB, Felix Imhof ⓒUNIL,ⓒ Martin Hogbom/The Royal Swedish Academy of Scienc ...
이전74757677787980818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