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미립자
원자에너지
에너지
에네르기
태자
황태자
전자
d라이브러리
"
원자
"(으)로 총 2,511건 검색되었습니다.
김산수의 산학유랑기
수학동아
l
2012년 11호
수학 공부를 했다는 사실을 알고 있나요?조선시대 왕이 되는
원자
교육에는 수학이 없었지만, 성인이 만든 학문이니 알아둬야 한다고 여겨 공부했다고 해요. 결국 세종대왕은 후에 수학의 중요성을 깨닫고 이를 널리 알리셨지요. 수학을 좋아한 왕은 세종대왕뿐만이 아니에요.수학을 사랑한 왕들을 ... ...
마지막 관문, 토의·토론 통과하기
과학동아
l
2012년 10호
온난화와 환경오염에 대한 연구는 생물다양성의 감소와 모두 연결된다. 당장의 대안이
원자
력 발전소를 늘리는 것이라면 수십 년의 장기적인 관점에서는 어떻게 조정해야 할지에 대한 대안도 반드시 생각해봐야한다. 형준쌤의 분석 앞서 살펴본 우주개발과 관련된 주제와 마찬가지로 이 주제도 ... ...
공룡이 살아있다! 캐나다에
과학동아
l
2012년 10호
‘블랙뷰티’라는 학계에서도 유명한 티라노사우루스 화석이다. 화석이 될 때
원자
번호 25번인 망가니즈(망간)에 영향을 받으면서 온몸의 뼈가 윤기 나는 검은색으로 치환됐다. 황금빛 액자에 담긴 블랙뷰티를 잔잔하게 흐르는 클래식 음악과 함께 들여다보는 느낌은 마치 내가 중생대에 가있는 듯 ... ...
Part 2. 창 대 방패, 미래무기 물리학
과학동아
l
2012년 10호
커튼 뒤에 ‘탄소나노튜브’ 재질의 그물을 설치해 둔다. 튜브 하나의 굵기는 탄소
원자
의 크기와 비슷할 정도로 가늘어 눈에 보이지 않으면서도 강도가 철선보다 강력하다. 지금 기술로는 탄소나노튜브를 15mm까지밖에 만들 수 없지만 기술이 발달한 미래에는 탄소나노튜브 그물을 만들 수 있을 ... ...
우주에서도 생명체 생길 수 있다
과학동아
l
2012년 10호
반응이 일어났는지를 알아내기 위해 질량분석기로 결과물을 분석했다.그 결과 PAH는 수소
원자
를 받아들여 더욱 복잡한 유기분자로 변했다. 이런 변화는 아미노산이 만들어지는 데 꼭 필요한 과정이다. 온도가 매우 낮은 곳에서도 유기물질이 생명체를 이루는 물질이 될 수 있다는 사실을 보여준 ... ...
다 쓴 핵연료 골라서 다시 쓰자
과학동아
l
2012년 10호
점을 강조해야 한다”고 말했다.사용후 핵연료를 재활용해 태우는 기술은 어떨까. 한국
원자
력연구원은 세계적인 추세에 따라 소듐냉각고속로를 연구하고 있다. 소수파에 속하는 납-비스무스냉각고속로는 황 교수팀이 유일하다. 그래서 황 교수는 벨기에의 미라 프로젝트와 협력해 연구를 검증할 ... ...
세상을 확실히 끝내는 9가지 방법
과학동아
l
2012년 10호
겨우 6000만 년 전에 무너지고, 태양계는 3개월 전에 분해된다. 지구는 30분 전에 폭발하며
원자
는 마지막 순간에 파괴된다. 이쯤 되면 순식간에, 그리고 ‘확실히’ 세상을 없애고 싶은 당신의 마음에 쏙 들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잘 생각해 보라. 당신은 신이지만 우주의 구성원이기도 하다. 350억 년 ... ...
촉촉하면 도체, 마르면 절연체
과학동아
l
2012년 10호
같은 ‘전지’를 만들 수 있다. 금속의 반응성은 금속의 이온화 경향, 다시 말해 금속
원자
가 산화돼 양이온이 되려는 경향이다. 금속의 반응성 차이를 이용한 세계 최초의 전지는 이탈리아의 물리학자 볼타가 발명한 볼타전지다. 아연판과 구리판을 두 극으로 사용한 가장 간단한 전지다. 구리판과 ... ...
세상에서 가장 정확한 1초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한 톨만 한 크기에 300년 동안 1초가 어긋나지 않을 만큼 정확함을 갖췄다. 손목시계 안에
원자
시계를 넣고 다니는 날이 곧 오지 않을까.]광시계보다 정확한 핵시계광시계보다 더 정확한 시계는 만들 수 없을까. 가시광선보다 주파수가 높은 자외선을 이용하면 된다. 자외선 영역의 주파수를 갖는 수은 ... ...
UNIST 세계무대 떠오르는 강자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저탄소 소재를 연구한다. 작년에는 이종훈 교수팀이 아시아에서 유일하게 보유한 ‘
원자
분해능 수차보정 투과 전자현미경’을 이용해 그래핀의 물성을 세계 최초로 규명했다. 이외에도 세계 곳곳에서 영입한 뛰어난 젊은 교수들의 활약이 눈부시다. 안태경 군도 학교의 장점으로 우수한 교수진을 ... ...
이전
74
75
76
77
78
79
80
81
8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