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정보"(으)로 총 8,054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기자의 책장] 숫자로 찾아보자, 사실 뒤에 숨은 진실을!수학동아 l2021년 10호
- 바라봐서는 안되기 때문이죠. 그렇다면 우리는 무엇을 기준으로 등불 삼아야 수많은 정보 속에서 진실을 찾을 수 있을까요? 숫자와 통계는 이전부터 어떠한 사실에서 ‘진실’을 찾을 수 있는 기준으로 자주 사용됐습니다. 바츨라프 스밀 캐나다 매니토바대학교 명예교수는 에너지, 환경, 식량, ... ...
- 잘 읽히는 글꼴, 기억 잘 되는 글꼴은 따로 있다?과학동아 l2021년 10호
- 운명을 가른다. 운전 중인 도로 상황이 대표적인 예다. 혹여나 글자를 보고 잘못된 정보를 얻었다가 생명이 위험해질 수도 있다. 2012년 미국 메사추세츠공대(MIT) 에이지랩(AgeLab) 연구팀은 미국의 글꼴 디자인 회사 모노타입과 인지하는 데 시간이 가장 적게 드는 글꼴에 대해 연구했다. 알파벳 a나 ... ...
- 반려동물에 채식 권하면 안 되는 이유과학동아 l2021년 10호
- 않을 뿐 결국 동물성 원료”라고 말했다. 인간은 대개 음식을 맛보기 전에 시각 정보에 의존한다. 그러나 고양이와 개는 인간과 달리 색맹에 가깝다. 그 결과 시각에 영향을 거의 받지 않는다. 반려견, 반려묘의 사료가 대부분 비슷한 색깔, 비슷한 모양인 이유다. 고양이가 물고기를 좋아한다는 ... ...
- [JOB 터뷰] 꿈을 조립한다! 국내 최초 레고 공인 작가 김성완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0호
- 본격적으로 시작한 건 성인이 된 후예요. 국내에서 레고에 대한 정보를 찾기 어려워 정보를 공유하는 홈페이지와 ‘브릭인사이드’라는 동호회를 직접 만들었죠. 동호회를 운영하며 작품을 만들다보니 레고 코리아에서도 의뢰가 들어왔어요. 퇴근 후나 주말에 틈틈이 만들었는데, 의뢰가 점점 늘어 ... ...
- 폴리매스 정보통! 로블록스로 창의력과 수학 실력을 한 번에!수학동아 l2021년 10호
- 단순히 가상 공간에서 그림을 구경하는 수준에서 그치지 않고 그림을 소유하고 정보도 얻는 거랍니다. 가상 세계가 현실 세계와 연결되는 것! 이게 바로 메타버스가 아닐까요? 본격적으로 섬을 만들기 위해선 로블록스 스튜디오가 필요해요. 로블록스 스튜디오는 루아 프로그래밍 언어*를 사용해 ... ...
- 미 국방부 보고서 행간 읽기과학동아 l2021년 10호
- 특종으로 세상에 알려졌다. 빌 클린턴과 조지 부시 전 대통령 시절 미국 국방부에서 정보 담당 차관보를 역임했던 크리스토퍼 멜론이 그해 익명의 국방부 관료로부터 3건의 UFO 동영상과 자료를 입수한 것이다. 퇴임 후 한 민간 UFO 연구 단체의 자문역을 하고 있던 그는 이 동영상들을 뉴욕타임스에 ... ...
- [NST, 모두를 위한 연구] 산업 트렌드 예측하는 데이터 기업이 꿈과학동아 l2021년 10호
- 말했다. 자연스레 그의 창업 최종 목표는 양자컴퓨터를 이용한 데이터 분석과 정보 보호 알고리즘 개발,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한 빅데이터 분석 플랫폼 개발이 됐다. 아직 상용화된 양자컴퓨터는 없지만, 연구자로서 선행기술을 연구한 만큼 남들보다 한발 앞서나갈 수 있다는 자신이 있다. 정 ... ...
- [이공계잡터뷰] 과학의 즐거움을 전하는 크리에이터과학동아 l2021년 10호
- 되고자 하는 이들에게 “우선 도전해보라”고 말했다. 과학 크리에이터로서 정확한 정보전달이나 화려한 편집기술도 필요하지만, 자신만의 경험과 생각을 녹여내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학생이라면 학생만이 다룰 수 있는, 직장인이라면 직장인만이 다룰 수 있는 콘텐츠를 강점으로 살린다면 ... ...
- [이달의 책] 한국형 천재의 시대는 끝났다 외과학동아 l2021년 10호
- 담고 빠르게 답을 내놓는 식의 능력이 꼭 필요할까. 손바닥만 한 스마트폰으로 온갖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시대에 한국형 천재가 설 자리는 점차 줄어들고 있다.20세기 한국형 천재의 시대에서 혜택을 누린 세대가 바로 본인이라고 말하는 저자는 21세기형으로 생각의 회로를 바꿀 필요가 있다고 ... ...
- 제보 분석 │ UFO 비행 특성을 밝히다과학동아 l2021년 10호
- 직경(폭)과 광원과의 추정 거리, 추정 고도(시야각), 물체의 고도, 기타 전방 건물의 높이 정보를 토대로 산출한 결과 발광체의 크기는 약 5.1m로 추정됐다. ●한국UFO조사분석센터의 잠정 결론해당 비행물체는 실제 하늘에 떠 있던 발광물체로써 독립된 각각의 광원으로 보인다. 특별한 움직임이 없는 ... ...
이전74757677787980818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