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에너지"(으)로 총 5,920건 검색되었습니다.
- [융복합파트너@DGIST] 뇌 속 단백질 조절해 지방 줄인다과학동아 l2020년 08호
- AMPK 단백질은 활성화돼 지질을 분해하는 리포파지가 증가했다. 이는 TSPO 단백질이 지질과 에너지 대사를 조절한다는 뜻이다. 연구 결과는 ‘오토파지’ 2019년 8월 30일자 온라인판에 실렸다. doi: 10.1080/15548627.2019.1659616 김 교수는 현재 또 다른 유전자 조작 쥐를 만들어 실험 중이다. 띠뇌실막세포 ... ...
- [과학도서리뷰대회 수상자]책 리뷰의 달인을 찾았습니다과학동아 l2020년 08호
- 있다고 가정했는데요. 다당류인 셀룰로오스가 분해돼 포도당으로 변한 뒤 1g당 4kcal의 에너지를 낸다고 할 때 ‘더 위험한 과학책’은 무게가 약 900g인 만큼 총 3600kcal의 열량을 가진 식량이 됩니다. 밥 한 공기(300kcal)를 기준으로 하루에 세 끼씩 4일간 이 책을 나눠 먹으면 모두 소화할 수 있습니다. ... ...
- [한페이지 뉴스] ‘전지적 곤충 시점’ 보여주는 로봇 카메라과학동아 l2020년 08호
- 몇 분 뒤 카메라를 원래 자리로 돌려놓도록 설계했다. 카메라는 파리의 겹눈처럼 에너지 소비가 적은 흑백카메라를 사용했다. 이번에 개발한 로봇 카메라는 6시간까지 녹화가 가능하다. 연구팀은 딱정벌레 등에 로봇을 장착해 이 같은 사실을 확인했다. 연구팀이 로봇 카메라에 딱정벌레의 움직임을 ... ...
- SNS에서 '핫'한 MBTI의 진실과학동아 l2020년 08호
- 분석심리학을 창시한 칼 융의 심리 유형론을 바탕으로 MBTI를 개발했다. 칼 융은 ‘에너지의 방향’에 따라 크게 외향성과 내향성으로 구분하고, 다시 ‘지각기능’ ‘판단기능’ 등 대극 지표로 사람들의 심리 유형을 8가지로 분류했다. 즉 세상을 대하는 태도가 내향인가 외향인가, 무언가를 ... ...
- to MARS # 생명체의 흔적을 찾아서 우리가 화성에 가는 이유과학동아 l2020년 08호
- 아닌 미생물만 찾아도 행성 과학에서는 큰 의미가 될 수 있다.생명체가 탄생하려면 물, 에너지, 생명체를 구성하는 원소라는 최소한의 조건이 충족돼야 한다. 그중에서도 물이나 물의 자취를 찾는 게 가장 중요하다. 그래서 NASA는 ‘물의 자취를 따라서(Follow the Water)’를 행성 탐사의 목표로 내세우고 ... ...
- [SF에 묻는다] 매트릭스 vs. 사이코 패스과학동아 l2020년 08호
- 그런 선택을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복잡한 세상을 건설할 필요도 없고, 에너지도 더 효율적으로 쓸 수 있으니까요. 사회가 어지러워지더라도 어차피 가상현실이니 고치거나 싹 지우고 다시 만들기도 훨씬 더 쉬울 겁니다. 이번에 다룬 작품 속 세상은 디스토피아라고 할 수 있지만, 지난 4화(2019년 ... ...
- [별헤는수학] 초신성 사냥꾼 ‘날이면 날마다 오지 않는’ 초신성수학동아 l2020년 08호
- 에너지를 뿜는 현상을 말합니다. 무려 원자폭탄이 방출하는 에너지의 1027배에 달하는 에너지를 발산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태양계가 속한 우리은하의 내부에서 폭발한 초신성은 맨눈으로 볼 수 있을 정도로 강력한 빛을 내뿜습니다. 실제로 1604년 우리은하의 별자리 ‘뱀주인자리’에서 폭발한 ... ...
- [한페이지 뉴스] ‘솔라 오비터’ , 역대 가장 가까이서 태양을 찍다과학동아 l2020년 08호
- 코로나 등 태양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물리현상을 포착했다. 이를 위해 솔라 오비터에는 에너지입자검출기(EPD), 태양풍분석기(SWA) 등 과학 장비 10대가 탑재됐다. ESA의 솔라 오비터 프로젝트 소속 다니엘 뮐러 연구원은 “태양을 연구하기 위해서는 고화질 사진이 필수지만, 지상과 지구궤도에서 ... ...
- 실험실 안에 성층권이?!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7호
- 특별한 공간이에요. 성층권에 있는 이산화탄소와 오존, 메탄 같은 물질들이 태양에너지를 흡수하거나 방출해 지구의 기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쳐요. 또 성층권은 우리가 살고 있는 대류권과 달리 고도가 높아질수록 온도가 높아져, 공기가 위아래로 잘 섞이지 않아요. 이렇게 안정적인 상태를 ... ...
- 바이러스는 생물일까 무생물일까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사람은 ‘세포’라는 기본단위로 이뤄져 있으며 2 음식을 섭취해 에너지를 보충하는 ‘물질대사’를 하고 3 이에 따라 세포는 수를 늘리며 ‘생장’을 한다.4 이 와중에 외부에서 어떤 변화가 있으면 그에 따라 ‘반응’을 하면서도 5 체온과 같은 신체 상태는 일정하도록 유지하는 ‘항상성’을 ... ...
이전74757677787980818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