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이하"(으)로 총 2,779건 검색되었습니다.
- 축복인가 재앙인가 유전자 가위 크리스퍼과학동아 l2015년 06호
- 더 큰 격이다. 이런 상황을 종식시킨 새롭고 강력한 유전자 가위가 2012년 개발된 'CRISPR(이하 크리스퍼)'다. 남궁석고려대에서 생화학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한 뒤 미국 예일대와 펜실베니아대에서 박사후 연구원으로 연구했다. 현재 충북대 동물바이오신약장기사업단에서 연구교수로 재직 ... ...
- PART2. 현실 닮아가는 가상현실과학동아 l2015년 06호
- 현재 출시를 앞두고 있는 HMD들이 해상도를 낮 은 수준으로 유지하는 건 반응속도를 0.02초 이하로 줄이기 위해서가 크다.반응속도를 획기적으로 줄이는 방법이 없을까. 미 국 IT기업 AMD에서는 최근 ‘리퀴드 VR’이라는 새로 운 기술을 도입해 반응속도를 0초에 가깝게 줄이겠 다는 포부를 밝혔다. ... ...
- 심성 꼬인 태양이 버럭 하다과학동아 l2015년 06호
- 태양의 버럭, 태양분출현상그런데 혼란스러운 용어가 하나 있다. ‘코로나질량 방출(CME, 이하 ‘태양분출현상’으로 통일)’이라는 현상이다. 코로나와 어떻게 다를까. “코로나는 광구처럼 태양의 구조 이름이에요. 하지만 태양분출현상은 아니죠. 일종의 사건이라고 할 수 있어요.”최 교수가 ... ...
- [Life & Tech] 산(酸), ‘풍요의 시대’ 연 식품계의 일등 공신과학동아 l2015년 06호
- 이를 일부 포함한 ‘혼합간장’의 경우, 3-MCPD가 0.3mg/kg 이하, 기타 HVP의 경우 1.0mg/kg 이하로만 검출돼야 한다. 이 기준은 유럽이나 호주, 말레이시아 등(0.02mg/kg)보다는 느슨하지만 미국 FDA(1.0mg/kg)와는 같거나 높은 기준이다. “하나의 유령이 식탁을 배회하고 있다.산(酸)이라는 유령이”현 ...
- [Life & Tech] 여자는 여자다워야 한다?과학동아 l2015년 06호
- 반면 한국에 서 간간히 들려오는 소식은 여전히 실망스럽다. 유명 개그맨은 여성을 인 간 이하의 존재로 비하하고, 기를 죽이기 위해서는 이런저런 협박이 좋다 는 발언을 공개적으로 했다. 우리 사회의 이런 여성 혐오는 대체 어디에서 온 걸까.변화를 막는 누르기와 회유인간은 변화를 싫어한다. ... ...
- 피곤한 투수, 팬들은 불안하다과학동아 l2015년 06호
- 4월 11일자에 발표했다. 이들은 2002년부터 2007년까지 메이저리그와 마이너리그의 25세 이하의 젊은 투수 700명을 조사했다. 조사 결과 직전 해보다 이닝과 투구수가 20% 증가했을 때 부상이 늘어나는 경향은 없었다. 다만 이 조사를 무턱대고 우리나라에 적용할 수는 없다. 불펜 투수만을 대상으로 한 ... ...
- [수학뉴스] 눈맞춤 기술로 자연스러운 셀카수학동아 l2015년 05호
- ‘나의 눈’은 정면이 아닌 다른 곳을 향하고 있습니다.그런데 최근 한국전자통신연구원(이하 ETRI)에서 눈맞춤이 가능한 영상 기술을 개발해 화제입니다. 이 기술을 이용하면 셀카는 물론, 화면 끊김 현상이 없이 상대방과 눈을 맞춰가며 영상회의를 할 수 있다고 합니다.지금까지는 대부분 화면의 ... ...
- PART2. 소년이여, 신화가 되어라과학동아 l2015년 05호
- 다시 본다면 어떨까. 만화의 배경이 됐던 올해 사도가 나타난다면, 우린 에반게리온(이하 에바)을 발진시킬 수 있을까.부드러운 팔과 다리에 어울리는 갑옷은?에바는 인조인간이다. 움직임이며 생김새가 사람과 매우 비슷하다. 눈과 이, 갈비뼈, 척추, 피, 내장까지, 있을 건 다 있다. 그런데 겉으로 ... ...
- 닥터 그랜마도 깜짝 놀란 사물인터넷 세상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5호
- 가능.• 음성 신호를 전기 신호로 바꾸어 전달하는 방식을 이용.• 전송속도는 10Kbps 이하.2G• 1996년 서비스 시작.• 음성통화는 물론 문자를 보낼 수 있게 됨.• 음성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바꾸어 전달.• 전송속도는 14.4~64Kbps.3G• 2002년 서비스 시작.• 동영상이나 사진을 함께 보낼 수 있는 ... ...
- [생활] 어벤져스 vs인공지능 울트론 인류 생존을 건 전쟁의 승자는?수학동아 l2015년 05호
- 장병탁 서울대 컴퓨터공학부 교수팀은 우리나라 애니메이션 ‘뽀롱뽀롱 뽀로로(이하 뽀로로)’의 영어판를 보고 스스로 학습하는 ‘상상력 기계’를 개발했다. 이 기계는 5살처럼 뽀로로를 보면서 영어를 배운다. 상상력 기계는 뽀로로 한 화를 보면서 단어 50개, 이미지 300개를 배웠다. 183개 화를 ... ...
이전74757677787980818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