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순"(으)로 총 1,173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자와 인문학자의 모임 eum이음과학동아 l2007년 01호
- 활동했던 문학 동인들처럼 말이다.‘이음’이라는 이름도 주 박사가 지었다. 이음은 순 우리말로 서로를 연결한다는 뜻도 있지만 한자로 ‘이음’(異音)을 쓰면 남들과는 다른 소리를 낸다는 말도 된다.주 박사는 이음에 3명을 더 끌어들였다. 현재 이음을 이끄는 윤병무 대표와 김호 교수, 전용훈 ... ...
- 해적왕 잭의 지도정복기어린이과학동아 l2007년 01호
- 보낸 여러 정보를 이용해 신호를 표시하기까지 복잡한 계산이 필요하지만, 컴퓨터가 순식간에 뚝딱 처리해 버린다.자동차 안내는 기본, 배와 미사일도 자유롭게 이끌어자동차만이 GPS의 혜택을 받는 건 아니다. 배나 미사일도 GPS의 도움을 받아 목적지까지 빠르고 정확하게 이동한다.혹시 밀수를? ... ...
- MIGAC CHRISTMAS! 매직 크리스마스 3개의 선물 상자를 열어라어린이과학동아 l2006년 24호
- 모르는 사이에 주의를 빼앗겨서 마술사가 하는 동작을 제대로 못 보게 돼. 바로 그 순간에 마술사는 놀라운 마술을 만들어내는 거란다.눈 뜨고도 못 본다?우린 눈을 통해 세상을 보지? 우리가 물체를 본다는 건, 빛으로 들어온 물체의 상이 우리 눈의 망막에 맺히고 이 정보가 시신경을 통해 뇌로 ... ...
- 우리 다시 볼 수 없을 지도 몰라 - 한반도 멸종 위기 동물들어린이과학동아 l2006년 23호
- 계속 너희를 만나러 날아오고 싶어.혹고니우리를 백조라고도 부르는데 이건 일본말이야. 순 우리말인 고니라고 불러 줘. 한국에는 나 말고도 고니와 큰고니가 있는데 난 부리에 검은색의 혹이 있어서 다른 고니들과 다르지. 잔잔한 호수 위를 미끄러지듯 헤엄치는 우리의 모습은 정말 아름답단다 ... ...
- 고향가는 길엔 뭐가 특별한 것이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06년 19호
- 앞뒤를 모두 부딪혔다고 했으므로 중간에 와야 한다. 따라서 정답은 6352-5326-2365-2564-1826 순이다. 두 번째 문제의 답시속 50km라는 의미는 1시간에 50km를 갈 수 있다는 뜻이다. 60분 동안 50km를 달리기 때문에 1km를 달리려면 1.2분이 걸린다(60분÷50km=1.2분). 다음 휴게소 까지 27km 떨어져 있으 ...
- 볼록한 몸매가 맛을 좋게 해!어린이과학동아 l2006년 17호
- 쓰고 있지만 어떤 냉장고도 옹기의 보존성을 뛰어 넘을 순 없다고 해요. 투박하고 단순한 모습의 옹기에 어떤 비밀이 있기에 이토록 보존성이 뛰어난 걸까요? 비밀은 배 나온 아저씨처럼 볼록한 몸매와 무수히 많은 숨구멍에 있습니다.옹기는 대부분 허리 부분이 볼록합니다. 매끈한 몸매로 만들어도 ... ...
- 돌이라고 다 같은 돌은 아니야어린이과학동아 l2006년 13호
- 얼굴이 갑자기 환해졌다. 의기소침해져 있던 하녀도 비로소 안도의 한숨을 내쉬었다. 깨순이는 어떻게 진짜 다이아몬드를 찾아 낸 걸까?다른 보석들이 아깝긴 하지만 서로 긁어 보며 굳기를 비교해 보았지. 강옥은 모스 굳기계에서 굳기 9인 광물이지만 금강석보다는 무르지. 따라서 루비로 문질러도 ... ...
- 반전 극장과학동아 l2006년 12호
- 것이다.그래프를 이용해 이 문제를 풀어보자. 아래 그래프 (a)는 +1, -1, -1, +1, +1, … 순으로 나열한 합을 나타냈다. +1의 개수를 n이라고 하면 +1과 -1을 나열하는 전체 경우의 수는 ${}_{2n}{C}_{n}$이다. 여기서 부분합이 0보다 작아지는 경우의 수를 빼면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부분합이 0보다 ... ...
- USB 충전지과학동아 l2006년 11호
- 고(古)피질이 이루는 기능계 대뇌피질을 계통발생 및 개체 발생적으로 보면 오래된 것 순으로 구피질 · 고피질 · 신피질의 셋으로 구분되는데, 구피질과 고피질을 통틀어 변연피질이라 한다 전파(電波)가 대류권의 영향을 받으면서 전파 되는 현상 특히 초단파 이상의 전파의 특성은 대류권 내의 ... ...
- 할로윈 데이는 크리스마스다?과학동아 l2006년 10호
- Februarius 순이었다.그런데 나중에 Januarius, 영어로는 January가 한 해의 시작으로 바뀌면서 순서가 둘씩 뒤로 밀려 지금의 명칭이 된 것이다. 참고로 다섯째와 여섯째 달인 Quintilis와 Sextilis는 율리우스 카이사르와 옥타비아누스(아우구스투스)의 이름을 따서 Julius와 Augustus로 바뀌었다 ...
이전74757677787980818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