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단과대학
전문학부
대학원
과
학과
d라이브러리
"
학부
"(으)로 총 1,271건 검색되었습니다.
융합이 빚어낸 작지만 큰 세계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융합과 협업이 강조되지만 MEMS에서는 특히 더 강조된다. 연구실이 속한 서울대 전기공
학부
는 MEMS 개발을 위해 현직 안과 전문의를 교수로 초빙한 바 있다. 또 융합과 협업의 과정에서 자연스레 리더십의 중요성을 알게 된다.“리더는 단순히 자신의 이익만을 추구하는 것이 아니라 사회에 공헌해야 ... ...
수학으로 쏙쏙 밀어 넣는 포켓 당구
수학동아
l
2011년 03호
대만과 미국에서 활동했다. 하지만 올해는 특별하다. 그녀는 한국체육대 스포츠건강복지
학부
레저스포츠과 11학 번 새내기가 됐다. 올 한해 그녀의 화려한 한국 활동을 기대해 본다 ... ...
소개팅에서 성공하는 사랑방정식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점은 사랑이 이런 조건만으로 결정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진화심리학자인 전중환 경희대
학부
대학 교수는 “사랑에 빠지는 요소는 생물학적, 환경적 요소가 각자의 맥락에서 어떻게 작용하는지에 따라 크게 달라진다”고 했다. 결국 사랑은 각자 처한 상황과 마음이 복잡하게 얽혀서 이뤄진다는 ... ...
“수학과 글쓰기 중요해”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교육 과정을 편성할 수 있다는 점이 다르다. 전문교과와 심화선택 특강에서는 대학
학부
수준의 교육이 이뤄진다. 다른 학교에 비해 더욱 노력을 기울이는 면은 바로 창의성과 리더십 향상이다. 이를 위해 해외 영재교육기관에 위탁해 전문적인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있다. 과학 올림피아드, ... ...
neutrino 중성미자 경쟁, 한국이 1등 할까?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감도로는 변환상수가 2% 이상일 때만 측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재승 서울대 물리천문
학부
교수는 “이론적으로 예측한 결과에 따르면 우리 검출기로 3년 정도 자료를 쌓으면 측정할 수 있을 것”이라며 “하지만 변환상수가 2% 보다 작을 가능성도 있는 게 사실”이라고 밝혔다. 당장 앞서 가고 ... ...
Intro. 노벨상 예약한 수상한 물질 삼형제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현장 취재해 담았다. 2파트는 상온 다강체 연구에 매진하고 있는 서울대 물리천문
학부
김기훈 교수와 김재욱 박사가 다강체의 개념과 응용을 소개하는 글이다. 3파트는 얼음과 구조가 같은 스핀 아이스라는 물질에서 구현된 모노폴의 흥미진진한 이야기를 다뤘다.아직 물리학자들에게도 낯선 수상한 ... ...
전갈이 밤에 빛나는 이유는?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1호
빛나는 이유가 밤에 활동을 하기 위해서라고 해요.미국 캘리포니아주립대학교 생물
학부
의 칼 크룩 연구원은 약하게 자외선을 받은 전갈 15마리와, 자외선을 강하게 쬐어 형광물질이 늘어난 전갈 15마리의 야간 행동을 비교했어요. 그 결과 형광물질이 늘어나 더 빛나는 전갈이 밤에 더 활발하게 ... ...
Part2. 다강체_물질계의 엄친아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큰 변화를 일으키는 강한 다강성을 보인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특히 미국 럿거스대 물리
학부
정상욱 교수팀(논문의 제1저자는 당시 박사과정 학생이었던 허남정 현 인하대 물리학과 교수)이 만든 터븀망간산화물(TbMn2O5)은 영하 270℃의 극저온에서 강한 자기장(지구자기장의 약 4만 배에 해당하는 ... ...
한눈에 보는 원자폭탄의 탄생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조형성을 갖춘 국제 수준의 작품”이라고 평가했다.또 서유경, 변지민 씨(서울대 디자인
학부
)의 ‘오일랜드(석유의 역사)’와 구도형 씨(서울과학기술대 NID 융합기술대학원)의 ‘그린피스’가 일반부 우수상을 받았다. 특히 가로 세로가 140×1920mm에 달하는 대형 작품인 ‘오일랜드’는 ‘2011 조립식 ... ...
개가 고양이보다 똑똑한 이유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옥스퍼드대 인지·진화 인류
학부
연구팀이 동물의 뇌 크기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 뇌가 가장 커진 동물은 원숭이라는 사실을 알아냈다. 이번 연구는 11월 22일 미국 국립과학원회보 (PNAS)에 실렸다.연구팀은 현생 포유류의 뇌 크기와 과거 동물들의 화석을 비교하는 방법으로 포유류 500 종의 뇌 크기 ... ...
이전
74
75
76
77
78
79
80
81
82
다음
공지사항